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uences of the Asian Monsoon and the Kuroshio on the Sea Surface Temperatures in the Yellow, the Japan and the East China Seas

아시아 季節風과 쿠로시오가 黃海, 東海 및 東支那海의 表面水溫에 미치는 影響

  • 강옥균 (부산수산대학 해양학과)
  • Published : 1985.08.01

Abstract

A simple analytic model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SST) is develop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Asian monsoon and the Kuroshio on the annual variations of SST by the Asian monsoon is almost in phase with the incoming radiation whereas that by the Kuroshio is out of phase with the incoming radiation. In the Yellow Sea, due to the heat advection by the Asian monsoon, the yearly mean SST is low and the annual range of SST exceeds 20$^{\circ}C$. The annual range of SST in the northwestern Japan Sea is large because of the combined effects of the Asian monsoon and the cold water advection. In the Kuroshio and in the Tsushima Current regions, the annual range of SST is small and the mean SST is high due to the heat advection by warm currents.

아시아 계절풍과 쿠로시오에 의한 계절적인 열수송이 황해, 동해 및 동지나해 의 표면수온 연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해면수온의 변화에 대한 간 단한 해석적 모델을 만들었다. 상기 해역에서 아시아 계절풍에 의한 열수송의 연변 화는 태양복사에너지의 연변화와 위상이 거의 일치하지만, 쿠로시오에 의한 열수송 은 복사에너지와 위상이 거의 정반대이다. 아시아 계절풍에 의한 계절적 열수송의 영향을 많이 받는 황해에서 표면수온의 연평균은 같은 위도의 동해에 비하여 낮으 며, 여름과 겨울의 표면수온차는 2$0^{\circ}C$이상으로서 세계전해양 중에서 가장 연교차폭 이 크다. 동해북서부 해역도 역시 아시아 계절풍과 한류에 의한 열이송의 효과가 합세함으로 인하여 표면수온의 연교차가 크다 그러나 쿠로시오와 쓰시마난류 해역 에서는 해류에 의한 열이송으로 인하여 표면수온의 연평균은 높으나 연교차폭은 작 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