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ave Analysis and Spectrum Estimation for the Optimal Design of the Wave Energy Converter in the Hupo Coastal Sea

파력발전장치 설계를 위한후포 연안의 파랑 분석 및 스펙트럼 추정

  • Kweon, Hyuck-Min (Department of Railway Constructio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yeongju University) ;
  • Cho, Hongyeon (Marine Environment & Conservation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 Jeong, Weon-Mu (Coastal Development & Ocean Energy Research Deopartment,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권혁민 (경주대학교 철도건설환경공학과) ;
  • 조홍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보전연구부) ;
  • 정원무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안개발에너지연구부)
  • Received : 2013.01.07
  • Accepted : 2013.06.11
  • Published : 2013.06.29

Abstract

There exist various types of the WEC (Wave Energy Converter), and among them, the point absorber is the most popularly investigated type.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examples of systematically measured data analysis for the design of the point absorber type of power buoy in the world. The study investigates the wave load acting on the point absorber type resonance power buoy wave energy extraction system proposed by Kweon et al. (2010). This study analyzes the time series spectra with respect to the three-year wave data (2002.05.01~2005.03.29) measured using the pressure type wave gage at the seaside of north breakwater of Hupo harbor located in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analysis results, it could be deduced that monthly wave period and wave height variations were apparent and that monthly wave powers were unevenly distributed annually. The average wave steepness of the usual wave was 0.01, lower than that of the wind wave range of 0.02-0.04. The mode of the average wave period has the value of 5.31 sec, while mode of the wave height of the applicable period has the value of 0.29 m.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the peak period is a bi-modal type, with a mode value between 4.47 sec and 6.78 sec. The design wave period can be selected from the above four values of 0.01, 5.31, 4.47, 6.78. About 95% of measured wave heights are below 1 m.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 resonance power buoy system is necessary in coastal areas with low wave energy and that the optimal design for overcoming the uneven monthly distribution of wave power is a major task in the development of a WEF (Wave Energy Farm). Finding it impossible to express the average spectrum of the usual wave in terms of the standard spectrum equat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spectrum equation with three parameters, with which basic data for the prediction of the power production using wave power buoy and the fatigue analysis of the system can be given.

파력변환장치에는 여러 가지 형식이 있으며 지점흡수식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진동형 전력부이 형식의 설계를 위한 계통적 실측자료 분석 예는 찾기가 어렵다. 본 연구는 권 등(2010)에 의해 제안된 지점흡수식인 공진형 파동에너지 추출시스템에 작용하는 파랑외력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북 동해안에 위치한 후 포항 북방파제 전면수역에서 수압식 파고계를 이용하여 약 3년동안 관측한 자료(2002년 5월 1일~2005년 3월 29일)를 대상으로 시계열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월별주기변동과 파고변동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월별 파력이 년 간 불균등하게 분포함을 알았다. 상시파랑의 평균 파형경사는 풍파영역인 0.02-0.04보다 작은 0.01이였다. 년 중 파의 평균주기의 최빈값은 5.31 sec 이며 본 주기에 해당하는 파고 중 최빈 파고는 0.32m이다. 첨두 주기의 발생확률은 이산형(bi-modal)으로 나타나며 4.47 sec와 6.78 sec에서 mode값을 보인다. 설계주기는 이러한 4개의 값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파고는 1m 이하가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파력이 미약한 해역에서는 공진형 파력 시스템이 필요하며 파력의 월별 불균등 분포를 극복하기 위한 최적설계가 전력생산단지(Wave Energy Farm) 형성을 위한 주요한 과제임을 알았다. 본 연구는 상시파랑의 평균스펙트럼에 대하여 표준스펙트럼으로 표현이 불가능하여 3개의 매개변수로 표현이 가능한 새로운 스펙트럼형을 제안하였으며 파력부이에 의한 전력생산 예측과 피로해석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조현, 홍사영, 홍도천, 2006. 진동수주형 파력발전기의 에너지 흡수효율 해석, 한국해양공학회지, 20(4), 64-69.
  2. 남보우, 홍사영, 김기범, 박지용, 신승호, 2011. 부유식 진자형 파력발전 장치의 파랑운동 수치해석, 한국해양공학회지, 25(4), 28-35.
  3. 류황진, 현범수, 김길원, 2009. 포물선형 월류파력발전장치에 대한 수치해석,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2(4), 273-278.
  4. 류황진, 신승호, 홍기용, 홍석원, 김도영, 2007. Boussinesq 모델을 이용한 제주 차귀도 해역의 다방향 불규칙파 시물레이션, 한국해양공학회지, 21(1), 7-17.
  5. 류황진, 홍기용, 신승호, 송무석, 김도영, 2004. SWAN 모델을 이용한 제주해역 장기 파랑 분포특성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7(3), 137-145.
  6. 박지용, 신승호, 홍기용, 2011. 월류 파력 발전 구조물 통합 축소 모형 시험을 통한 월류 성능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4(1), 11-18.
  7. 서경덕, 권혁동, 이동영, 2008. 한국 연안 심해파의 통계적 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눈문집, 20(4), 342-354.
  8. 송무석, 김도영, 김민, 홍기용, 전기천, 2004. 장기 수치모사 파랑자료를 바탕으로 한 한국해역의 파랑에너지밀도 분석,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7(3), 111-152.
  9. 신승호, 홍기용, 2005. 파랑 에너지 변환을 위한 월파제어구조물의 월파량 산정 실험, 한국해양공학회지, 19(6), 8-15.
  10. 유창일, 박정현, 김헌태, 윤한삼, 윤상준, 2009. 파력발전 적지 기장해역과 동해 해상부이 파랑관측치 비교,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33(1), 166-174.
  11. 이달수, 안희도, 채장원, 이광수, 1988. 후포해역의 파랑에너지 분포특성, Ocean Research, 10(2), 43-49. https://doi.org/10.1016/S0141-1187(88)80023-3
  12. 정원무, 오상호, 이달수, 이동영, 2007. 실측 파랑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우리나라 동해 연안(해)역의 파력부존량 비교, 신재생에너지, 3(3), 28-35.
  13. 조일형, 권혁민, 2011. 원기둥과 선형발전기의 연성 수직운동을 이용한 파 에너지 추출, 한국해양공학회지, Vol. 25(6), 9-16..
  14. 조홍연, 정원무, 전기천, 2013. 연안 파랑 관측기간과 모수추정 오차 관계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눈문집, 25(1), 34-39. https://doi.org/10.9765/KSCOE.2013.25.1.34
  15. 홍기용, 류황진, 신승호, 홍석원, 2004. 파력발전 적지 선정을 위한 제주 해역 파랑에너지 분포특성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18(6), 8-15.
  16. 홍기용, 신승호, 홍도천, 2007.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 공기실의 파력에너지 흡수효율,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0(3), 173-180.
  17. 홍도천, 홍기용, 2010. 착저식 OWC 파력발전장치의 파에너지 흡수효율 및 파랑하중 계산,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3(1), 47-52.
  18. Goda, Y., 2000. Random Seas and Design of Maritime Structures, Advanced Series on Ocean Engineering, 15, World Scientific.
  19. Holthuijsen, L.H., 2007. Waves in Oceanic and Coastal Wat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Hughes, S.A., 1984. The TMA shallow-water spectrum description and applications, Technical Report CERE-84-7, US Army Corps of Engineers.
  21. Kim, G., Lee, M.E., Lee, K.S., Park J-S, Jeong, W.M., Kang, S.K., Soh, J-G, and Kim, H., 2012. An overview of ocean renewable energy resources in Korea, Renewable an Sustainable Energy Reviews, 16, 2278-2288. https://doi.org/10.1016/j.rser.2012.01.040
  22. Suh, K.D., Kwon, H.D., Lee, D.Y., 2010. Som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large deepwater wav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Coastal Engineering, 57, 375-384. https://doi.org/10.1016/j.coastaleng.2009.10.016
  23.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08. Coastal Engineering Manual, Part II, Chapter 1, EM-1110-2-1100, Department of the Army.

Cited by

  1. Development of a Moving Body Type Wave Power Generator using Wave Horizontal Motions and Hydraulic Experiment for Electric Power Production vol.28, pp.2, 2016, https://doi.org/10.9765/KSCOE.2016.28.2.73
  2. A study of the optimum draft of multiple resonance power buoys for maximizing electric power production vol.6, pp.4, 2014, https://doi.org/10.2478/IJNAOE-2013-0215
  3. Design of the dual-buoy wave energy converter based on actual wave data of East Sea vol.7, pp.4, 2015, https://doi.org/10.1515/ijnaoe-2015-0052
  4.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the Wave Energy Potential of the East Coastal Seas of Korea vol.25, pp.5, 2013, https://doi.org/10.9765/KSCOE.2013.25.5.311
  5. Heaving displacement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of a power buoy in shoaling water with insufficient draft vol.5, pp.4, 2013, https://doi.org/10.2478/IJNAOE-2013-0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