• 제목/요약/키워드: Effectiveness, Usability, Accessibility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Usability Evaluation Criteria for Mobile Navigation Using AHP

  • Jeong, Ye Seul;Jeong, Byung Yong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43-448
    • /
    • 2013
  • Objective: Purposes of this study are selecting main factors in evaluating the usability of mobile navigation and comprehending mutual importance among the factors. Background: Mobile navigation services have been more diffused than ever as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sharply increased. However users are having trouble with the usage of mobile navigation services due to the lack of research in the area. Method: In order to attain results, general research on mobile navigation, 1st general survey, and 2nd comparative survey on navigation UI experts were performed. Empirical studies about the results were performed using AHP method. Results: As the result of AHP analysis, accuracy was drawn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accessibility and visibility.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navigation system, the provision of accurate POI(Point of Interest)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experts. And effectiveness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satisfaction and efficiency. Conclusion: When evaluating the usability of mobile navigation, prior factors such as accuracy, visibility, and aesthetics should be considered in advance and general evaluation concentrated on effectiveness must be performed.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 fundamental data to mobile navigation design.

Evaluating the Usability and Effectiveness of Madrasati Platforms as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Saudi Arabia for Public Education

  • Alkinani, Edrees A.;Alzahrani, Abdullah 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6호
    • /
    • pp.275-285
    • /
    • 2021
  • Ministries of Education are integrating different Learning Management Systems (LMS)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during the lockdown to avoid academic loss. The key factor for delivering a high-quality education through LMS platforms is teachers' acceptance and adoption of the platform. Madrasati platform (which means My school) was introduced by Saudi Arabian Ministry of education as the formal teaching and learning for distance education for public education level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usability and adoption of "Madrasati" platform from teachers' perspectives in Saudi Arabia. "SUS, CSUQ" tests were used to test the usability of the new platform. Using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200 teachers were selected randomly answered the survey. Data was analysed descriptively and inferentially using SPSS (25). The results obtained indicate that the teachers are highly satisfied using Madrasati platform and technically it is well designed. Also, Madrasati has positive effect on teaching quality. Moreover, Madrasati has high usability in teaching. One of the key findings were that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content in Madrasati has a strong effect 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Madrasati usefulness that led to a positive attitude towards Madrasati. These findings would be useful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nstitutions trying to integrate technology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Thus, this paper contributes towards more effective utilisation of the extensive functionalities that Madrasati have to offer, which will contribute toward the development of pedagogy in Saudi Arabia.

농촌정보 활용성 증대를 위한 통합데이터베이스 설계 (Design of Integrated Database Schema for Improving Usability of Rural Information)

  • 이지민;서교;김한중;이정재
    • 농촌계획
    • /
    • 제11권2호
    • /
    • pp.43-49
    • /
    • 2005
  • As information has been brought to public attention, information storage as well as information usability has been important. Rural information is produced in many areas and institutions. However, it is difficult to use rural information comprehensively. Since formats for management are various, it is difficult to have unified frame. In this research, a schema of database fer integrating rural data is designed to improve usability using dimensional modeling. First of all, rural data are analyzed for designing integrated rural database schema. Rural data used are '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and 'Gun annual statistical report'.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three considerations; administrative district, time-dependency and classification of data. Considering these three requisite, we designed database schema using dimensional modeling. The reason of using dimensional modeling is to improve usability and effectiveness. If the database was designed using ER modeling, many tables have to be joined every searching time. Separately from integrated rural database schema, user's database schema is designed considering usability. Through user's database, users can modify data or generate new data and save these processes. These make it possible to use generated data repeatedly. We evaluate usability, contribution, and effectiveness of data manipulation on the integrated rural database. We propose an integrated rural database structure improving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rural data and information and verified the data model based on a practical example.

한국형 휠체어 탑승 고속버스에 대한 사용성 연구 (The Usability Study on Korea Express Bus with Wheelchair Access)

  • 김정현;김종배;황수빈;장완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571-57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휠체어 탑승 가능한 고속버스의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여 휠체어 탑승 시스템에 대한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수동휠체어 사용자 11명, 전동휠체어 사용자 9명을 모집하여 휠체어 탑승 버스 승차하기, 휠체어로 내부에서 이동하기, 휠체어 탑승 버스 하차하기의 3가지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효과성은 과제 성공 여부로 측정하였으며, 효율성은 과제의 난이도와 수행의 노력도, 만족도는 제품에 대한 수용도와 전반적인 시스템 사용도 지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휠체어 사용자 20명은 3가지 시나리오 수행을 완료하였으며, 효율성에서 난이도 측정결과0.33점(적당하다)과 1.36점(조금쉽다) 사이에 분포 하였다. 수행의 노력도는 8.36점(전혀 힘들지 않음)부터 11.78점(가벼움)으로 측정되었다. 만족도에서 수용도는 1.00점(조금은 받아들일 수 있다)부터 2점(받아들일 수 있다) 사이에 분포하였으며, 전반적인 시스템 사용도는 수동휠체어가 70.7점으로 C등급의 수용가능한 경계선의 시스템으로 측정되었고, 전동휠체어는 73.1점으로 B등급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한국형 휠체어 탑승 고속버스에 대하여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사용성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장애인의 대중교통 접근성과 이동성 확보 및 연구 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추후에는 사용성에 대한 근거 수준의 질적 향상을 위해 다수의 연구 참여자와 다양한 휠체어 종류를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을 위한 스마트 홈 시스템 장기 모니터링 실증 연구 (A Long-term Monitoring Demonstration of Smart Home System for the Elderly)

  • 이지헌;차승현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75-90
    • /
    • 2021
  • A smart home system improves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by monitoring and analyzing their movements and health conditions with better health-care and social support services. Therefore, there has been an effort to adopt a smart home system for the independently living elderly.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no study has investigated the usability of a smart home system on actual independently living elderly housing in long-term settings. Thus,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usability of a smart home system on independently living elders in living lab conditions. The BLE smart band and the BLE receiver were chosen for the smart home system to monitor the movement of the participants in their homes as well as to monitor the heart rates, step counts, sleep index. Nine independent living elderly from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Kimjae participated in this living lab demonstration experiment for ten months. This demonstration experiment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low-cost and easily adoptable IoT-based BLE sensor sets on independent living elders and discussed the troubles and limitations of the experiment. By grasping the pros and cons of IoT-based BLE sensor sets, this study seek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smart home systems for the elderly population in independent living arrangements.

장·노년층 대상 키오스크 사용성 측정 지표 개발 및 사용성 평가 - 코레일 열차 발권 키오스크 개발 사례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and Usability Evaluation of Kiosk for the Elderly - the Case of KORAIL's Kiosk for Ticketing)

  • 신은주;임순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88-196
    • /
    • 2022
  • 최근 증가하고 있는 키오스크의 보급에 비해 이를 활용하는 장노년층의 디지털 격차는 줄지 않고 있다. 키오스크의 사용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 가고 있는 환경에서 장노년층의 디지털 소외 현상은 삶의 질에 직결되는 문제가 되고 있다. 장노년층을 고려한 키오스크의 개발이 이루어지더라도 그 효과에 대한 검증이 모호하거나 어떤 사용성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보다는 디자이너의 경험적 능력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노년층을 위한 키오스크 콘텐츠 개발을 위해 키오스크의 사용성에 대해 분석하고, 그 측정지표로 가용성, 유용성, 효율성, 매력성, 그리고 시인성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그 측정지표의 측정방법을 개발하여 이을 통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장노년층을 위한 키오스크의 사용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개발과정의 키오스크가 장노년층을 지원할 수 있는지 혹은 개선된 키오스크가 실제 장노년층의 사용성을 높이는지에 대해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키오스크의 접근성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추후 장노년층이 겪게 될 다양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근성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종 컴퓨팅 환경에서의 계산과학 시뮬레이션 관리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Science Simulation Management Program in Heterogeneous Computing Environments)

  • 변희정;유정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9-17
    • /
    • 2018
  • 이종의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은 최근 다양한 분야의 계산과학 시뮬레이션 처리 도구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고성능 컴퓨팅 자원에 대한 활용 방법이 콘솔 기반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컴퓨팅 자원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성이 크게 떨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웹 기반의 이종 계산 자원 및 시뮬레이션 작업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기술한다. 제안한 계산과학 시뮬레이션 관리 프로그램은 물리 가상 계산 자원 제어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증, 데이터 관리, 시뮬레이션 작업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모듈식 플러그인 구조 설계를 통해 고도의 확장성을 가진다. 다분야 계산과학공학 교육 및 생명의료분야 적용 사례를 통해 그 우수성을 확인한다.

온라인 장례 플랫폼의 초기 사용자 경험 분석및서비스 개발 제안 (Analysis of the First Time User Experience of the online memorial platform and suggestion of service developments)

  • 이주은;황진도
    • 서비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44-62
    • /
    • 2024
  • 코로나19로 인한 온택트 서비스의 발달과 친환경 장례 문화의 사회적 이슈는 온라인 장례라는 새로운 문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였다. 국내 기관 및 기업에서 온라인 장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으나, 효과는 미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장례 플랫폼의 초기 사용자 경험 분석을 통해 사용성의 문제를 파악하고, 온라인 장례 플랫폼의 접근성 및 사용성을 향상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을 제안함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경험(UX), OOBE, FTUE 이론의 문헌 고찰을 통해 온라인 장례 플랫폼의 접근성과 사용성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대표적 온라인 장례 앱 '메모리얼'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초기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기 전, 연구 대상인 앱 '메모리얼'의 UX 서비스 특성을 이해하고자 유사 타 서비스와의 IA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온라인 장례 플랫폼 사용 경험이 없는 피실험자 10명을 대상으로 Unpack-Setup/Configure-First Use 단계에 해당하는 태스크를 수행하고, 실험 과정을 UX Curve로 표현하여 부정적인 경험이 발생한 지점과 요인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주요 문제 요인으로 불필요한 UI 요소, 회원가입 단계에서의 민감한 개인정보 요구, 서비스의 몰입감 부족 등이 있었고, 개선 사항으로는 사용자 간의 감정 공유 및 원활한 소통 촉진을 위한 커뮤니티 기능 강화 등이 있었다. 이러한 인사이트를 반영하여 기존 앱 서비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을 제안하였다. 개발한 프로토타입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서비스 디자인 전문가 3인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부상하고 있는 온라인 장례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온라인 장례 서비스의 현황을 이해하고, 서비스 접근성과 사용성 강화를 위해 필요한 요인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공무원 인식유형에 따른 보건서비스 개선 방안 (Public Officials' Perceptions on Improving Quality of Community Health Care Service)

  • 양창훈;이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23-237
    • /
    • 2014
  • 국민 보건의 향상 및 건강증진에 대한 기대 요구가 높아지면서 공공 보건서비스의 공공성 강화 및 질적향상을 위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제공 주체인 보건소 공무원들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를 통하여 보건서비스 개선방안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그 유형을 발견하는데 있다. 보건서비스에 대한 보건소 공무원들의 인식 유형을 Q방법론을 통해 분석한 결과, 보건서비스 개선에 대한 인식은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사용자 중심의 세밀하고 친밀한 보건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는 서비스 수용증진형, 지역사회의 기대와 주민의 보건의료 요구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서비스 효용성형, 실질적으로 지역 주민들의 건강증진을 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서비스 전문화형, 지역사회 주민들과의 의사소통과 양질의 보건서비스에 대한 이용 가능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용접근형, 그리고 총체적인 보건서비스 운영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책임 운영형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보건서비스 개선방안에 대한 응답자의 주관성 인식은 유형별로 명확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보건서비스의 공공성 강화 및 질적 향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실용적 지침이나 실증연구를 위한 이론적 틀로 그 유용성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

단백질 의약품 특성정보필드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efulness of the Protein Drug Feature Information Filed)

  • 변재희;최유주;이주환;서정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1-31
    • /
    • 2014
  • 단백질 의약품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단백질 의약품 개발 시 단백질 정보는 필수적으로 인식 되고 있다. 단백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바이오데이터 센터로는 미국의 NCBI, PDB, 유럽의 EMBL, 일본의 DDBJ 등이 있으며, 각 센터별로 특화된 단백질 정보들이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단백질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독립된 단백질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통합하고 분석해야하며,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대표적인 데이터 센터 혹은 소규모 프로젝트 별로 바이오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웹서비스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단백질 의약품 정보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캐나다의 DrugBank, 미국의 GDSC 등에서 의약품 정보와 단백질 데이터를 통합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단백질 정보를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 바이오인포매틱스 인프라가 부족하고, 단백질 의약품 정보 서비스 또한 의약품의 기본 정보와 유통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서비스의 한계를 벗어난 한국형 단백질 의약품 전용 서비스 설계를 위한 사전 연구로 기존 대표적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적용하고 있지 않은 단백질 특성정보필드들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유용성 평가를 전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여 기존 바이오데이터베이스의 단백질 정보 필드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단백질 특성정보필드들이 단백질 의약품 정보 서비스에 요구되는 유용한 데이터 필드임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