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Contents

검색결과 3,101건 처리시간 0.029초

Delphi 기법을 적용한 심화형 정보 영재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Developing the Enrichment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in Informatics Education Using Delphi Method)

  • 박정선;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3-26
    • /
    • 2010
  • 우리나라는 아직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정보과학 영재교육과정이 없으며 이는 주로 속진으로 운영되는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된 영재 교육과정과 간학문간의 다양한 심화를 통한 학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개정 '정보'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정보영재를 위한 심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정보' 교육과정 중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을 대상으로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 학습 방법, 교육 평가 방법의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델파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의 1단계를 대상으로 3라운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의 응답을 분석하여 구조화된 문항을 설계하였고 기술 통계를 사용하여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 학습 방법, 교육 평가 방법에 대한 중요 항목을 선정하였다.

  • PDF

가정과교육에 있어서 의생활 영역의 교육목표와 내용 체계 연구 (Develop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standards for clothing life area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유태명;유지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3-19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육의 이론적 체계에 기초하여 의생활 영역의 교육목표와 내용 체계를 구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 의생활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 조사, 전문가 협의 및 워크샵을 실시하였고, 이를 교육목표와 내용기준의 개발에 반영하였다. 교육목표는 대영역 목표와 하위 목표로 제시하였으며, 개발된 하위 목표에 따라서 각 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의생활 내용 체계는 내용기준의 형태로 개발하였으며, 각 내용기준에 따라 내용요소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내용요소는 내용기준에 적절한 최소의 핵심적인 내용만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앞으로의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를 개발할 때 융통성을 가질 수 있다.

  • PDF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생활안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Life Safety for Children of Low Grade Elementary Schools)

  • 두경자;윤용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75-8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ducational program of life safety for low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objectives of the life safety education were established, and the contents and instructions of the educational program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560 children and their mothers.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evaluat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3 weeks after the education in terms of knowledge about safety, attitudes and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welve contents for safety education consisted of safety for electronic games, playing facility, mobile exercise machines, elevator/escalators, traffic and prevention for injury, pricking/cutting, collision/fall/slippery, drowning, burning, electric shock, food toxicity and child missing/sexual harassment/kidnapping. 2. The score of knowledge for safety, attitude, and behavior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after the post-tests. Thus,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demonstrated to be significant in all evaluation sections.

가정과교육에서 "나와 가족생활" 영역의 교육목표와 내용체계 연구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Systemization of Contents for 'Family Life' Area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9-95
    • /
    • 2006
  • 이 연구는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적 체계를 틀로 하고 선행 연구와 교육과정 동향의 분석, 교육내용 요구조사를 고려하여 $\ulcorner$나와 가족생활$\lrcorner$ 영역의 교육목표와 내용체계를 구안하였다. 개발된 시안은 전문가 협의와 워크숍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보완하여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ulcorner$나와 가족생활$\lrcorner$ 영역의 교육목표는 '나와 가족생활을 개인과 가족, 사회, 문화의 맥락에서 이해하고 나와 가족생활 중에 일어나는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여 건강한 가족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로 선정하였다. 개발된 내용체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PDF

인터넷 역기능 예방을 위한 정보통신 윤리 교육용 웹 콘텐츠 설계 (The Design of the Information &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Web Contents for Prevention of Internet reverse functions)

  • 이윤배;김혜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604-1612
    • /
    • 2011
  • 청소년들에게 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정보통신 윤리 의식을 갖도록 함으로써 순기능을 최대화시키고 동시에 역기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정보통신 윤리교육은 언제 어디서나 교육이 가능한 웹의 장점인 웹 기반 교육콘텐츠를 통하여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웹을 통한 윤리교육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이 정보통신에서의 기본인 윤리 의식과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언제 어디서나 윤리 교육이 가능한 웹 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설계하고 이 교육 과정을 비교 분석한다.

노인 소비자를 위한 소비생활 교육 프로그램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lder's Daily Life as a Consumer)

  • 이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65-273
    • /
    • 2010
  • 본 논문은 현대 사회에서 노인들의 소비생활 상담이 증가하고 있고 소비자로서 이들의 기능과 역할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사회 지원 체계 마련의 1단계로 노인을 위한 소비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로서의 노인을 정의내리고, 노인 소비자의 소비생활 실태와 교육 요구도, 노인 소비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토대로 노인을 위한 소비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원리를 제시하였으며, 노인 소비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을 소개하였다. 구성 원리는 내용 구성 측면에서 경험의 원리, 생활화 사회화의 원리, 계열성의 원리이며, 실행의 측면에서는 자발성의 원리, 개별화의 원리, 경로의 원리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주제는 총 4개 영역으로 첫째, 노인 소비자 피해 예방교육 둘째, 올바른 소비자 상거래 방법 셋째, 피해 사례를 통한 상거래 방법 넷째, 소비자의 권리와 책임 및 의무, 구매 의사결정 과정이며, 각 주제 영역은 기획자와 진행자 중심의 주요 내용과 준비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컴퓨터 사용시간 제어시스템 (Design of Computer Using-Time Control System for Prevention of Game Toxication)

  • 조상현;최민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7-2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게임의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 최근 게임의 묘미와 교육적 효과를 동시에 강조하는 에듀테인먼트 인터넷 게임의 경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런데 기존의 교육용 게임들은 그 흥미도가 낮아 잘 사용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는 반면 시뮬레이션 게임이나 롤플레잉게임 등 흥미위주의 게임은 그 중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컴퓨터 에서 게임사용을 제한하고 유익한 목적의 컴퓨터사용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육용 컨텐츠를 활성화하고 게임중독을 치료하기 위한 동적 컴퓨터 사용시간 제어시스템 (dynamic computer using-time control system)의 모델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기존의 정량적인 컴퓨터 사용시간 제한 프로그램과는 달리 사용자의 교육용 프로그램이나 교육용 컨텐츠의 사용에 비례해서 컴퓨터 사용시간을 증가시키는 동적 제어시스템으로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교육용 프로그램이나 교육용 컨텐츠를 이용하도록 유도한다.

  • PDF

LMS for Web based e-Learning on the SCORM

  • Woo, Young-Hwan;Chung, Jin-Wook;Kim, Seok-Soo;Kim, Soon-Goh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권2호
    • /
    • pp.80-83
    • /
    • 2004
  • The core purpose of the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is to help learners pursue proactive and self-oriented education by allowing learners to proactively configure their own content, that is, learners no longer have to be restricted by prescribed sequence of lectures. Although a variety of standardization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were produced to develop and effectively manage web contents in response to active diffusion of internet application, practical changes to assist online learners are not yet to be found.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introduce a LMS that can support self-leading education by providing various types of learners at Virtual University with delicately organized educational contents for maximum efficiency. The system allows a learner to select a lecture or a chapter which has been presorted to meet his educational needs and intellectual ability. In general, most LMSs cannot meet every individual's educational needs because they structure their programs by letting learners simply choose from a list of available lectures at prescribed level or difficulty. However the Self-Leading LMS eliminates such boundaries by allowing learners to choose contents and difficulty within the limit set by their own educational compe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