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revolution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9초

지구 공전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주제-특이적 PCK 발달과정 탐색을 위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for Exploring Topic-Specific PCK Progression on Elementary Teachers' Instruction of 'Earth Revolution')

  • 이정아;이기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4호
    • /
    • pp.405-427
    • /
    • 2017
  • This study aims to describe various teaching cases about 'earth revolution' in terms of PCK; knowledge of curriculum,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and knowledge of assessment. Based on these various cases we suggested PCK progressions about 'earth revolution'. For these, we recorded 'solar system and star' classes of n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angwon, Gyeonggi, Gwangju, and Seoul. We adopted Lee & Lee (2016)'s topic-specific PCK framework to analyze the classes. As results, we suggested topic-specific PCK progression about 'earth revolution'. The results showed the upper anchor of the earth revolution class were exploring the reason of the change of constellation, finding the tendency of constellation change. These teachings were carried by the teachers' adaptive strategies. The upper anchor of the assessment was monitoring students' understanding during the whole class. The PCK progression about 'earth revolution' could help the teachers plan the earth revolution class, and reflect their own teachings.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공전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Research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in Experiments of Earth's Revolution by School Level)

  • 한제준;채동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7-304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의 공전 실험에 대해 알아보고,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공전 실험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자는 지구의 공전을 학습할 수 있는 8가지의 실험 방법을 조사 또는 개발하였다. 초등 예비교사 26명에게 이 실험을 실시하고 토의하도록 한 후,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공전 실험을 선택하고 이유를 쓰도록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계절별 별자리가 달라지는 실험, 중·고등학교에서는 계절별 별의 스펙트럼을 비교하는 실험, 대학교에서 외행성의 역행운동이 효과적이라고 선택하였다. 예비교사는 직접 체험의 가능 여부, 교과 내용과 연계되는 정도, 배경지식과 고차원적인 사고의 정도를 실험 선택의 이유로 제시하였다.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선개념 조사 (The Investigation of Six Grade Students' Preconceptions about the Cause of Seasonal Change)

  • 채동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2호
    • /
    • pp.204-212
    • /
    • 2011
  • This research is about the six graders' preconceptions in elementary school about a cause of the seasonal change before learn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patterns of six graders's preconceptions in elementary school are earth's rotation, earth's revolu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and the location factor between the sun and our country, which are mixed up with two more things. Especially many patterns of students explain the seasonal change of our country using the change of location of our country by earth's rotation, the location factor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by earth's revolution.

Analyzing Causes of Seasonal Changes Displayed by Primary Teachers at the Equator

  • Chae, Dong-Hyu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59-766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10 Belizean teachers' conceptions about the causes of seasonal chang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n integrated method using a open ended written test and an interview which included a drawing. There are four categories, explained by the teachers, as the causes of seasonal changes. They are; climate, rotation of the earth on its axis, revolution of the earth around the sun, and the tilting of earth's axis as it revolves. Most teachers misunderstood that the first of three categories was responsible for seasonal change. Second, it is more effective to use the integrated method shown in this research than to use only a written test when seriously investigating the causes and understanding of seasonal change. Third, 8 out of 10 teachers could not correctly explain the causes of seasonal change. The reasons for seasonal change seemed to be hard for the informants to understand even though it was taught in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college elective classes.

행성의 공전 운동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이해와 설명 모델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Planetary Revolution Movement and Their Explanatory Models)

  • 맹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1호
    • /
    • pp.1-12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planetary revolution movement of Mars and their explanatory models to show how the Sun-Earth-Mars system worked. An assessment item set using five celestial maps drawn from the Stellarium was designed to prob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prograde-retrograde motion of Mars. Among 23 participants, only four showed scientifically accurate understanding of Mars movement and drawing correct explanatory models for the planetary movement. Even the pre-service teachers who construed correctly prograde and retrograde motions of Mars showed a clockwise movement model due to their intuitive perceptions of Mars movement data from the celestial maps. Pre-service teachers with poor understanding of planetary movement also showed weak explanatory models due to their limited observation or lower spatial thinking. Although the planetary motion is not an easy topic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t can be argued if the alternative approach, such as using appropriate observational data of a planet and changing the frames of reference between Earth-based view and Space-based view, is employed effectively in teaching planetary motion, pre-service teachers can reach the upper level of leaning planetary motion in terms of the planet's revolution.

지구의 공전과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공간적 추론 발달 경로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Elementary Students' Developmental Pathway of Spatial Reasoning on Earth Revolution and Apparent Motion of Constellations)

  • 맹승호;이기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81-494
    • /
    • 2018
  • 이 연구는 3개월 동안 별자리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그것을 묘사하고 그와 같은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이 발생하게 된 원인을 별자리와 태양, 지구의 위치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다층 서답형 문항(multi-tiered constructed response items)을 초등학생들에게 시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의 공전과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을 이해할 때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공간적 추론의 유형을 구분하여 학습발달과정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네 곳의 6학년 학생들 6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지구와 달의 운동 단원을 학습하기 전과 단원 학습한 후에 각각 동일한 검사지로 검사를 행하여 응답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응답 결과를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지구의 공전 운동을 이해하는데 적용된 공간적 추론의 유형을 수준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서 각 수준별 학생들의 분포를 비교하여 교사의 교수활동을 통해 개별 학생들의 공간적 추론 수준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파악하여 학습발달과정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학생들의 응답 결과 하위 정착점은 별자리가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고 해석하는 지구 중심 우주관에 근거한 서술이 있었다. 중간 단계 수준의 응답으로 지구의 운동을 평면적으로 이해하거나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함에 따라 별자리도 지구를 따라서 움직인다는 직관적인 태양 중심 우주관에 해당하는 서술이 있었다. 학생들의 응답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별자리의 운동을 지구의 공전에 따른 겉보기 운동으로 이해하고, 점차 지구에서 보는 관점의 관측 사실을 우주에서 내려다보는 관점의 설명 모델로 전환하여 이해하는 서술이 있었다. 상위 정착점 수준의 학생들은 태양 중심 우주관에 근거하여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과 지구의 공전을 과학적으로 서술하였다. 학습발달과정의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학생들의 실제 응답 결과에 근거한 발달의 경로를 조사한 Evolutionary LPs 에 해당하며, 직관적 사고의 극복 여부, 지구에서 보는 관점과 지구 밖 우주에서 내려다보는 관점 간의 전환 능력 등이 초등학생들의 학습발달의 경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임계 포인트가 됨을 논의하였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 나타난 일월성진(日月星辰)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un-Moon-Stars(日月星辰) appeared in Huang Ti Nei Chin(『黃帝內經』))

  • 박찬영;김기욱;박현국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5권
    • /
    • pp.281-306
    • /
    • 1996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un-Moon-Stars(日月星辰) in Huang Ti Nei Ching("黃帝內經") on the formation of the Yunqi theory(運氣理論) have revealed following conclusions. 1. There was a record of Stars(星辰) written by Gabgol-Character(甲骨文字) in the Yin(殷) Dynasty. But the very first documentary records of Stars(星辰) is Shu Jing("書經"). Ancient astronomy had the tendency of astrology of combined with theory of the Five Elements(五行) and finally effects the theory of formation of Huang Ti Nei Ching("黃帝內經"). 2. Shu Jing("書經") said that Junrak(錢樂) made an Armillary sphere(運天儀) in the Sung(宋) Dynasty. And in the Jin(秦) and the Han(漢) Dynasty, they already observed the stars. The Sunkiokhyung(璿機玉衡) which is machinery of star-observing, became to be called an Armillary sphere (運天儀) by the pass of times. 3. As of the theory of the Cosmos-structure(宇宙-構造論) in Ohanunhangdaeron("五運行大論"), Guiyugu(鬼兒區) announced the Hypothesis of Covering Heaven(蓋天說) but Kibak(岐伯) supported the Hypothesis of chaosheven's(蓋天說) and in the theory of atmosphere(大氣論) in Ohanunhangdaeron("五運行大論") said that the earth was in Great Empty(太虛) and it was floating in the universe by the Great Chi(大氣). 4. The knowledge about the Five stars(五星) in Huang Ti Nei Ching("黃帝內經") is presented in the section of Gemgwejineonron("金?眞言論"), Gigoupyondaeron("氣交變大論"), Youkwonjeonggidaeron("六元正紀大論").ln the method of identifying the Five stars(五星) presented the criteria of the brightness, the altitude, the colours and the orbit etc. 5. The jupiter which has twelve year's revolution cycle was the basis of determination on the Twelve constellation(12辰), the Twelve field of heaven(12次), the Twelve Houses in the ecliptic(黃道 12宮), the Twelve Earth's Branches(12支) and the Twelve fields of Earth(12分野) and also it became the origin of the duodecimals(12進法). 6. The saturn having about twenty-eight year's revolution cycle became the criterion in identifying the Twenty Eight Constellations(28宿) which was used as the coordinates of the Celestial sphere (天球). 7. By the Percussional movement(歲差運動), the position of polaris and the Vernal-Antumal equinox(春秋分点) were shifted. Therefore the ancient the Heaven Gate-Earth Door(天門-地戶) changed from the position of Sil-Byuk(室壁), Yik-Jin(翼軫). And the precisional movements brought about the concept of the WunHoyYunSe(元會運世) that is a method of dividing a period. Also the precisional movement gave three dimension(三次元) foundation interpreted the Sixty JiaZi (六十甲子) which is revolving through sixty years uniformally. 8. The Hypothesis of the Nine Houses and Eight Winds(九宮八風論) which is one field of the astrology of ancient polaris-nine Houses divination plate(太一九宮占盤) brought about the concept of deficiency and excess and the concept of the Wind Vice(風邪). In the Calendar System(曆法) presented in Huang Ti Nei Ching("黃帝內經") the tropical year of the Sun-Moon-Stars(日月星辰) and the revolution and the rotation of the earth give explanations the changes of Yin-Yang(陰陽) by the use of the ten Celestial branches(十干) and the twelve Earth branches(十二支).

  • PDF

대륙이동설을 통해 살펴본 새로운 과학이론의 제안전략과 확립과정 (Proposal Strategy and Establishment Process of a New Scientific Theory Examined through the Theory of Continental Drift)

  • 오준영;이은주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0-33
    • /
    • 2024
  • 이 연구의 목표는 지구과학의 혁명 과정으로 설명되는 20세기 베게너의 대륙이동을 정당화하는 과학자들의 과학 활동을 살펴보면서 새로운 과학 이론의 제안 전략과, 이론 선택의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방법론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 이전에는 지구는 정적인 지구모형으로 지각의 상하 운동만을 고려하였다. 하지만 대륙이동설은 지구의 동적 모형으로 지각의 수평운동을 제안하여, 수많은 문제들을 제거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재의 판구조론이 형성되기까지 수많은 과학자들의 합리적인 활동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대륙이동설은 기존의 정적모형인 지구수축설과 충돌한다. 즉, 지구가 이미 완성되고, 고정되고, 불변하는 정적인 모델이 아닌, 지구가 생성되고 변화하는 역동적인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기계론적 세계관에서 벗어난다. 이러한 결과, 옛 지질학은 약화되고 새로운 지구물리학이 탄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대륙이동설과 학문후속세대에 의한 지속적인 탐구는 지구과학의 혁명을 가져왔다. 이는 지구과학교육에서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의 교육자료로서, 학생들의 세계관의 변화를 위한 교육 자료로서 좋은 탐구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지구과학교육에서 소형 천체망원경을 활용하는 방법 (A Method of Utilizing Small Astronomical Telescopes in Earth Science Instruction)

  • 김경임;이염범
    • 천문학논총
    • /
    • 제2권1호
    • /
    • pp.47-60
    • /
    • 1985
  • Four observational astronomical item, have been pilottested with a 150mm refracting telescope in order to layout the detailed procedures for the suggested (inquiry) activities listed in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curriculum and to contrive some adequate instructions for students stressed on how to make proper treatments with the collected materials. The tested items were of sunspots' motion, the size of lunar craters, the Galilian satellites' revolution, and the galactic distribution of stars. Following series of activities are suggested with respect to the way of collecting observational data and of giving proper instruction to students in class: 1) Photography and other material, he made by teacher and/or extracurricular group of students; 2) Replicas (xeroxed, photographs, Or slides) he made from the collected materials, '0 that they are available to all the students in class; 3) Quantative analyses, be taken as student' activity.

  • PDF

미래 지질자원기술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 인식 비교 (A Comparison of Recognition between Expert Group and General People Group about Geo-technologies in the Future)

  • 김찬석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5호
    • /
    • pp.455-461
    • /
    • 2018
  • 본 연구는 지질자원기술의 미래상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인식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설문조사는 일반인 598명과 전문가 215명 등 두 그룹으로 나눠 조사 전문 회사에 의해 2017년 7~8월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문가들은 지질자원기술의 7가지 미래상에 대하여 에너지, 기후환경, 지질환경, 광물자원 재료, 삶의 터전, 우주지구 탐구, 4차 산업혁명 순으로 중요도의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인들은 7가지 지질자원기술 미래상에 대하여 기후환경, 지질환경, 에너지, 광물자원 재료, 삶의 터전, 우주지구 탐구, 4차 산업혁명 순으로 중요도의 우선순위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