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st Coast

검색결과 1,158건 처리시간 0.028초

우렁쉥이 이용에 관한 연구 -1. 계절 및 서식지에 따른 우렁쉥이의 화학성분조성-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1. Chemical composition of Ascidian and its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

  • 이경호;박천수;홍병일;정우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12
    • /
    • 1993
  •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성분에 관한 연구로서 우렁쉥이의 성장기인 $4{\sim}9$월 사이에 화학성분의 변화를 측정하고, 또한 서식장소에 따른 화학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상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월례산 우렁쉥이는 8월, 충무산 우렁쉥이는 7월이 채취적기라고 생각되었다. 2. 수분은 실험기간동안 감소하여 월례산은 9월에 $80.2\%$로 최저치를 나타내었으며, glycogen은 서서히 증가하여 8월에 $3.7\%$로 최고치를 나타내었고, 충무산의 수분함량은 8월에 $80.7\%$로 최저치를 보였고 glycogen은 7월에 $4.1\%$로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한편, 서식지에 관계없이 단백질과 지방은 8월에 최고치를 보였으며, 회분은 전 실험기간동안 $2.2{\sim}3.8\%$로 대체로 일정한 경향을 보였다. 3.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충무산 우렁쉥이(8.32g/100g)가 월례산(6.56g/100g) 우렁쉥이에 비하여 높았으며 asparagine, glutamic acid, taurine, aspartic acid, proline, lysine 둥이 주요 아미노산으로 이들 6종의 아미노산이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이에 비하여 histidine, methionine, cystine의 함량은 적었다. 4. 무기질함량은 모든 시료가 Na, K, Mg, Ca의 순으로 높았으며 이들이 무기질분석총량의 $96.14{\sim}99.10\%$를 차지하였다. 껍질의 경우도 가식부와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Na, Mg, K, Ca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특히 K의 함량은 가식부보다 약 3배 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남해 창선해역의 해수 및 진주담치의 위생학적 안전성 평가 (Microbiological Quality of the Shellfish-growing Waters and Mussels in Changseon, Namhae, Korea)

  • 유현덕;하광수;심길보;강진영;이태식;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8-306
    • /
    • 2010
  • A sanitary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and mussel (Mytilus edulis) conditions of two administrative shellfish growing waters: those designated as shellfish growing water for export, and adjacent waters on the east coast of Changseon Island, Namhae, Korea. In all, 1,656 seawater and 166 mussel samples were collected at 46 stations for seawater and five stations for the shellfish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9. Both seawater and mussels were examined for total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The standard plate count and most probable number of Escherichia coli were also determined for the shellfish samples. The range of the geometric means and the estimated 90th percentiles of fecal coliform for seawater samples at each station were <1.8-4.1 MPN/100 mL and <1.8-22.3 MPN/100 mL, respectively. The sanitary conditions for both shellfish growing areas, the designated shellfish growing area and adjacent area in Changseon, met the 'Approved area' criteria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The range of E. coli detected in mussels in these areas was <20-500 MPN/100 g; and only 3 of 166 samples exceeded 230 MPN/100 g, the European standard for the consumption of raw bivalves. Therefore, the mussel farms in the Changseon area are classified as 'Class A' according to criteria set in European Community regulations. However, the levels of E. coli in mussels in parts of the designated shellfish growing area and adjacent area exceeded the bacterial limits after rainfall exceeding 45 mm.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fully define the conditions leading to a temporary closure to harvest after a rainfall event.

최근(最近)의 경기지역(京畿地域) 논 잡초분포(雜草分布) 조사(調査) (The Survey of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in Kyonggi Area)

  • 김희동;김영호;주영철;성문석;최영진;이동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6-51
    • /
    • 1992
  • 1991년(年) 경기도(京畿道) 벼 식부(植付) 면적(面積) 172,000ha를 대상(對象)으로 500ha당(當) 1점(點)씩 기준(基準)하여 340개(個) 지점(地點)에서 답종류별(稻種類別)로 구분(區分)하여 실시(實施)한 잡초분포(雜草分布) 조사결과(調査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잡초분포(雜草分布)는 화본과(禾本科) 4종(種), 방동산이과(科) 7종(種), 광엽(廣葉) 및 기타 14종(種) 등(等) 총(總) 25종(種)이였으며 일년생(一年生)과 다년생(多年生) 잡초분포비율(雜草分布比率)은 25:75로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가 많았다. 2. 우점도(優占度)가 높은 초종(草種)은 올방개, 벗풀, 피, 너도방동산이 등(等)이었다. 3. 농업(農業) 지대별(地帶別) 우점(優占) 잡초(雜草) 분포(分布)는 남부(南部) 평야지(平野地)에서는 피, 올방개, 벗풀, 너도방동산이 등(等), 서부해안(西部海岸) 지역(地域)에서는 올방개, 벗풀, 피, 너도방동산이 등(等), 동부내륙(東部內陸) 지역(地域)에서는 올방개, 벗풀, 피, 알방동산이 등(等), 북부지역(北部地域)에서는 벗풀, 올방개, 피, 물달개비 등(等)이 분포(分布)하였다. 4. 답(畓) 종류별(種類別) 우점초종(優占草種)은 보통답(普通畓)과 습답(濕畓)에서는 올방개, 벗풀, 피, 너도방동산이 등(等), 염해답(鹽害畓)에서는 매자기, 너도방동산이, 피, 물수세미 등(等)이었다. 5. 작부양식별(作付樣式別) 잡초(雜草) 발생량(發生量)은 1모작(毛作) 지대(地帶)가 2모작(毛作) 지대(地帶)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 PDF

연어, Oncorhynchus keta전기자어의 난황흡수 및 초기성장 (Yolk absorption and growth of churn salmon, Oncorhynchus keta alevin)

  • 장창익;손명호;성기백;박인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39-548
    • /
    • 1995
  • 연어, Oncorhynchus keta 전기자어의 부화 직후부터 부상기 이전까지의 난황흡수과정 및 체성장의 형태가 조사되었다. 한국 동해안 남대천에서 채포된 암수 친어로부터 채취한 알과 정자를 사용하여 인공수정을 시켰다 사육수온은 $13^{\circ}C$로 조절되었다. 부화 직후와 부화 후 12일부터 부화 후 33일까지 3일 간격으로 매회 40마리의 난황자어가 임의로 표본되었다. 부화 직후 난황자어의 평균 전장 및 평균 전중은 각각 1.97cm, 1.859이었으며 난황흡수는 부화 후 33일에 거의 이루어졌다. 전장, 전중 및 체세포 중량의 성장곡선은 Gompertz의 성장모델에 잘 적합되었다. 그러나 난황장, 난황중, 난황고 및 난황부피는 난황흡수가 완전히 이루어지기까지 선형의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전장과 전중 혹은 전중과 난황중 등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상대성장도 역시 조사되었다.

  • PDF

첨단산업 부품소재인 희토류의 가격파동에 대해서 (Price Rally of Rare Earth, Material for High-Tech Products)

  • 최판규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6-119
    • /
    • 2011
  • 지난해 9월7일 일본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부근에서 중국어선이 조업을 하던 중, 일본 순시선이 영해침범 혐의로 중국어선에 정선을 명령하자 순시선을 들이받는 사건이 발생했다. 순시선은 영해를 침범한 혐의로 중국어선을 오키나와로 나포했고, 이후 이 사건은 일본과 중국의 영토문제, 외교 및 경제 갈등으로 확산되었다. 이번 사태의 핵심에는 센카쿠 열도에서 일어난 사건에 국내법을 적용, 사법 처리하는 선례를 남기면서 자국의 '실효 지배'라는 사실을 국제무대에 알리고자 했던 일본의 속내와 이 지역을 '국제분쟁지역화' 하고자 한 중국의 속내가 얽혀있었다. 이러한 갈등 과정에서 양국 정상들의 회담이 무산되고 중국과 홍콩에서 반일시위가 일어나는 등 대립이 수개월간 지속되다 중국이 일본에 희토류 수출중단이라는 초강경 경제보복을 하자마자 일본은 무조건적으로 중국어선 선장을 석방하고 이 사건을 마무리 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전문가는 물론 많은 일반 사람들까지도 "희토류"라는 것이 어떤 물질이며, 어디에 쓰이며,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인식하게 되었다. 최근 중국정부의 희토류관련 정책에 따라 희토류 가격이 급격히 오르면서, 세계적으로 큰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글에서는 희토류 가격파동과 향후 전망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실내수조에서 인위적 수온자극이 참가리비 폐사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Mortality of Korean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Affected Critical Changed Water Temperature at Indoor Tanks)

  • 오봉세;조규태;이정용;권문경;이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3-198
    • /
    • 2011
  • 인위적 수온급변이 참가리비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온변화는 봄과 여름철에 동해안에서 나타나는 변화양상을 실험실 내 사육수조에서 인위적으로 유도하였다. 봄철 저수온 기간 중 수온 자극에 의한 참가리비의 생존율은 평균 51.6%를 보였고, 소형패 (85.82%) 와 대형패 (55.0%) 보다 중형패에서 4.4%로 가장 낮았다. 여름철 고수온 기간 중 수온 자극에 의한 참가리비의 생존율은 평균 43.3%를 보였으며, 중형패 (60.0%) 보다 소형패가 46.7%로 낮게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봄철보다 여름철에 생존율이 더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참가리비의 폐사가 수온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봄철 중형패의 낮은 생존율은 충분한 영영 공급을 받는 소형패나 두 번의 겨울을 보내 수온변화에 적응한 대형패에 비해 충분히 성장하지 못한 상태에서 겨울을 보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보인다.

2007년 봄 인천만 갯벌에 있어 폭풍으로 인한 갯벌의 침식작용에 의해 대기 중으로 노출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조직병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athologic condition of the strande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y storm-originated sediment erosion in spring 2007 in Incheon Bay off the west coast of Korea)

  • 박광재;양현성;정희도;최광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7-154
    • /
    • 2013
  • In Incheon bay, mass mortalities of Manila clam associated with winter storms have been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monitored pathologic condition of the clams stranded on the tidal flats by the winter storms occurred in late March to early April in 2007. The field surveyed indicated that mortality of the Manila clam in the study areas ranged 10-15%. Condition index, a ratio of tissue weight to the shell weight, of the stranded clam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n-stranded normal clams collected from the same locations (p < 0.05), indicating that the stranded clams were comparatively in poor physiological condition. Perkinsus olseni, the protozoan parasite was observed most of clams used in the analysis and the infection prevalence ranged 77-90%. The infection intensity of P. olseni determined using Ray's fluid thioglycollate medium (RFTM) cultivation and the 2M NaOH digestion assay indicated that the clams collected during late March and early April in 2007 involved 67,182-1,124,727 P. olseni cells/g tissue. The infection intensity of clams from Gung-Pyeu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tensities observed from Dae-Bu and Young-Heung (p < 0.05). No clea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infection intensities of P. olseni in the non-stranded normal clams and the stranded clams. The stranded Manila clams were also infected with trematode parasite with the prevalence ranged 5 (Young-Heung) to 12.5% (Dae-Bu). The trematode-infected clams exhibited castrated follicles in the gonad, a typical sign of trematode infection. It was believed that mass mortality of Manila clam observed in this study was associated with the poor physiological condition as indicated by CI, although impacts of the parasite infection cannot be ruled out.

韓國의 冬季 降水 分布에 關한 綜觀氣候學的 硏究 (A Synoptic Climatological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Winter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 박병익;윤석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1-46
    • /
    • 1997
  • 본 연구는 남한의 동계 일강수량 데이터를 기초로 매일매일의 분포도를 작성하여, 강수의 공간적 분포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강수의 공간적 분포유형과 그 종관적 특성과의 대응관계를, 먼저 기압배치형을 중심으로, 그리고 강수분포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지상일기도로 볼 때 유사한 특성을 지닌 울릉도형과 울릉도${\cdot}호남 동시 출현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850hPa, 700hPa, 500hPa면의 기압장, 기온장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울릉도지역은 강수계급에 관계없이 높은 출현빈도를 보이고, 동해안은 5mm 이상에서, 호남지역은 1~5mm구간에서 더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동계강수분포형은 12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 분포형은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인다. 울릉도형과 울릉도${\cdot}$호남 동시 출현형 간의 강수분포의 차이는 풍향, 풍속보다는 상층 한기의 이류 양상과 관련이 깊다.

  • PDF

찰가자미, Microstomus achne의 성성숙과 생식소발달 (Sexual Maturity and Gonadal Development of Slime Flounder, Microstomus achne)

  • 변순규;김성연;김진도;이배익;이종하;한경호;정민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9-186
    • /
    • 2011
  • 찰가자미는 우리나라 연해, 일본 서해, 발해, 황해 및 동중국해에 서식하며, 겨울철인 12월에서 3월 사이에 어획된다. 채집이 가능하였던 2006년 1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찰가자미의 생체지수, 생식소발달, 생식주기, 난경조성 및 포란수 등을 조사하였다. 찰가자미의 생식소중량지수(GSI)는, 암컷의 경우 11월에 3.8에서 12월 9.76, 1월 12.46까지 계속 상승하다가, 2월에 9.01, 3월 2.72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수컷도 11월 0.44에서 12월 2.46로 상승한 후 l월에 1.77, 2월에 1.18로 점차 감소하여 3월에는 0.4로 감소하였다. 생식소발달 단계는 성숙기(11~1월), 완숙 및 산란기(l2~2월), 퇴화 빛 휴지기 (2~3월)의 연속적인 생식 주기가 관찰되었으며, 주 산란기는 1~2월이었다. 포란수(F)와 전장(TL)과의 관계는 F=29.027TL - 767.8 (r$^2$=0.7686)로 나타났고, F와 체중(BW)과의 관계는 F=0.3998BW +24.288 (r$^2$=0.8919)로 나타났다.

꽃게액비 엽면시비가 추부 들깻잎의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id Fertilizer of Portunus trituberculatus Foliar Application on the Proximate Components of Chubu Perilla frutescens Leaves)

  • 안갑선;조전권;안승원;조현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583-158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content of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fatty acids and organic acids in perilla leaves. (1) As compared to the controlled with Ammonium sulfate fertilizer, the yield of Perilla frutescens leaves increased by 7.3% and 12.8% of biomass at 2000 and 1000 times liquid respectively, but decreased by 7.6% at 500 times. The lipid and protein contents of perilla leaves were higher than those of Portunus trituberculatus liquid at 1000 times. The average contents of minerals (mg/100g) were as follows; K (638.4) > Ca (561.6) > P (145.4) > Mg (133.5) > Fe (36.2) > Zn (1.9) > Mn (1.6) > Na (1.4 mg).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rolled with P. trituberculatus liquid was relatively low. (2) The fat-soluble vitamin E content of P. frutescens leaves was 3.4, 3.9, 3.3, and 3.9 mg in the controlled with liquid by 500, and 1000, 2000 times respectively; Vitamin A contents were 6.4, 8.9, 10.9, and 8.5 mg respectively, which was more than twice as much as the corresponding vitamin E content. The water soluble vitamin C contents were 177.9, 172.6, 195.2, and 163.5 mg respectively. (3) Amino acid contents of P. frutescens leaves in 100 g of fresh weight were 3821.7 mg in the controlled with Ammonium sulfate fertilizer and 3918.8, 4054.0, and 4005.4 mg in the controlled with P. trituberculatus liquid at 2,000, 1000, 500 times respectively. Amino acid contents of each controlled group with P. trituberculatus liquid above were as small as 2.5~6.1%, and these contents of amino acid were as follows: Glutaminic acid > Aspartic acid > Leucine > Arginine > Phenylalanine. In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microorganism and a variety of amino acid fertilizer to supplement the study on new manufactu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