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ge detection

검색결과 1,458건 처리시간 0.04초

에지 영상의 분산을 이용한 비디오의 점진적 장면전환 검출 (Gradual Scene Change Detection Using Variance of Edge Image)

  • 류한진;유헌우;장동식;김문화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75-280
    • /
    • 2002
  • A new algorithm for gradual scene change detection in MPEG based frame sequences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algorithm is based on the fact that most of gradual curves can be characterized by variance distributions of edge information in the frame sequences. Average edge frame sequences are obtained by performing "sober" edge detection. Features are extracted by comparing variances with those of local blocks in the average edge frames. Those features are further processed by the opening operation to obtain smoothing variance curves. The lowest variance in the local frame sequences is chosen as a gradual detection poin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85% precision and 86% recall rate fur gradual scene changes.

DETECTION AND COUNTING OF FLOWERS BASED ON DIGITAL IMAGES USING COMPUTER VISION AND A CONCAVE POINT DETECTION TECHNIQUE

  • PAN ZHAO;BYEONG-CHUN SH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27권1호
    • /
    • pp.37-55
    • /
    • 202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lgorithm for detecting and counting flowers in a complex background based on digital images. The algorithm mainly includes the following parts: edge contour extraction of flowers, edge contour determination of overlapped flowers and flower counting. We use a contour detection technique in Computer Vision (CV) to extract the edge contours of flowers and propose an improved algorithm with a concave point detection technique to find accurate segmentation for overlapped flowers. In this process, we first use the polygon approximation to smooth edge contours and then adopt the second-order central moments to fit ellipse contours to determine whether edge contours overlap. To obtain accurate segmentation points, we calculate the curvature of each pixel point on the edge contours with an improved Curvature Scale Space (CSS) corner detector. Finally, we successively give three adaptive judgment criteria to detect and count flowers accurately and automatically. Both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proposed evaluation indicators reveal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more efficient for flower counting.

Ramp Edge Detection을 이용한 끝점 검출과 음절 분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dpoint Detection and Syllable Segmentation System Using Ramp Edge Detection)

  • 유일수;홍광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Ⅳ
    • /
    • pp.2216-2219
    • /
    • 2003
  • Accurate speech region detection and automatic syllable segmentation is important part of speech recognition system. I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ystem, they are needed for the purpose of accurate recognition and less computational complexity, In this paper, we Propose improved syllable segmentation method using ramp edge detection method and residual signal Peak energy. These methods were used to ensure accuracy and robustness for endpoint detection and syllable segmentation system. They have almost invariant response to various background noise levels. As experimental results, we obtained the rate of 90.7% accuracy in syllable segmentation in a condition of accurate endpoint detection environments.

  • PDF

임펄스 잡음 및 AWGN 환경에서 변형된 마스크를 이용한 에지 검출 방법 (An Edge Detection Method using Modified Mask in Impulse Noise and AWGN Environments)

  • 이창영;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5-267
    • /
    • 2013
  • 에지는 물체의 여러가지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에지는 많은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으며, 기존의 에지 검출 방법에는 마스크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에지 검출 방법들은 구현이 간단하다. 그러나, 고정된 마스크를 이용하므로 복합 잡음 환경에서의 에지 검출 특성은 다소 미흡하다. 따라서 기존의 에지 검출 방법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국부 마스크의 표준편차 및 잡음 제거를 이용한 에지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PDF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윤곽선 추출 (Edge Detection using Genetic Algorithm)

  • 박찬란;이웅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85-97
    • /
    • 1998
  • 기존의 윤곽선 추출 방법은 중첩된 두꺼운 선으로 추출되어 물체의 실제 경계선을정확하게 표시하지를 못하거나 윤곽선에 끊어짐이 많아 연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윤곽선 추출에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에너지 함수는 픽셀의 윤곽선 만족도를 수치로 산정해 주는 식으로 함수로 화상구조 형에 대한 평가 에너지와 이웃 윤곽선과의 연속성에 대한 평가 에너지, 윤곽선이 정확한 위치에 1 픽셀로 나타냈는지에 대한 평가함수로 구성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잡음제거에 우수하였고 또한 연결성이 강하고 최적의 위치에 놓인 픽셀을 찾음으로서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윤곽선 추출을 가능케 하였다.

  • PDF

Fuzzy Classifier System for Edge Detection

  • Sim, Kwee-Bo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3권1호
    • /
    • pp.52-57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uzzy Classifier System(FCS) to find a set of fuzzy rules which can carry out the edge detection. The classifier system of Holland can evaluate the usefulness of rules represented by classifiers with repeated learning. FCS makes the classifier system be able to carry out the mapping from continuous inputs to outputs. It is the FCS that applies the method of machine learning to the concept of fuzzy logic. It is that the antecedent and consequent of classifier is same as a fuzzy rule. In this paper, the FCS is the Michigan style. A single fuzzy if-then rule is coded as an individual. The average gray levels which each group of neighbor pixels has are represented into fuzzy set. Then a pixel is decided whether it is edge pixel or not using fuzzy if-then rules. Depending on the average of gray levels, a number of fuzzy rules can be activated, and each rules makes the output. These outputs are aggregated and defuzzified to take new gray value of the pixel. To evaluate this edge detection, we will compare the new gray level of a pixel with gray level obtained by the other edge detection method such as Sobel edge detection. This comparison provides a reinforcement signal for FCS which is reinforcement learning. Also the FCS employs the Genetic Algorithms to make new rules and modify rules when performance of the system needs to be improved.

Java를 이용한 영상분할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Image Segmentation Using Java)

  • 신민화;최길환;배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804-807
    • /
    • 2002
  • 영상의 에지는 입력 영상에 대한 많은 정보들을 가지고 있다. 에지 검출을 이용하는 많은 응용들이 있으며, 다양한 특수 효과들을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에지 검출은 영상 분석의 한 분야로서 영상분할은 영상의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화소들을 하나의 영역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분할을 위한 에지검출의 다양한 방법들을 통한 영상분할을 하였다. 먼저 영상의 특징을 분석하고 각 영상의 특징에 따라 에지검출의 방법을 선택적으로 채택하도록 하여 영상특징을 추출하였다. 언어의 특징을 고려하여 Java를 이용한 영상분할을 통해 효율적인 에지 검출기를 구현하였다.

  • PDF

에지개선 필터들의 통계적 분석과 에지검출에 대한 영향 (A Statistical Analysis of Edge Enhancing Filters and Their Effects on Edge Detection)

  • 박순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635-1644
    • /
    • 1993
  • 본 논문은 에지개선 필터들의 통계적인 특성과 에지 검출을 위한 전처리 연산자로서의 효용성을 분석한다. 분석 대상인 에지개선 필터들로는 비교와 선택을 수행하는 CS 필터, Hachimura와 Kuwahara가 개발한 HK 필터, 그리고 선택성 평균을 출력시키는 SA필터이며 이 필터들은 잡음 제거 능력 및 손상된 에지를 계단 모양의 에지로 개선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에지 검출기 사용전에 잡음화된 영상을 전처리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치해석을 통한 통계적 분석이 에지개선 필터들의 잡음 제거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며 에지 검출에 대한 전처리 필터링의 영향은 수치해석 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오류확률들을 중심으로 분석된다. 또한 백색잡음에 의하여 손상된 영상에 필터들을 사용하여 전처리를 수행한 후 Sobel 연산자와 LoG 연산자를 사용하여서 에지 검출전에 전처리기로서 사용된 에지개선 필터들은 후처리기로 사용된 에지 검출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에지의 구조적정보을 이용한 에지추출 (Edge Detection Using Informations of Edge Structures)

  • 김수겸;장유정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5호
    • /
    • pp.1337-1345
    • /
    • 1996
  • 에지추출은 영상인식의 첫 단계임과 동시에 영상인식의 성능을 좌우하는 아주 중 요한 단계이다. 기존의 기울기연산자나 표면집합에 의한 에지추출과 달리 본 논문에서 는 에지의 구조적 정보를 이용한 에지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먼저 에지의 구조 적 특성인 에지의 정확한 위치, 에지의 연속성, 에지의 두께와 에지의 길이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였다. 이와같은 에지의 구조적 특성을 기본으로 $3\times3$ 윈도우에서의 적합한 화소구조와 화소구조에 일치하는 이상적인 에지위치를 정의하였다. 또한 적합 한 에지구조와 이상적인 에지위치에 의한 12개의 특성 불일치 강조윈도우를 제안하 였다. 제안된 12개의 윈도우는 모든 형태의 에지를 추출할 수 있는 에지추출알고리즘에서 사용되는 윈도우로써 잡음이 많은 영상에서 일반적으로 많은 사용되고 있는 기울기 연산자나 0점교차 연산자인 LoG 연산자 보다 놓은 에지추출 성능을 보여 주었다. 특 히, 잡음의 표준편차$(\sigma=30)$가 30인 잡음이 아주 많은 영상에서 더 좋은 성능을 보여 주었다.

  • PDF

저조도 환경에서 화소의 휘도 변환 함수를 이용한 에지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dge Detection using Pixel Brightness Transfer Function in Low Light Level Environments)

  • 이창영;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680-1686
    • /
    • 2015
  • 에지 검출은 대부분의 영상 처리 응용에서 필수적인 전처리 과정으로서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의 에지 검출 방법에는 Sobel, Roberts, Laplacian, LoG(Laplacian of Gaussian) 등이 있다. 기존의 에지 검출 방법들은 저조도 환경에서 화소의 휘도 변화가 적기 때문에 에지 검출 특성이 미흡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처리 과정에서 휘도 변환 함수를 사용한 알고리즘과 국부 마스크의 평균 및 표준편 차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에지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Sobel, Roberts, Prewitt, Laplacian, LoG 에지 검출 방법들과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