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Succession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5초

北漢江 上流 桂芳川 砂礫地 河岸植生의 遷移系列 (Vegatation seres on the pebble area at ye-bang stream bank of north han river in korea)

  • Kim, Jong-Geun;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2호
    • /
    • pp.195-210
    • /
    • 1991
  • The primary succession of the pebble area in gye-bang chon, an upper stream bank of north han river, was investigated by belt transect method from July to October 1990. The stsges of bare area, herbaceous pioneer, perenial herb, woody plants and pine stand were recognized from stream bank to inland. The change of the coverage in herbaceous plants increased with developing sueccessional sere but decreaser with increment of woody plants. The species sequence cyrves vs. relative coverage were geometric in pioneer stage and graduaiiy changed to lognormal y\type as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 species diversity was highest during then woody plants stage, probably it would to be the edge effect. The soil properties were not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stream side and inland side. It seems that the vegetational developement was not enough to affect soil accumulation.

  • PDF

로랑 보두앵 건축의 공간 특성과 빛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Light presented in the Works of Laurant Beaudouin)

  • 김창성
    • KIEAE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63-70
    • /
    • 2016
  • Purpose: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philosophy of Laurant Beaudouin who is one of Neo Corbusian architects. They were in succession to Le Corbusier's principles of modern architecture, and developed his concept of modern architecture with their own creative architecture, and formed a big achievement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As a representative Neo Corbusian architect, the design concepts and principles of Laurant Beaudouin were analyzed in relation of nature, light and space. Method: Three step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aper; Firstly, investigated significant hi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s a neo corbusian architect in the point of view of plan libre, architectural promenade and light; Secondly, analyzed his architectural philosophy on light, gravity and color, Finally, deducted relation light and space through analysis 5 works of Beaudoui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Laurant Beaudouin has greatly developed of Corbusier's principles and philosophy of modern architecture, and then, created his own originative architectural works by combining nature, light and space and presented architectural promenade with the change of time.

Allelopathic Potential of Select Gymnospermous Trees

  • da Silva, Jaime A. Teixeira;Karimi, Javad;Mohsenzadeh, Sasan;Dobranszki, Judit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2호
    • /
    • pp.109-118
    • /
    • 2015
  • Allelopathy is an ecological phenomenon that refers to the beneficial or harmful effects of one plant on another plant, both crop and weed species, by the release of organic chemicals (allelochemicals) from plant parts by leaching, root exudation, volatilization, residue decomposition in soil and other processes in both natural and agricultural systems. Allelopathy can affect many aspects of plant ecology including occurrence, growth, plant successi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ies, survival, dominance, diversity, and plant productivity. In this review, we describe the concept of allelopathy, some mechanisms of operation within plants and then focus on a select number of gymnospermous tree genera: Ephedra, Pinus, Taxus, Cedrus, Juniperus, Picea, Cunninghamia and Araucaria. Pinus, Taxus (yew) and Cedrus (cedar) trees have a strong negative allelopathic effect on the germination, growth, or development of other plant species in the forest community.

Records of Holocene Environmental Changes in Terrestrial Sedimentary Deposits on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A Critical Review

  • Tatur A.;Valle R. Del;Barczuk A.;Martinez-Macchiavello J.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531-537
    • /
    • 2004
  • In this study we discuss some problems that emerged from paleolimnological and paleontological investigations of terrestrial Holocene ecosystems on King George Island (South Shetland Islands) conducted by an Argentine-Polish research group. Biological and geochemical markers commonly used in standard analytical procedures are considered insufficient in tracing overlapping records of past environmental changes preserved in peat banks, lake sediments and ornithogenic remnants. Records that might be explained by predictable natural events (related to glacio-isostatic uplift of land), roughly predictable events (ecological succession), or unpredictable events (volcanic eruptions or accidental destruction of aquatic moss) may overlap or interfinger one with another providing that signals of regional and/or global climatic changes, are hardly identifiable. A more sophisticated and more selective methods are recommended to do discrimination between records of local and regional/golbal processes in studies on Holocene climatic history of the South Shetland Islands.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inhae Bay 3. Ecologic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Populations, 1974~1980

  • Yoo, Kwang Il;Lee, Jin Hwan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0-107
    • /
    • 1980
  • 1974년 9월부터 1980년 1월까지 6년간 진해만에서 식물성플랑크톤 개체군의 생태적 천이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1974년 9월∼1975년 5월에는 천이계열이 Skeletonema costatum-Eucampia zodiacus Chaetoceros spp.-Nitzschia pungens- Leptocylindrus danicus, 1976년 7월-1978년 5월 Skeletonema costatum-Thalassiosira hyalina- Chaetoceros spp. -Leptocylindrus danicus(Nitzschia pungens), 1978년 7월-1980년 1월 Chaetoceros socialis-Skeletonema costatum-Chaetoceros spp. -Leptocylindrus danicus-Skeletonema costatum(Biddulphia mobiliensis)으로 천이계열이 바뀌어가고 있으며 이들은 계절에 따라 수온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이 해역에서 Skeletonema costatum이 계절에 관계없이 대량출현하여 이 종에 의해 점점 성숙한 천이계열을 형성해 가고 있다.

  • PDF

거제도 노자산지역의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Nojasan in Koje Island)

  • 이경재;조우;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8-88
    • /
    • 1999
  • 거제도 노자산지역의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43개 조사구(각 조사구당 10m$\times$10m)를 거제휴양림 임도 주변과 노자산 북사면에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조사자료를 이용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과 DCA에 의한 ordinationqnstjr을 실시하였다. TWINSPAN분석과 DCA분석 결과 소사나무군집(군집I), 소나무군집(군집II), 졸참나무군집(군집(III), 고로쇠나무, 느티나무, 비목나무, 까치박달 등을 우점종으로 하는 낙엽활엽수군집(군집IV)의 4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식물군집구조 분석 결과 노자산지역의 식생은 소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군집$\longrightarrow$낙엽활엽수군집으로 생태적 천이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소사나무군집은 해발고도가 높고 건조한 지역에 나타나는 토지극상으로 판단되었다.

  • PDF

지심도 상록활엽수목의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Jisimdo)

  • Kim, Joon-Ho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2호
    • /
    • pp.51-60
    • /
    • 1984
  • Jisimdo is an island wher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re well preserved. Soil environments and forest structures of Jisimdo were investigated, and an actual vegetation map and profile diagrams were drawn out. The natural vegetation of Jisimdo was divided into two stand units, one wa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and the other was Pinus thunbergii forest. 26 species were identified as evergreen broadoeaved trees, and among them, Camellia japonica was the dominont of the tree layer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Profile diagram shows that Camellia japonica, with average height of 7∼8m, formed lower tree layer, and laurels like Cinnamomum japonicum, Machilus thunbergii, and Neolitsea sericea formed upper tree layer. In Pinus thunbergii forest, plants of shrub and herb layers were abundant because of much light penetrated into the forest floor, and these layers were largely composed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This fact shows the possibility of succession from Pinus thunbergii forest into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Jisimdo is geographically adjacent to Jangseungpo and Okpo, and this increases the economic value of Jisimdo as a place of public resort. It will be necessary from being destroyed by land development and human interferences.

  • PDF

국가장기생태연구 장소로서 구축된 남산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on Mt. Nam as a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Site)

  • 이창석;조용찬;신현철;이충화;이선미;설은실;오우석;박성애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593-602
    • /
    • 2006
  • 국가 장기 생태 연구를 위해 구축된 서울 남산의 영구 방형구에서 소나무림의 종 조성, 주요 종의 공간분포, 직경 및 수고 계급 빈도 분포,그리고 종 다양성이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도심의 다른 지역(인왕산 및 홍릉),도시 외곽 지역(아차산, 북한산, 불암산, 청계산, 대모산 및 수락산) 및 자연 지역(설악산, 속리산 및 월악산)의 자료와 비교하여 남산 소나무림의 특징을 밝혔다. 남산 소나무림은 도심의 다른 지역의 소나무림과 유사한 종 조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시 외곽의 것과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자연 지역의 것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남산 소나무림이 보여준 그러한 차이는 대체로 그곳에서 높은 식피율을 나타낸 때죽나무, 팥배나무, 주름조개풀, 가중나무, 서양등골나물 등에 기인하였다. 주요 수종의 직경 및 수고 계급 분포를 분석하여 예측한 결과, 남산의 소나무림은 때죽나무 숲으로 천이될 가능성을 보였다. 이러한 대체 수종은 아교목일 뿐만 아니라 비내음성 종으로서 그러한 천이 경향은 퇴행 천이로 해석될 수 있었다. 도시 외곽 및 자연 지역의 소나무림들은 각각 토지 극상으로서 그 자체가 유지되거나 참나무 숲으로 천이될 가능성을 보여 남산 지역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남산 소나무림의 종 다양성은 도시 외곽 및 자연 지역의 것보다 낮았다. 이처럼 낮은 종 다양성의 원인은 이 지역의 종 조성을 다른 지역의 것과 다르게 하는데 기여한 몇몇 종의 과도한 번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한 차이를 가져온 식물들은 오염된 공업단지에 번성하는 종(때죽나무와 팥배나무), 교란된 지소를 선호하는 종(주름조개풀) 및 외래종(가중나무와 서양등골나물)이었다. 그러한 결과는 남산이 심한 환경 오염과 과도한 인간 간섭에 노출되어 있음을 반영한다.

생태복원용 식물종 선정을 위한 지표의 중요도·우선순위 (Importance and Priority of Indicators for Selection of Plant Speci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 성정원;신현탁;유승봉;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27-337
    • /
    • 2022
  • 생태복원은 생태계의 건강성과 지속성에 있어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좋은 수단으로 인식되어 있으나 식물종 선정에 관한 환경, 생리·생태요인, 복원목표 설정 등 종합이고 객관적인 기준점이 없어 실행에 옮기는데 애로사항이 있다. 이에 전문가 그룹의 의견을 종합하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생태복원용 식물종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생태복원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38부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복원 대상지를 내륙과 도서 지역으로 나눠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했다. 중요도 분석 결과, '자생식물'이라는 평가지표가 내륙과 도서 지역에서 모두 평균 4.9로 가장 높았다. 다음 '종자확보', '증식', 활착률' 순으로 높았다. 내륙의 지표우선순위는 '자생식물', '출현빈도', '활착율', '분포범위', '종자확보'로 도서 지역은 '자생식물', '활착율', '출현빈도', '분포범위', '내성'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을 수행한 결과 '내륙의 중요도 평균값은 4.1, 우선순위 2.9로 도서지역은 중요도 평균값은 4.2, 우선순위 2.9로 기준을 설정하였다. 생태복원용 식물종 선정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는 '자생식물'이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종자확보', '활착율', '지형', '증식', '내성', '토양조건', '생육특성', '천이초기', '분포범위', '출현빈도', '발아율'이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낮은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가장 낮은 지표는 '천이 최종단계', '천이장기', '천이중기', '뿌리', '번식', '토양', '성상', '기술', '경관', '기후', '발아율'로 구분되었다. 이에, 생태복원용 식물종 선정을 위해 객관적 검증을 통한 생태복원용 자생식물 종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로 복원사업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폐광산 주변에 발생하는 잡초 식생의 특징 (Analysis of Weed Vegetation in Vicinity of Abandoned Mines)

  • 홍선희;이용호;나채선;김대연;김정규;강병화;심상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24
    • /
    • 2010
  • 폐광산 주변의 토양 중금속 오염과 이 지역의 식생조사를 실시한 결과 As의 오염이 가장 심각하게 나타났다. 조사된 광산에서 모두 나타난 초종은 달맞이꽃, 닭의장풀, 며느리밑씻게, 개망초, 망초 등 5개 초종이며, 이들은 식생천이의 초기종으로, 중요치(important value)는 달맞이꽃이 가장 높았다. 달성광산은 종풍부도 및 종다양성이 가장 높았으며, 오염의 정도와는 별개로 작토층이 잘 발달한 것으로 밝혀졌다. 조사 지점 사이의 리차가 큼에도 불구하고 군집유사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교란에 의한 천이 초기종들의 우점이 강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