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radiation therapy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7초

Waldeyer's Ring 임파종 : 방사선 치료의 결과 (Radiotherapeutic Result of Waldeyer's Ring Lymphoma)

  • 김주리;서현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261-267
    • /
    • 1990
  • 인제대학교 백병원 치료 방사선과 교실에서는 1984년에서 1990년 까지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Waldeyer's ring 임파종 환자 20명이 치료를 받았으며 이 중 17명의 환자가 조사기능하여 후향성으로 분석하였다. 방사선 조사량은 Waldeyer's ring에 35내지 50 Gy를 조사하였고 원발 병소 부위에 5 내지 10 Gy를 첨가로 조사하였다. 경부 하부 임파절은 35내지 60 Gy를 조사 받았다. 관찰기간은 9개월에서 78개월(중앙값 : 23개월)이었다. 5년 생존율은 $46.8{\%}$이고 5년 무병 생존율은 $43.8{\%}$였다. 재발은 치료 후 평균 10개월에 발견되었으며 대부분의 재발은 전신적으로 발생하였다. 1기 환자는 병소가 진행된 경우보다 경과가 좋았으며, 세포 유형도 예후에 영향을 나타내었다. 조기 병기의 환자에서는 방사선 조사의 결과와 방사선 조사와 화학요법을 병행한 결과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진행된 병기의 환자에서는 병행요법이 단독 치료 방법에 비해 예후가 좋았다.

  • PDF

T1N0 성문암의 방사선치료관련 예후 인자 분석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reatment-Related Prognostic Factors for Local Recurrence after Primary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Primary T1N0 Glottic Cancer)

  • 김수산;김상윤;남순열;최승호;조경자;김종훈;안승도;신성수;송시열;최은경;이상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4-40
    • /
    • 2003
  • Objective: To analyze the treatment-related parameters after the radiotherapy of T1N0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glottic larynx.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1989 and August 2000, 54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T1N0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glottic larynx who received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i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Asan Medical Center were analyzed. They were all males with age ranged from 31 to 80 years (median 61 years). 1997 AJCC stages were 31 T1a, 23 T1b. Patients were treated with 4-MV X-rays with a parallel-opposed two-field technique. Ten patients received 66.0-68.4Gy at 1.2Gy per fraction twice daily, 21 patients received 64.8-66.6Gy at 1.8Gy per fraction once daily, and 23 patients received 66.0Gy at 2.0Gy per fraction once daily. Follow-up period was 16-119 months (median 56 months). Results: 5-year overall survival and local control rates for patients with T1 lesions were 87.0% and 88.5%, respectively. 5-year local control with larynx preservation rate was 90.5%. Host and tumor-related prognostic factors including age, stage, anterior commissure involvement and tumor bulk proved not to be significant. Only shorter overall treatment time among treatment-related factors had correlation with imporved local control. Conclusion: Comparable high local control rate with organ preservation was achieved with primary radiation therapy and salvage surgery. Shortening of overall treatment time is related to improved local control rate. To determine the optimal fractionation scheme, randomized trial is mandatory.

초기 유방암의 유방 보존수술 후 방사선 치료 결과 (Clinical Outcome after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for Early Breast Cancer)

  • 조흥래;김철진;박성광;오민경;이진용;안기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204-212
    • /
    • 2008
  • 목 적: 유방 보존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치료의 성적과 무병 생존율 및 재발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3월부터 2003년 12월 까지 유방 보존수술 시행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7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추적 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58.4개월($43.8{\sim}129.4$개월)이었다. 전체 환자의 평균 연령은 41세, 중앙 연령은 40세이었다. 수술 후 조직학적 T 병기는 Tis가 7명, T1 38명(49.3%), T2 28명(36.3%), T3 3명, 미확인이 1명이었다. 액와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가 52명(67.5%), $1{\sim}3$개 전이가 14명(18.1%), 4개 이상이 3명(0.03%)이었다. 절제연이 음성인 환자는 59명이었고, 2 mm 이내로 근접한 경우는 15명, 양성인 경우는 2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전체 유방에 접사면으로 조사한 후 원발 병소 부위에 전자선으로 추가조사 하여 총 59.4 Gy에서 66.4 Gy를 시행하였다. 액와 림프절의 개수가 4개 이상인 경우에는 액와 림프절과 쇄골 상 림프절을 포함하여 $41.4{\sim}60.4$ Gy를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59명에서 시행되었고, 호르몬 치료로는 tamoxifen 또는 fareston을 사용하였으며 29명에서 시행하였다. 결 과: 5년 생존율은 98.1%이었으며, 5년 무병 생존율은 93.5%이었다. 총 77명의 환자 중 4명(5.2%)의 환자가 재발을 하였다. 1명은 쇄골 상 림프절 재발, 1명은 쇄골 상 림프절과 동시에 다발성 원격전이, 다른 2명은 원격전이가 발견되었다. 원발 병소 주위의 국소 재발은 추적 관찰 기간 중 발견되지 않았다. 림프절 전이 유무나 숫자는 재발이나(p=0.195)무병 생존율(p=0.30)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절제연이 양성인 2명 중 1명이 7개월 만에 재발을 하였고, 재발 기간까지 걸린 기간인 무병 생존기간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01), 재발 빈도도 절제연이 음성이거나 가까운 경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07). 그러나 절제연이 근접한 경우에는 절제연 음성인 경우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재발 빈도에 차이가 없었다(p=1.000). 재발된 4명은 모두 40세 이하로 9.2%의 재발률을 보인 반면, 40세 이상에서는 재발이 없었으나 두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255). 수술 후 조직학적 T 병기는 T2의 경우 4명(14%)이 재발한 반면, T1에서는 재발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84). 무병 생존율도 T2 환자의 경우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379). 무병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단변량 분석에서 수술 후 조직학적 T 병기, 절제연의 상태, p53 수용체 변이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왔다. 결 론: 초기 유방암에서 유방 보존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높은 국소제어율과 무병 생존율을 보이는 안전한 치료이다. 절제연 양성, 수술 후 조직학적 T병기, p53 수용체 변이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재발 위험이 높은 군에 속하였으며, 무병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Survival Rate and Prognostic Factors of Esophageal Cancer in East Azerbaijan Province, North-west of Iran

  • Mirinezhad, Seyed Kazem;Somi, Mohammad Hossein;Jangjoo, Amir Ghasemi;Seyednezhad, Farshad;Dastgiri, Saeed;Mohammadzadeh, Mohammad;Naseri, Ali Reza;Nasiri, Behna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7호
    • /
    • pp.3451-3454
    • /
    • 2012
  • Background: Esophageal cancer in Iran is the sixth most common cancer and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east Azerbaija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alculate survival rates and define prognostic factors in esophageal cancer patients. Methods: In this study, all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registered in the Radiation Therapy Center, during March 2006 to March 2011, were analyzed and followed up for vital statu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and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Results: Out of 532 patients, survival information was available for 460, including 205 (44/ 5%) females and 255 (55/4%) males. The mean age was $65.8{\pm}12.2$, ranging from 29 to 90 years at the time of diagnosis. 1-, 3- and 5-year survival rates after diagnosis were 55%, 18% and 12%, respectively, with a median survival time of $13.2{\pm}.7$ (CI 95% =11.8-14.6) months. In the univariate analysis, age (P=0/001), education (P=0/001), smoking status (P= 0/001), surgery (P= 0/001), tumor differentiation (P= 0/003) and tumor stage (P= 0/001)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Tumor morphology, sex, place of residence, tumor histology and tumor loca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rvival rate. In multivariate analysis, age (P = 0/003), smoking (P= 0/01) and tumor stage (P= 0/001)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s of survival. Conclusion: In summary, prognosis of esophageal cancer in North West of Iran is poor. Therefore, reduction in exposure to risk factors and early detection should be emphasized to improve survival.

병기 T1 성문암의 방사선치료 (Radiation Therapy in T1 Glottic Cancer)

  • 정은지;이상욱;이창걸;김귀언;김광문;홍원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6-31
    • /
    • 1996
  • Radiation therapy in T1 glottic cancer offers an excellent cure rate with preservation of voice. From 1983 to 1992 eighty nine patients with TNM staged T1N0M0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glottis were treated at the Dep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Cancer Center, Yonsei University. There were 84 men and 5 women with median age of 59 years. All patients were treated either with Co-60 teletherapy unit or 4MV linear accelerator with an median dose of 6400 cGy(6000-7000 cGy), 200 cGy per day, 5 days in a week. Fourteen local failures have been observed and the median time to local recurrence was 17 months. There were no nodal failure without local recurrence or distant metastases. The 5 year local control rate was 84.3%. The 5 year actuarial surivival rate and the 5 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were 89.2%, 87.5%, respectively. The 5 year actuarial survival rate and the 5 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of the nineteen patients with anterior commissure involvement were 77.8% and 74.5% which were lower than those of seventy patients without anterior commissure involvement(91.6%, 90.6%)(p < 0.05). Among the several influencing factors, anterior commissure involvement was the significant prognostic foctor. Final local control rate, taking into account the salvage surgery, was 89.9% at 5 years.

  • PDF

Novel biological strategies to enhance the radiation therapeutic ratio

  • Kim, Jae Ho;Jenrow, Kenneth A.;Brown, Stephen 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6권3호
    • /
    • pp.172-181
    • /
    • 2018
  • Successful anticancer strategies require a differential response between tumor and normal tissue (i.e., a therapeutic ratio). In fact,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a cancer therapeutic is of no clinical value in the absence of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differential response between tumor and normal tissue. Although radiation dose escalation with the use of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has permitted the maximum tolerable dose for most locally advanced cancers, improvements in tumor control without damaging normal adjacent tissues are needed. As a means of increasing the therapeutic ratio, several new approaches are under development. Drugs targeting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in cancer progression and more recently, immunotherapeutics targeting specific immune cell subsets have entered the clinic with promising early results. Radiobiological research is underway to address pressing questions as to the dose per fraction, irradiated tumor volume and time sequence of the drug administration. To exploit these exciting novel strategies, a better understanding is needed of the cellular and molecular pathways responsible for both cancer and normal tissue and organ response, including the role of radiation-induced accelerated senescence. This review will highlight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promising biologically targeted therapies to enhance the radiation therapeutic ratio.

직장암의 근치적 수술 후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의 순서 (Optimal Scheme of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in Rectal Cancer : Phase III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 김영석;김종훈;최은경;안승도;이상욱;김경주;이제환;김진천;유창식;김희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53-61
    • /
    • 2002
  • 목적 : 근치적 수술을 시행 받은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치료로서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을 시행 시,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의 시행 시점에 따른 생존율, 치료 실패양상, 부작용을 제 3상 전향적 무작위 비교임상연구를 통하여 비교함으로써 가장 적절한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의 순서를 결정하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월부터 1999년 3월까지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AJCC 병기 2기 및 3기의 직장암 환자 307명을 조기 방사선치료군(arm 1)과 지연 방사선치료군(arm II)로 나누어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전골반 영역에 45 Gy/25 fractions/s weeks를 시행하였고, 화학요법은 5-FU $375\;mg/m^2/day$와 leucovorin $20\;mg/m^2/day$를 방사선치료와 동시치료기간에는 3일씩, 화학요법 단독기간에는 5일씩 총 8회를 정맥주사 하였다. 조기 방사선치료군에서는 1회차 화학요법과 동시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고, 지연 방사선치료군에서는 3회차 화학요법에 맞추어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다. 307명 환자 중 50명이 본 연구에서 예정되었던 대로 방사선치료 혹은 화학요법을 받지 않았으며, 생존 환자 264명의 중앙추적관찰기간은 40개월이었다. 결과 : Arm I은 151명, arm II는 156명이 할당되었고, 5년 전체생존율은 양군에서 각각 $78.3\%,\;78.4\%$였고,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68.7\%,\;67.5\%$로 양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양군간의 5년 국소재발율은 $6.6\%,\;6.4\%$ (p=0.46)였고, 5년 원격전이율은 $23.8\%,\;29.5\%$ (p=0.16)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치료 중 RTOG grade 1 이상의 백혈구 감소증은 양군에서 $63.6\%,\;67.3\%$로 나타났으나, RTOG grade 3 이상의 백혈구 감소증은 각각 $1.3\%,\;2.6\%$로 매우 드물게 관찰되었다. NCI common toxicity criteria에 의한 grade 3 이상의 설사를 보고한 환자는 arm I에서 $63.0\%$, arm II에서 $58.2\%$였다(p>0.05). 결론 : 직장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보조적인 방사선화학요법으로 국소재발율을 낮출 수 있었다.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의 순서에 따른 양군간의 생존율과 치료 실패양상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후 방사선화학요법에 대부분의 환자가 큰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지만 치료 순응도는 더 높아져야 할 것이다.

Comparison between Early and Late Onset Breast Cancer in Pakistani Women Undergoing Breast Conservative Therapy: is There any Difference?

  • Bhatti, Abu Bakar Hafeez;Jamshed, Aarif;Khan, Amina;Siddiqui, Neelam;Muzaffar, Nargis;Shah, Mazhar Al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3호
    • /
    • pp.5331-5336
    • /
    • 2014
  • Background: Early onset breast cancer is associated with poor outcomes but variable results have been reported. It is a significant problem in Pakistani women but remains under reported. Breast conserv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rgical management of this younger patient group.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utcome of breast conservative therapy in patients with early onset breast cancer in our population and compare it with their older counterparts. Materials and Methods: A review of patients with invasive breast cancer who underwent breast conservation surgery at Shaukat Khanum Cancer Hospital from 1997 to 2009 was perform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e. Group I age ${\leq}40$ and Group II >40 years. A total of 401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ere identified in Group I and 405 patients in Group II. Demographics, histopathological findings and receptor statu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The Chi square test was used for categorical variables. Outcome was assessed on basis of 10 year locoregional recurrence free survival (LRRFS), disease 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For survival analysis Kaplan Meier curves were used and significance was determined using the Log rank test. Cox regression was applied for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Median follow up was 4.31 (0.1-15.5) years. Median age at presentation was 34.6 years (17-40) and 51.9 years (41-82) for the two groups.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grade, receptor status, tumor stage and use of neoadjuvant therap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esent between the two groups for estimated 10 year LRRFS (86% vs 95%) (p=0.1), DFS (70% vs 70%) (p=0.5) and OS (75% vs 63%) (p=0.1). On multivariate analysis, tumor stage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LRRFS, DFS and OS. Conclusions: Early onset breast cancer is associated with a distinct biology but does not lead to poorer outcomes in our population.

$^{192}Ir$source를 이용할 자궁경부암 강내치료시 사용하는 packing의 효과에 대한 고찰 (Packing effects on the 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 of the utaine lervix cancer)

  • 조정근;이두현;시창근;최윤경;김태윤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3-77
    • /
    • 2004
  • 연구목적 : 자궁경부암 환자에게 시행되는 고선량을 강내조사의 경우 선원이 병소 근처에 위치함으로써 주변의 중요 장기에 최소의 선량이 투여될 수 있도록 치료계획이 가능하다. 하지만 해부학적 위치 상 방광과 직장이 병소와 근접하여, 선량을 최소화하고자 Packing을 시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Packing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모의치료시 packing을 시행한 것과 packing을 제거한 후의 사진을 얻어 ICRU(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ation Units) 38에 report 된 방광과 직장의 point dose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Packing 전, 후의 방광과 직장의 선량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packing을 시행한 후 AP, LAT film을 촬영하고, 또한 동일한 상태에서 packing을 제거한 후 AP, LAT film을 촬영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방광과 직장의 reference point를 각각 표시하고 이를 치료계획장치(PLATO BPS v13.7)에 입력한 후 ICRU 38 report에서 권고한대로 A point에 $100\%$ 선량을 prescription하는 치료계획을 시행하였다. 하지만 rectum의 경우 ICRU에서 제시한 point가 rectum point를 정확히 대변하지 못하는 이유로 maximum point를 찾아 비교하였다. 측정한 값들을 윌콕슨의 부호검정(SAS, 통계분석처리프로그램)을 통하여 packing 효과의 유의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packing을 시행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방광과 직장 선량은 각각 $80.1{\pm}16.8(\%),\;82.7{\pm}16.3(\%)$이었고, packing을 시행한 경우 각각 $63.0{\pm}16.3(\%),\;67.6{\pm}16.3(\%)$로, 방광선량의 경우 평균선량이 $17.2{\pm}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장선량의 경우 평균선량이 $15.1{\pm}9.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윌콕슨의 부호검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방광과 직장 모두 검정통계량 값이 33으로 매우 크고 p 값이 0.001로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시 말해서 $99\%$의 유의수준에서도 모평균(packing 여부에 따른 방광과 직장선량의 평균의 차이가 정량적 수치로 나타나 packing의 효과를 알 수 있다)의 차이가 뚜렷하다고 볼 수 있다. 결 론 : 자궁경부암에 있어 강내치료는 외부치료와 더불어 반드시 시행하여야 하는 치료로 인식되어 있다. 그 이유는 주변 주요장기인 방광과 직장을 피해 원발 병소에만 방사선량을 현저히 많은 양을 부여함으로써 높은 치료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른에서 언급하였듯이 해부학적으로 주요장기가 너무 인접하여 있기 때문에 이들을 인위적으로 분리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acking을 사용하는데, 본 실험을 통하여 자궁경부암 강내치료시 사용하는 packing 방법의 효과가 매우 탁월함을 알 수 있었고 적극적인 packing을 통해 방사선치료시 가장 우려되는 주변의 정상조직의 부작용이 감소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환 정상피종의 방사선 치료 성적 (Radiation Therapy of Testicular Seminoms)

  • 우홍균;오도훈;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361-368
    • /
    • 1994
  • 연구목적 :고환의 정상피종은 방사선치료에 매우 민감한 종양으로서 초기 정상피종에 있어서 근치적 고환절제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년간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를 받은 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성적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0년 8월에서 1990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고환 정상피종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27명의 환자는 근치적 고환절제술 후에 그리고 5명은 재발 후에 방사선치료를 받았는데 각군에서 2명씩은 불완전한 방사선치료로 연구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고환절제술후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병기별 분포는 1기 18명, IIA기 5명, IIB기 1명 IIC기 1명이었다. 재발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3명은 첫 진단시 병기를 알 수 없었다. 전체 환자 중 6명 환자에서 동측 고환, 2명에서 반대편 고환, 그리고 1명은 양측에서 잠복고환이 관찰되었다. 후복막 및 골반 임파절에 대한 방사선치료 선략의 중앙치는 2900cGy (1550-4550cGy)이었다. 종격동조사를 시행한 환자는 1기 1명, IIA기 4명, IIB기 1명 그리고 재발된 환자가 1명이었다. 항암화학요법은 IIB기 1명, IIC기 1명, 재발된 1명에서 방사선치료 전에 시행되었다. 환자들의 중앙추적기간은 104개월 (3-144개월) 이다. 결과 : 전체 국소치유율은 5년에 100%를 보였고, 1기 환자 1명에서 종격동 전이로 인한 사망을 보여 생존율은 5년에 1기 94.4%, 11기 100%, 그리고 재발한 경우에서 100%를 보였다. 결론 : 고환 정상피종에 있어서 방사선치료는 근치적 고환절세술 후의 보조적 목적뿐 아니라 국소적으로 재발한 경우에 있어서도 우수한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