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7초

노인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 생태환경 변수의 효과: 노화의 일반생태학 이론을 적용하여 (The Effects of Ecological Variable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Adults: The Applications of General Ecological Theory of Aging)

  • 이현기
    • 한국노년학
    • /
    • 제32권3호
    • /
    • pp.777-800
    • /
    • 2012
  • 노인 자원봉사활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통합적 자원이론은 인적 사회적 문화적 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일상의 생활환경 및 거시적 생태환경이나 상황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노년기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노화에 따른 대처행동의 하나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환경과의 교류를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노화의 일반 생태학 이론의 관점을 적용하여 생태환경 변수가 자원변수들을 통제한 가운데 어떤 영향력을 갖고 있는 지 그 효과를 추정하고, 그 결과가 내포하는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년 통계청 사회의식조사 원시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총 응답자 37,049명 중 사회적 은퇴를 경험한 것으로 추측되는 55세 이상 10,268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과 이항로지스틱 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로써 종속변수인 시간 및 참여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독립변수 즉 생태환경과 자원변수는 p<.000 수준에서 유의한 독립적 효과를 나타냈고, 이 중, 5개의 독립변수 즉 교육수준, 돈 빌려줄 사람 수, 종교, 전문 관리직, 지역사회 변수는 종속변수인 시간자원봉사와 참여자원봉사에 대하여 관계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의 일반 생태학 이론이 우리나라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경험적 근거를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환경변수의 효과 크기가 자본변수에 비해 작지 않음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상대적으로 동네, 지역사회, 직업 환경 등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간자원봉사와 참여 자원봉사에 대한 회귀계수 추정에서 5개 변수의 관계방향이 서로 다른 것은 두 결과변수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과정에서 서로 다른 과정이라는 것을 함의하는 것이며, 노인자원봉사자의 모집과 유지전략에서 다른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론에서 자원봉사이론 및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중국 '난징(南京) 명성곽(明城郭)'의 보존정책과 역사문화환경 조성 (The Ming Castle Conservation Policy and the Cre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 류호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1호
    • /
    • pp.346-361
    • /
    • 2013
  • 명(明)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이 계획하여 벽돌로 축조한 도성(都城)인 난징(南京) 명성곽(明城郭)은 전체 길이가 35.267km에 이르며, 600여 년의 시간이 흐른 현재 2/3가 남아 있다. 1988년 난징 명성곽이 국가문화재(全國重點文物保護單位)로 지정된 이후 난징시는 본격적으로 성곽 보존계획을 수립 실행함으로써 역사도시로서의 가치를 회복해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역사도시이면서 성곽도시인 난징이 역사문화유산으로서 성곽의 보호를 위한 원칙과 법적 기반을 마련해 온 과정에 주목하였다. 수립된 계획이 실행단계에 이르기까지 나타나는 문제점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하는 과정은 우리나라 성곽 보존정책의 수립과 시행에 시사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논의 결과, 난징시는 도시경관과 생태환경을 연계하여 성곽유산이 역사문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중장기 계획과 구역별 보호를 위한 단기적 세부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었다. 또한 유적 자체의 개별적 보호를 넘어 역사문화환경을 고려한, 점 선 면이 결합된 입체적인 보호체계로 문화유산의 보호와 개발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실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난징은 역사문화환경 조성이라는 성과를 도출하였고, 역사도시이자 성곽도시로서의 이미지를 만들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경관자원 분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about Rural Landscape Resources - Centered on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Rural Village -)

  • 이동근;옥주희;홍찬선;윤소원;박창석;유헌석
    • 농촌계획
    • /
    • 제11권2호
    • /
    • pp.21-34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ning direction for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a rural landscape. For suggesting the planning direction, this study was classified rural landscape resources based on spatial type to understand the assessment of rural landscape. This study examined literature reviews and site investigations for collecting the data on the resources of a rural landscape to maintain rurality. First above all, it was classified into physical and non-physical resources. Non-Physical resources include elements such as inhabitants' will, leaders' will and the software. It is also to reflect all these factors on the planning. Next, this study classified the resources of a landscape into artificial and natural resources and applied these resources to rural areas which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industry area, life area, natural landscape area, program area and human behavior area. The pictures obtained from this field survey were used for a questionnaire survey to understand the value of a rural landscape.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survey we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presentation condition of a rural land-scape and assessment of a rural landscape. Especially, the value of a rural landscape was divided into the ecological value, socio-cultural value and holistic value.

지역고유의 자원 활용에 기반한 21세기 선도형 농촌마을 개발 모델 - 강원도 원주시 수련동마을 계획을 중심으로- (A New Planning Model of Rural Villages for 21th Century Guidance - Style based on Regional Indigenous Resources - In the Case of the Villages Revitalization Projects of Suryon-dong in Wonju -)

  • 송병화;이관규
    • KIEAE Journal
    • /
    • 제7권3호
    • /
    • pp.39-4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odel of rural villages for 21th century guidance-style based on regional Indigenous resources. As a development model on premis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economic sustainability, social-cultural sustainability, this paper aims to established that accommodate actively change element of village environment that stabilizes local environment and ecosystem on the basis of development model's principle and contents and information area. Through this model development, To makes the national setting an example village and plans the 21th century guidance style farm village continuously is big that study does.

자연자원의 보전가치 추정 - 가상가치법을 이용하여 천안.아산의 광덕산에 대한 분석 - (An Estimation of Preservation Value of Kwangduksan using the CVM)

  • 박재영;김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57-373
    • /
    • 2005
  • There is a controversy on developing or preserving Kwangduksan(Mt.) located in Cheonan and Asan. Kwangduksan has a grand scenery, many of cultural properties, and rare animals and plants like fireflies. So the citizens of Cheonan and Asan have recognized its cultural and ecological value as yet. In this study, an economic basis for preserving it was presented to prevent developing thoughtless for the environment. Preservation value of it was estimated about 44 billions by CVM. This result shows the environmental value of Kwangduksan is very great. If people feel importance of environmental resources more and more, this value of Kwangduksan will be greater and greater.

  • PDF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생태환경분석 및 적지분석: 자연생태계 보전지역 설정 및 평가 모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Land Suitability and Ecological Environment Using GIS Focused on the Evaluation Model for Designating of Natural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 이명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6권2호
    • /
    • pp.61-80
    • /
    • 1997
  • This study tried to propose the guidelines for the ecological preservation zoning in Korea. So som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ere inspected, which were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ct, Nature Park Act, Cultural Asset Conservation Act, Forest Act and Urban Planning Act. In these acts, I could find several concepts related to the ecosystem that are described as the protection area. But there aren't detailed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in those concepts. So for making the practical concept of ecosystem preservation, I considered Multiple Use Module, Wildlife habitat model, and Environmental evaluation model. Thorough this step, the process and methodology was established for evaluating and analysing. The potentiality of the GIS system was inspected. So the TM5 scene of the site was acquired and processed by ER-Mapper, Idrisi, Arc/Info and Arcview. And several digitized data were input by scanning and vecterizing. The Erdas format was mostly exchangeable to any program. The site is the Byonsan Peninsula National Park. The forest stand information and topographic data were digitized, types of which are forest year, DBH, density, slope, aspect etc. And also the watershed boundary, roads and paths,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were mapped and analysed. Modelling of preservation suitability found the dispersed patterns for the best suitable zone through all the site. And the development potential areas were checked on downwatershed. This patterns are thought to result from the forest location for the wildlife habitat and the low altitude and no-steep slopes for developing. And Early warning system concept was introduced by overlapping these two patterns on the both potential area. As the conclusions, I proposed that the preservation zone be assigned according to the watershed unit as the main ecosystem zone. This main area should be linked by the eco-corridor through the point type eco-system. Finally, I thought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making the rational and efficient decision making in natural area.

  • PDF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 - 동계(桐溪) 정온(鄭蘊) 가옥과 전주(全州) 최씨(崔氏) 종택을 중심으로 -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on Korean Traditional Dwelling Houses and Their Landscape Gardens)

  • 소현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0-130
    • /
    • 2009
  • 본 연구는 생태학에 견줄 수 있는 전통적 관념으로서 생명사상과 전통사상에 착안하여 마련된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를 통해서 당시의 관점에 근접함으로써 선조들의 생태학적 사고와 그를 기반으로 한 조영방식을 설명하기에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생태학적 해석 도구로써 추출한 '본성(本性; 자연의 정체성 고수)' '중절(中節; 절제)' '효율(效率; 경제적 효용)' '상생(相生; 관계 맺기)' '자생(自生; 자연의 원리 취득)' '중화(中和; 인공을 최소화하여 조화)' '방통(旁通; 소통과 순환)' '변통(變通; 가변성과 다양성)'이라는 전통사상의 개념어들은 우리 문화와 경관 속에 함유된 생태학적 개념을 대신한다. 사례연구를 위해서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1827)에 서술된 항목들을 '공간구조' '조경요소' '건축 구조요소'로 구분하여 해석의 대상을 추출하였다. 정온 가옥과 최씨 종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해석한 결과로 생태학적 조영기법들을 제시하고,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에 대한 생태학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종합하였다. 자연조건과 세밀한 관계 설정 방식을 가지는 풍토건축으로서 첫째, 자연의 형상을 따르는 토지이용방식('본성' '상생' '중화'), 둘째, 자연과 일체감을 이루는 물리적 공간요소('중절' '상생' '중화'), 셋째, 한정된 자연에너지와 자원을 재활용하면서 지속적인 순환체계 유지('효율' '자생' '방통'), 넷째,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재료 이용('중절' '효율' '자생'), 다섯째, 미기후를 고려한 평면과 구조 결정('효율' '자생' '변통')으로 정리된다. 이에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은 다른 유형의 전통공간보다 자연 안에서 효율적인 자원 소비 공간을 목표하였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계룡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 사찰림의 식생구조 (Templ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Cultural Heritage Site in Mt. Gyeryongsan National Park - Focused on Donghaksa, Gapsa and Sinwonsa -)

  • 송주현;권순선;김호진;이정은;윤이슬;;김현섭;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22-733
    • /
    • 2019
  • 본 연구는 계룡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로 지정된 동학사, 갑사, 신원사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식생구조를 파악하여 생태적 특성을 구명하여 사찰림의 생태적 보전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2018년 9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총 29개소의 산림식생조사를 수행하였다.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 느티나무-으름덩굴-황매화군락(VU1), 졸참나무-작살나무-까치박달군락(VU2), 소나무-산벚나무-쇠물푸레나무군락(VU3)으로 식생유형이 각각 구분되었으며, 각 식생단위별 지표종은 각각 12분류군, 8분류군,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 결과, 모든 식생단위에서 느티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다양도 분석 결과, 식생단위 3의 종다양도가 0.939으로 다른 식생단위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생유형과 무생물적입지환경, 생물적입지환경과의 상관관계분석을 CCA를 통해 분석한 결과, 무생물적 환경인자와의 관계는 식생단위 2와 해발고도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물적 환경인자와의 관계에서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Research about the Evaluation Index of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Landscape Resources based on AHP

  • YU, Lan-ling;PIAO, Yong-ji;JIANG, Dao-zhu;Jo, Hyunju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83-490
    • /
    • 2016
  • On the basis of conducting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to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landscape resources, we established a evaluation index system of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landscape resources.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ts, comparing the importance of all levels indicators, we obtained the weights of landscape resources evaluation index through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result showed that the descending order of the weights of influence of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nineteen evaluation index is: reach ability (0.128), safety (0.083), location (0.078), participatory (0.076), cultural value (0.058), ecological conditions (0.057), scenic beauty (0.0505), environmental quality (0.051), featured properties (0.0501), environmental tolerance (0.048), reputation (0.047), environmental capacity (0.045), humanize (0.041), spots configuration (0.034), applicable travel period (0.033), scientific value (0.032), art value (0.031), holistic (0.03), suitability (0.027), it can provide a framework and basis for the planning, management, protection and exploitation of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landscape resources.

Management plan for UNESCO Shinan Dadohae Biosphere Reserve (SDBR), Republic of Korea: integrative perspective on ecosystem and human resources

  • Lee, Heon-Jong;Cho, Kyoung-Man;Hong, Sun-Kee;Kim, Jae-Eun;Kim, Kyoung-Wan;Lee, Kyoung-Ah;Moon, Kyong-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2호
    • /
    • pp.95-103
    • /
    • 2010
  • The archipelago in the southwest sea, Korea, was registered as Shinan Dadohae Biosphere Reserve by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Man and the Biosphere (UNESCO MAB) on May 26, 200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 method of reconciling natural and anthropogenic processes and to enabl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vicinity of the Shinan Dadohae Biosphere Reserve (SDBR). To accomplis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SDBR with respect to bio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were evaluated. In addition, a management plan regarding the wise use of the SDBR was developed while focusing on four parts: cultural support to induce motivation for nativ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development and specification of fisheries and cultivation based on local community systems; restructuring of marine food products and resource transporting systems; activation and discovery of indigenous knowledge to enable networking between local residents, academia and the UNESCO-international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