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검색결과 2,396건 처리시간 0.03초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Early Childhood STEP)이 양육스트레스와 유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STEP on Parenting Stress and Infant Behavior)

  • 박진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7-45
    • /
    • 2006
  •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STEP on parenting stress and child's behavior. The study subjects were 29 Korean mothers and their child. The researcher translated the Parent's guide of the Early Childhood STEP into Korean, along with the video tapes for par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educated with the Early Childhood STEP program (lecture, reading educational material, discussion, watching video). To determine the pre- and post-test differences of parenting stress and infant behavior, t-test was used. The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Early Childhood STEP exhibited a decreasing effect on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Second, STEP exhibited a decreasing effect on the infant behavior, particularly the behaviors in the areas of incapability, revenge, and power reactions.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ent Knowledge on Movement Education

  • Cheon, Mi Hyang;Kim, Sang L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40-246
    • /
    • 201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ent knowledge of movement education. The subjects, 6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sked to draw concept maps about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Their concept maps were analyzed in terms of superordinate and subordinate concepts by contents and frequenc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263 superordinate concepts were shown,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10 representative terms (body movement/health, music, expression, movement type, movement element, games, integration/arts, social studies, tool/instrument, and math/science). Second, 2,186 subordinate concepts were shown, and running, movement, jumping, musical instrument, and expression were frequently shown. In conclusion,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ent knowledge of movement education were various but insufficient in aspect of its systematic organiza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 Her, Eun Ha;Kim, Sang L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39-44
    • /
    • 201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acy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 A total of 761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outh Korea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The study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survey questionnair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along with Sobel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ha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ofessionalism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suppor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as well as teaching efficacy that result in positive teacher-child interaction.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비디오 매체 활용 (Video Usag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 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1-164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video usag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Two-hundred-ninety-four teachers in half-day and all-day early childhood program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a researcher. Descriptive analysis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① 78% of the programs had at least one video equipment and half of the programs had a video equipment in each classroom. ② Video usag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were differed by leacher’s age, career level, educational level, and type of early childhood programs as well as type of class management.

  • PDF

인간발달 수업 후 영유아기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변화 (Changes in Perception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after Attending the Lecture on Human Development)

  • 문혜련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8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erceptive change in attitude toward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a human development lecture o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in shaping attitudes related to child development and the importance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s developmental stages. This study also seeks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anding and systematizing relevant educational programs. Fifteen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ed a lecture on human development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ith three groups containing 4 members and one group containing 3 membe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Before attending the lecture on human development, students perceived infancy as a period dominated by feelings of helpless, indifference, and a general lack of knowledge or ability to interact with their environment; 2) Before attending the lecture on human development, students perceived early childhood as an initial period of transition that can potentially influence one's future; 3) After attending the lecture, students were better able to rationalize the developmental importance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4) After attending the lecture, students displayed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on human development.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necessity for continuous and systematic provision of programs to help adults develop a positive perception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s a developmental process related to parenting skills.

유치원 초임교사의 교육계획안 개발에서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협력 모형 구안 (Developing a Collaborative Mode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t First Career Period)

  • 황윤세;강현석
    • 아동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33-251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about educational planning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 constructed by kindergarten teachers at early career stages and then developed a collaborative model of educational planning. Subjects were 6 teachers at early career stages. Using the ethnographic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Research outcomes were : (1) teachers specifically worked on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teaching job', 'age of children that the teacher cares for',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nd 'variety of actual teaching situations.' (2) A model for collaborative educational planning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eachers' knowledge, educational planning for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learning of community.

  • PDF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을 통한 기독 예비 유아 교사의 변화 (The Change of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Development of Bible-Based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 김민정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1권
    • /
    • pp.165-201
    • /
    • 2020
  • 본 연구는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을 통한 기독 예비 유아교사의 변화를 탐구하여 기독유아교육의 언어교육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 언어 교육의 세부 주제인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에 참여한 기독교교육과 학생 19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3일 ~ 12월 28일 동안 면담, 설문조사, 활동계획안, 성찰이 담긴 포트폴리오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핵심 범주를 도출하고 이를 범주화 하였다. 자료 분석 및 해석의 객관화를 위해 신학 및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의 동료 확인을 거쳤다. 연구 결과,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에 대한 기독 예비 유아교사 경험은 인지적 변화, 인성적 변화, 실천적 변화로 범주화하였다. 첫째,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을 개발하면서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유아 언어교육의 발달적 성취와 결과보다는 '언어교육활동의 과정'의 인지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또한, 유아 언어 교육 영역의 분리가 아닌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통합'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교사중심의 형식적 언어교육과 더불어 '유치원 생활 속의 비형식 언어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유아 언어 교육의 효과성 검증보다는 '유아 중심의 의미 있는 언어교육 경험'이 중요하다는 인지적 변화가 이루어졌다. 둘째,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을 개발하면서 기독 예비 유아 교사는 '자신감 있는 교사', '전문성 있는 교사', '반성적 사고와 태도를 가진 교사'로서 인성적 변화를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을 개발하면서 기독 예비 유아 교사는 '긍정 언어의 힘'을 인식하였고, '바른 언어 사용 습관' 형성과 '기독교 교육과 유아교육 연계'를 위해 노력하는 실천적 변화가 있었다.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교육 활동 개발을 통해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예측할 수 없는 교육 상황과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 현실 속에서 유아를 위한 진정한 유아 교사가 되기 위한 마음 자세와 교사로서 요구되는 열정의 자질을 함양하게 되어 교사 효능감이 증진되었다. 향후, 기독교교육과 유아교육이 연계된 다양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eacher's Efficacy)

  • 최인숙;박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54-46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 및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관계를 알아보고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라북도 I시와 충청북도 H시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대인관계 반응지수도구(IRI),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ICQ), STEBI를 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교사효능감은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고통 이외 모두 3점 이상으로 평균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교사 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on Teacher's Efficacy)

  • 최인숙;박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32-34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대학생활 적응과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관계를 분석하고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와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 된 연구도구는 사회적지지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 교사효능감 척도(STEBI)를 예비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교사효능감은 모두 3점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교사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독유아교사가 경험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탐구 (Investigation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Experienced by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민정;정경미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4권
    • /
    • pp.323-345
    • /
    • 2020
  •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경력 4년 이상 기독유아교사 10인이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하여 기독유아교사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을 탐구하였다. 2018년 4월 4일부터 6월 24일 동안 개별면담(20회)과 집단면담(2회)의 총 22회 면담을 통해 전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자료를 범주화, 핵심 범주 도출, 자료 해석의 정확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 참여자에게 송부하여 확인(member check)을 하였고, 유아교육 전문가 2인에게 검증받았다. 그 결과, 기독유아교사의 기독교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을 '교회교육을 누리과정에 적용', '누리과정을 교회교육에 적용', '교회교육과 누리과정 통합을 위한 학습자 이해'로 분석했다. 기독유아교사가 경험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탐구를 통해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의 실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바람직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방안 모색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