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st Asian monsoon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초

SSM/I 대기물수지 변수를 이용한 1994-95년 하계 몬순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1994-95 Summer Monsoon Inferred from SSM/I-derived Water Budget Parameters)

  • 손병주;김도형;김혜영;서애숙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6
    • /
    • 1998
  • 미국 군사기상위성 프로그램의 SSM/I 센서에서 관측한 마이크로파 복사자료를 이용하여 대기수문변수 (수증기량, 구름수적량, 강수율)를 추정하였으며, 이 자료를 동아시아 하계 몬순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활용하였다 한반도를 포함한 중국 북동부, 일본 지역에 가뭄현상이 나타났던 1994년과 정상적인 몬순활동을 보였던 1795년의 6, 7, 8월을 사례로 선택하였으며 분석영역은 (0$^{\circ}$-60$^{\circ}$N, 45$^{\circ}$-180$^{\circ}$E)의 아시아몬순 지역이다. 분석 결과 북위 20-30$^{\circ}$위도대에서 날짜변경선 부근으로부터 동아시아 몬순지역으로 건조한 영역 (적은 수증기 영역)의 서쪽이동이 약 20-30일 주기로 나타나고 있다. 건조지역의 서쪽 이동은 북태평양고기압의 동아시아몬순 지역으로의 확장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동아시아 몬순지역에 수증기의 공급 등 대류활동을 증진시키는 요인을 제공하여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확장은 몬순의 진행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파악된다.

Boundary Layer Ozone Transport from Eastern China to Southern Japan: Pollution Episodes Observed during Monsoon Onset in 2004

  • Pochanart, Pakpong;Wang, Zifa;Akimoto, Hajime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9권1호
    • /
    • pp.48-56
    • /
    • 2015
  • The trajectory analysis of boundary layer ozone data at four regional sites in the East Asian outflow regions in Japan was carried out together with boundary layer ozone data observed at Mt. Tai and Mt. Huang in the source region of central eastern China during the monsoon onset in May-June 2003 and 2004. At all sites, the influences of anthropogenic emissions from East Asia have been found. During May and June 2004, the evidences of direct pollution transport from central eastern China to Hedo, an outflow site in Okinawa Island were observed. Ozone mixing ratios associated with air masses from central eastern China averaged 45 ppb while those associated with clean air masses from the Pacific were only 14 ppb, which resulted in averaged 31 ppb increase of ozone mixing ratios during the pollution episodes from central eastern China at Cape Hedo. Using transport time analysis and averaging all ozone episodes transported from central eastern China, the ozone dilution rate of 5.4 ppb per day was roughly estimated during air masses transported from source to outflow regions at Hedo. In the regions nearby Japanese mainland, however ozone increases by long-range transports were more related to both domestic and East Asian sources as a whole.

아시아 季節風과 쿠로시오가 黃海, 東海 및 東支那海의 表面水溫에 미치는 影響 (Infouences of the Asian Monsoon and the Kuroshio on the Sea Surface Temperatures in the Yellow, the Japan and the East China Seas)

  • 강옥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
    • /
    • 1985
  • 아시아 계절풍과 쿠로시오에 의한 계절적인 열수송이 황해, 동해 및 동지나해 의 표면수온 연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해면수온의 변화에 대한 간 단한 해석적 모델을 만들었다. 상기 해역에서 아시아 계절풍에 의한 열수송의 연변 화는 태양복사에너지의 연변화와 위상이 거의 일치하지만, 쿠로시오에 의한 열수송 은 복사에너지와 위상이 거의 정반대이다. 아시아 계절풍에 의한 계절적 열수송의 영향을 많이 받는 황해에서 표면수온의 연평균은 같은 위도의 동해에 비하여 낮으 며, 여름과 겨울의 표면수온차는 2$0^{\circ}C$이상으로서 세계전해양 중에서 가장 연교차폭 이 크다. 동해북서부 해역도 역시 아시아 계절풍과 한류에 의한 열이송의 효과가 합세함으로 인하여 표면수온의 연교차가 크다 그러나 쿠로시오와 쓰시마난류 해역 에서는 해류에 의한 열이송으로 인하여 표면수온의 연평균은 높으나 연교차폭은 작 다.

원격상관을 이용한 북동아시아 여름철 강수량 예측 (A Prediction of Northeast Asian Summer Precipitation Using Teleconnection)

  • 이강진;권민호
    • 대기
    • /
    • 제25권1호
    • /
    • pp.179-183
    • /
    • 2015
  • Even though state-of-the-art general circulation models is improved step by step, the seasonal predictability of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still remains poor. In contrast, the seasonal predictability of western North Pacific and Indian monsoon region using dynamic models is relatively high. This study builds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model for seasonal prediction using wind fields over western North Pacific and Indian Ocean from the Global Seasonal Forecasting System version 5 (GloSea5), and then assesses the predictability of so-called hybrid model. In addition, we suggest improvement method for forecast skill by introducing the lagged ensemble technique.

동아시아 몬순 지역에서 IODM과 ENSO의 영향 : NCAR Community Atmospheric Model을 이용한 모의 실험 (Impact of IODM and ENSO on the East Asian Monsoon: Simulations through NCAR Community Atmospheric Model)

  • 오재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40-249
    • /
    • 2005
  • 일반적으로 인도양 동쪽 해수면 온도는 따뜻하고, 서쪽 해수면 온도는 차갑다. 이러한 인도양 동/서쪽의 해수면 온도 변화는 인도 해양 다이폴 현상(Indian Ocean Dipole Mode, IODM)이 그 원인이다. 다이폴의 양의 위상은 서쪽 인도양에 양의 SST 아노말 리가 나타나고, 남동 인도양에는 음의 SST 아노말리가 나타나고 음의 위상은 이와 반대의 SST 아노말리가 나타난다. 반면 태평양의 경우, 일반적으로 서쪽 해수면 온도는 따뜻하고, 동쪽 해수면 온도는 차갑다. 중앙/동(서) 태평양 해양의 양(음)의 SST 아노말리가 현상이 나타날 때는 엘니뇨 시기이다. 이와 반대의 SST 아노말리 현상은 라니냐 시기이다 이러한 태평양의 대기-해양간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엘니뇨 난방진동(El Nino Southern Oscillation, ENSO)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IODM과 ENSO현상에 따른 동아시아 몬순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해 관측자료와 NCAR MCA모델 자료를 사용하였다 IODM과 ENSO 현상과 관련된 SST 아노말리 5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IDO모드는 최고의 값이 나타난 이후 약 $3\~4$계절의 시간 지연을 가지고 동아시아의 여름 몬순 활동에 영향을 주는 반면, ENSO는 동아시아 여름 몬순과 같은 계절에 영향을 준다. IODM 음(양의)위상과 태평양에서의 엘니뇨(라니냐) 현상은 한국과 일본지역에서 몬순 활동을 강화(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중국 지역에서는 IDOM과 몬순 변동성과는 별다른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엘니뇨(라니냐)일 때, 중국 지역에서 몬순 활동은 억제(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IODM은 북태평양 아열대 고기압이 강화 할 때 나타나고, ENSO는 북서 태평양 알류산 저기압의 영향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태평양으로부터 동아시아 쪽으로의 수분 공급은 아열대 고기압과 알류산 저기압의 강화/약화에 의해 결정된다.

동굴생성물(석순)을 이용한 한반도 고기후 연구 - 홀로세의 몬순 변화를 중심으로 - (Asian Monsoon Variation revealed by the speleothem records from Pyeongchang, Korea)

  • 유근배;공달용;이현아;김찬웅;임종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39-449
    • /
    • 2016
  • 몬순 시스템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변화에 대한 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평창에서 확보한 석순에 기록되어 있는 한반도 홀로세 중후기 고기후의 변화 특성과 몬순 변동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절단면의 성장성 분석과 탄소 및 산소동위원소 분석, 그리고 방사성 탄소연대측정 등을 수행하였다. 석순은 약 4580 yr BP에서 660 yr BP 사이에 생성된 것으로, 미약한 중기 청동기저온기, 철기저온기-로마온난기, 중세암흑저온기가 나타났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해당기간 확인된 몬순 약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기존 연구에 비해 다소 빨리 발생 하였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WRF, MM5, RSM 모형에서 모의한 2004년 7월 11-18일의 동아시아 몬순의 비교 (Intercomparison of the East-Asian Summer Monsoon on 11-18 July 2004, simulated by WRF, MM5, and RSM models)

  • 함수련;박선주;방철한;정병주;홍성유
    • 대기
    • /
    • 제15권2호
    • /
    • pp.91-99
    • /
    • 2005
  • This study compares the summer monsoon circulations during a heavy rainfall period over the Korean peninsular from 11 to 18 July 2004, simulated by three widely used regional models; WRF, MM5, and RSM. An identical model setup is carried out for all the experiments, except for the physical option differences in the RSM. The three models with a nominal resolution of about 50 km over Korea are nested by NCEP-DOE reanalysis data. Another RSM experiment with the same cumulus parameterization scheme as in the WRF and MM5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the representation of subgrid-scale parameterized convection in reproducing monsoonal circulations in East Asia. All thee models are found to be capable of reproducing the general distribution of monsoonal precipitation, extending northeastward from south China across the Korean peninsula, to northern Japan. The results from the WRF and MM5 are similar in terms of accumulated precipitation, but a slightly better performance in the WRF than in the MM5. The RSM improves the bias for precipitation as compared to those from the WRF and MM5, but the pattern correlation is degraded due to overestimation of precipitation in northern China. In the comparison of simulated synoptic scale features, the RSM is found to reproduce the large-scale features well compared to the results from the MM5 and WRF. On the other hand, the simulated precipitation from the RSM with the convection scheme used in the MM5 and WRF is closer to that from the WRF and MM5 simulations, indicating the significant dependency of simulated precipitation in East Asia on the cumulus parameterization scheme.

CORDEX 동아시아 지역에서 HadGEM2-AO를 경계조건으로 처방한 RegCM4의 상세 지역기후 모의성능 (Simulation Skills of RegCM4 for Regional Climate over CORDEX East Asia driven by HadGEM2-AO)

  • 오석근;서명석;차동현;최석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732-74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HadGEM2-AO 자료를 처방한 RegCM4를 이용하여 CORDEX 동아시아 영역에 대한 27년(1979-2005)간의 장기적분을 수행하였고, 기온과 강수에 대한 모의성능을 분석하였다. RegCM4는 전반적으로 기온의 공간분포, 계절 및 경년변동을 현실성 있게 잘 모의한 반면, 강수의 경우 시 공간 분포를 적절히 모의하지 못하였다. 특히, RegCM4는 동아시아 여름몬순에 의한 강수대를 위도 $30^{\circ}N$ 이하에서 정체하게 모의하면서 여름철 남한의 강수를 매우 과소하게 모의하였다. HadGEM2-AO를 적용한 RegCM4는 기온모의에서는 재분석자료를 처방한 경우와 유사한 모의성능을 보이지만, 강수모의에서는 현저히 낮은 모의성능을 보였다. 이는 여름철 남서풍을 상대적으로 저위도에 치우치게 모의하는 HadGEM2-AO의 특성이 RegCM4에 영향을 주어 동아시아 여름몬순 강수대의 발달-쇠퇴과정을 RegCM4가 적절히 모의하지 못하면서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Strengthened Madden-Julian Oscillation Variability improved the 2020 Summer Rainfall Prediction in East Asia

  • Jieun Wie;Semin Yun;Jinhee Kang;Sang-Min Lee;Johan Lee;Baek-Jo Kim;Byung-Kwon Moo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85-195
    • /
    • 2023
  • The prolonged and heavy East Asian summer precipitation in 2020 may have been caused by an enhanced Madden-Julian Oscillation (MJO), which requires evaluation using forecast models. We examined the performance of GloSea6, an operational forecast model, in predicting the East Asian summer precipitation during July 2020, and investigated the role of MJO in the extreme rainfall event. Two experiments, CON and EXP, were conducted using different convection schemes, 6A and 5A, respectively to simulate various aspects of MJO. The EXP runs yielded stronger forecasts of East Asian precipitation for July 2020 than the CON runs, probably due to the prominent MJO realization in the former experiment. The stronger MJO created stronger moist southerly winds associated with the western North Pacific subtropical high, which led to increased precipitation. The strengthening of the MJO was found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of East Asian summer precipitation.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does not discuss the impact of changes in the convection scheme on the modulation of MJO.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other factors that could strengthen the MJO and improve the forecast.

Impact of Change in Monsoonal Circulation Due to SST Warming on the North East Asian Monsoon: A Model Analysis Using Satellite Based Sub-Grid Hydrometeors

  • Bhattacharya, Anwesa;Park, Rae Seol;Kwon, Young Cheol
    •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 /
    • 제54권4호
    • /
    • pp.545-561
    • /
    • 2018
  • Over the North East Asia, extreme anomalous precipitation were observed in 2013 and 2014. During 2013 summer the precipitation was found to be higher (two standard deviation) than the climatological mean of the region; whereas during 2014, which was a borderline El Ni?o year, precipitation was found to be lower (one standard deviation).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these two anomalous years the Global/Regional Integrated Model system (GRIMs) has been used. The study found that low landsurface temperature and high sea-surface temperature over ocean caused a smaller land-sea contrast of surface temperature between East Asia and North West Pacific Ocean in 2014, which could have caused an eastward shift of mean monsoon circulation in that year compared to the circulation in 2013. Due to a change in the lower level circulation and wind field over East Asia the evaporation and moisture transport patterns became very different in those two years. In 2013, this study found high latent heat flux over Eastern China, which implies an increased surface evaporation over that region, and the moisture transported to the north by the mean monsoon circulation; whereas, there was no correlated transport of moisture to the North East Asia during 2014. The precipitable water over North East Asia has a stronger correlation with the latent heat flux over southern land region than that from Ocean region in the eastern side in both the years. A new approach is proposed to estimate the sub-grid scale hydrometeors from GRIMs, overestimated in the existing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