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st seasid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동해안풍어제의 원형미학적 연구 (The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East Coast Poong-O-Je Festival)

  • 심상교
    • 공연문화연구
    • /
    • 제41호
    • /
    • pp.321-352
    • /
    • 2020
  • 동해안풍어제의 원형미학에 대해 연구하였다. 풍어제를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바라본 결과이다. 풍어제에는 마을의 서사가 있고, 굿이 있으며, 마을 사람들의 협력과 소통이 있다. 그 속에는 악가무희가 관통하며 그 주변으로 마을의 과거 설화와 현재의 스토리 등이 어우러지며 마을 사람들은 소통하고 추억하고 전망하는 축제의 본질을 나눈다. 동해안별신굿 자체가 바닷가 생활인들의 이상과 꿈이 반영되어 있다. 바닷가 마을에 사는 생활인으로서의 상상력과 물에 대한 관심이 온전히 동해안별신굿에 반영되어 있다. 바닷가 사람들에게 물은 생활의 터전이며 두려움의 대상이다. 생명의 물이면서 죽음의 물이기도 한다. 바다가 포괄하는 세계가 만드는 상상력에 삶의 전 과정을 투영시킨다. 바닷가의 상상력은 삶의 전 과정에 대한 실존적 통찰이자 존재적 고뇌의 반영이다. 풍어제에서 마을 사람들은 신의 구체적인 복덕이 내리기를 희망한다. 신의 응보가 내려야 사람들은 자유로워진다. 무당이 복을 주겠다는 덕담 정도에 마을 사람들은 자유를 느낀다. 정신적으로 자유로움을 얻는 것으로 어느 정도 개인의 트라우마는 극복되는 상태를 체험한다. 예술작품을 직접 창작함으로써 체험하는 미적 쾌감의 상태와 풍어제와 별신굿을 통해 체험하는 미적 쾌감의 본질이 다르지 않다고 볼 수 있다. 풍어제의 원형은 자유정신이고 자유정신을 더 공고히 하기 위한 신앙적 미의식이 원형미학의 핵심인 것이다.

성서에 언급된 과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uits Mentioned in the Bible)

  • 김성미;이광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9-160
    • /
    • 1999
  • This paper is intended to find out what kinds of fruits are mentioned in the Bible and how they were used in those days. It has also analyzed in what terms they are expressed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Bible and studied agricultural regulations involved in the religion, and allegorical uses of the fruits. Olives were the primary fruit in the economy of the ancient times, followed by figs and vines. In addition, there are mentioned in the Bible almonds, apples, dates. mulberries and pomegranates. Olive trees have been grown for more than six thousand years. The Hebrew word. Zayit is mentioned in the Bible more than fifty times. Olive trees are not so beautiful in themselves but as they give us humans abundant reap and a lot of oil, they have been thought to be beautiful. Olive trees grow well on the seaside in the salty air and fog. Vines began to grown as early as in the Bronze Age(the period of 3000 to 2000 B.C.). In Northern Greece, grape seeds were found to belong to the year 4500 B.C. or so. The vine gardens produced raisins and wine as well as vines. Figs are the fruit which are first mentioned in the Bible(Genesis 3:7) and they were the precious product of the Palestine people, which is described in Deuteronomy 8:8. Figs are sweet and watery and can easily quench thirst on hot summer days. They were used for cookies and wine in the raw or dried state. An apple, which is tappuah in Hebrew, is mentioned as 'Sagwa' six times in the Revised Korean Version, and in the Korean Joint Version it is twice mentioned as 'Sagwa' and as 'Neungum' four times. In ASV and KJV, 'apple' appears eleven times. which is because' the apple of eye' is translated in the 'Nun-dong-ja(the pupil of the eye)'In the Korean Version. 'Sagwa(apple)'of Proverb 25:11, the Song of Songs 2:3, 2:5, 7:8, 8:5 and Joel 1 :12 have been thought to be doubtful. because apple trees cannot be grown in the areas mentioned in the Bible. Some maintain that the apples in the Bible refer to apricots(Prunus armeniaca, Citrus medica L.) or golden oranges (Citrus sinensis L. Obsbeck) which is confusing. In the Revised Korean Version, 'Salgu(apricots)' appears eight times while ASV and KJV translate almond into 'Salgu'. So since translating a genuine apricot into 'Salgu' can be confusing, a great care should be taken in the translation into Korean. Some hold that as some papyri arround the year 1200 B.C. describes pomegranate, apple, olive and fig trees growing on the Nile delta, tappuah rightly refers to 'Sagwa(apple)' In the Korean Joint Version, Sagwa and Neungum are used together to refer to the same fruit, which should be avoided. It is desirable to use the same word for the same thing. Sagwa' showing up six times In the HeL.Ised Korean Version should all be replaced by 'Neungum' Dates symbolized peace and abundance were used for food in the raw or dried state, and were made into honey. Pomegranates can be eaten in the raw state and be used for sherbets and wine. Juice made of promegranates can be mixed with wine and drunk.

  • PDF

동해안 냉해풍지역의 벼 생육환경 연구 (Study on Rice Growing Environment Against Cold Sea Wind in Eastern Coastal Area of Korean Peninsula)

  • 김정일;이지윤;박동수;박노봉;권오덕;장재기;이지훈;김상열;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33-138
    • /
    • 2010
  • 동해연안지역의 벼 생육부진 및 수량감소의 주된 요인분석을 위하여 해안으로부터 1, 2,3, 5 km의 4개 지점의 기상, 토양 및 벼 생육반응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해안거리별 일 평균기온은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냉수대 출현에 따른 냉해풍 발생시 온도변화는 뚜렷하여 5km에서보다 1 km지점에서 $8^{\circ}C$, 2 km지점 $7^{\circ}C$, 3 km지점 $4^{\circ}C$까지 온도가 낮아졌으며 냉해풍은 하루에도 수차례 발생하였음. 2. 해안거리별 토양특성은 해안에 가까울수록 모래성분이 많고 미사 및 점토성분은 적었으며, 양이온 치환용량이 적어서 작물이 비료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흡착력이 낮아졌음. 3. 해안에 가까운 재배지역일수록 초장은 작아지고 경수는 적었으며, 출수기는 3~4일 지연되었고, 벼 건물중 및 임실율은 낮아졌음. 4. 수량은 5km보다 1 km지점에서 27~36% 감수되어, 해안에 가까운 재배지역일수록 감수폭이 더 컸으며, 주된 감수요인은 주당수수의 감소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고, 해안 2 km지점에서 90%이상의 수량성을 나타낸 품종은 냉해풍지역의 적응품종인 삼덕벼였음.

파력발전장치 설계를 위한후포 연안의 파랑 분석 및 스펙트럼 추정 (Wave Analysis and Spectrum Estimation for the Optimal Design of the Wave Energy Converter in the Hupo Coastal Sea)

  • 권혁민;조홍연;정원무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47-153
    • /
    • 2013
  • 파력변환장치에는 여러 가지 형식이 있으며 지점흡수식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진동형 전력부이 형식의 설계를 위한 계통적 실측자료 분석 예는 찾기가 어렵다. 본 연구는 권 등(2010)에 의해 제안된 지점흡수식인 공진형 파동에너지 추출시스템에 작용하는 파랑외력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북 동해안에 위치한 후 포항 북방파제 전면수역에서 수압식 파고계를 이용하여 약 3년동안 관측한 자료(2002년 5월 1일~2005년 3월 29일)를 대상으로 시계열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월별주기변동과 파고변동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월별 파력이 년 간 불균등하게 분포함을 알았다. 상시파랑의 평균 파형경사는 풍파영역인 0.02-0.04보다 작은 0.01이였다. 년 중 파의 평균주기의 최빈값은 5.31 sec 이며 본 주기에 해당하는 파고 중 최빈 파고는 0.32m이다. 첨두 주기의 발생확률은 이산형(bi-modal)으로 나타나며 4.47 sec와 6.78 sec에서 mode값을 보인다. 설계주기는 이러한 4개의 값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파고는 1m 이하가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파력이 미약한 해역에서는 공진형 파력 시스템이 필요하며 파력의 월별 불균등 분포를 극복하기 위한 최적설계가 전력생산단지(Wave Energy Farm) 형성을 위한 주요한 과제임을 알았다. 본 연구는 상시파랑의 평균스펙트럼에 대하여 표준스펙트럼으로 표현이 불가능하여 3개의 매개변수로 표현이 가능한 새로운 스펙트럼형을 제안하였으며 파력부이에 의한 전력생산 예측과 피로해석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