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arly Warning System

Search Result 263,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토석류 감지장치 개발과 실시간 경보체계 구축 사례 (Development of a Debris Flow Sensing Device and Real Time Warning System)

  • 김경석;장현익;정성윤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273-280
    • /
    • 2008
  • Debris flow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natural hazards and possesses tens to hundreds times higher destructive potential than that of slope failure. In the past 5 years, its occurrence frequency was and is likely to increasing due to the global warming. Although various methods such as basin vegetation or structural dams can be implemented to counter measure the debris flow, these methods are not always the right answer to the problem when magnitude of debris flow is far bigger than could be defended. Land use regulations to avoid the hazard or early debris flow warning system to evacuate the expected inundated area can be more economical and practical actions for those cases. In this study, an early debris flow warning system composed of rainfall measuring device, debris flow sensing device and video camera is introduced. The system is designed to issue the warning when rainfall threshold is exceeded or debris flow is sensed by sensing device. Developed monitoring system can be used to cope promptly with the debris flow risk.

  • PDF

조기 경보를 위한 화재 판단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응용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velopment of WSN(Wireless Sensor Network)-based Fire Monitoring Application System using Fire Detection Algorithm for Early Warning)

  • 김아름;조경진;장재우;심춘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504-514
    • /
    • 2009
  • 최근 문화재나 시설물 관리를 위한 화재 감시 응용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화재 감시 시스템은 화재 상황을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피해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시스템은 일정 주기로 화재 감시를 수행함으로써 화재 판단을 지연시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감시 상황을 확인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첫째, 조기 위험상황 경보를 위해 새로운 화재 판단 알고리즘(Early Fire Detection Algorithm)을 제안한다. 이는 데이터 분포를 기반으로 하여 화재 판단 시작 주기를 동적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화재 판단 시간 측면에서 기존 알고리즘 보다 우수하다. 둘째, 제안하는 화재 판단 알고리즘을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재 감시 응용 시스템을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성능 실험을 통해, 개발된 시스템이 다양한 화재 상황에서 조기 위험상황 경보를 위해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사면붕괴 예.경보시스템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Early Warning System for Slope Failure)

  • 김학승;조남준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9-17
    • /
    • 2004
  • 최근 발생하는 집중호우 및 태풍을 동반한 국지성 호우로 인한 사면붕괴가 자연재해 피해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면붕괴로 인한 피해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붕괴를 예지하기 위하여 예 경보시스템 도입에 대한 검토를 다음 사항에 중점을 두어 수행하였다. (1) 사면붕괴의 유형과 원인을 분석한다. (2)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사면안정성 평가기준을 검토한다. (3) 사면의 지형적 지질학적 특성뿐 아니라 사면을 구성하는 물질들의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사면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그리고 (4) 사면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들을 결정한다. 사면 예 경보는 자동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분석하면 관리 기준값과 비교를 통하여 예 경보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관리 기준값은 경보단 산정의 기준이 되는 1차, 2차 기준값으로 구분하였는데, 측정된 계측 데이터의 분석 및 연구를 통하여 기준값의 지속적인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 현황 및 통합 방안에 대한 분석 연구 (An Analysis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ntegration Methods of the Domestic Early Warning System)

  • 황우석;표경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80-90
    • /
    • 2022
  • 현재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은 재난별로 발령 방식에 차이가 있고 중앙에서 자자체까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은 재난문자방송,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난경보서비스,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 자동우량경보시설, 자동음성통보시설, 재해문자전광판 등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재난 예경보 시스템이 간급한 재난경보 현장에서 각각의 매체별로 재난경보 발령 방식의 차이를 두고 경보가 발령되고 있으며, 전달되는 내용 또한 통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경보를 받는 국민들의 입장에서는 매체별 경보의 내용이 상이하여 혼란을 받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스템이 통합된다면 음성·영상·데이터 등 재난정보의 공유와 통합관리를 통해 종합적으로 재난 상황의 판단 및 의사결정이 가능함으로써 상황 파악과 현장 대응에 소요되는 업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속한 정보전달과 정확한 상황 파악을 통해 재산 및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렇기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 운영 현황에 대한 분석과 함께 재난 예경보 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농업기상재해 위험 관리를 위한 농장별 조기경보서비스의 비용편익 분석 (Cost-benefit Analysis of a Farmstead-specific Early Warning Service for Agrometeorological Disaster Risk Management)

  • 심교문;정학균;임영아;신용순;김용석;최인태;정명표;김호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5-2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의 전국 확대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조기경보서비스를 활용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시범사업 추진에 따른 비용편익을 분석하였다. 설문에 참가한 농가는 조기경보서비스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하였고 농사에 잘 활용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조기경보서비스에 대한 월간 지불의사금액은 평균 8,833원으로 조사되었다. 조기경보서비스가 전국으로 확대되어 시 군 농가의 50%가 6개월간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편익대비 비용의 비가 2.2로 분석되어 전국 확대를 위한 사업추진의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기기기 절연열화진단 시스템개발에 관한 고찰 (Study on Development of Insulation Degradation Diagnosis System for Electrical System)

  • 김이곤;유권종;김서영;조용섭;박봉서;최시영;심상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합동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31-235
    • /
    • 2001
  • Insulation aging diagnosis system provides early warning regarding electrical equipment defect. Early warning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can avoid great losses resulting from unexpected shutdown of the production line. Since relations of insulation aging and partial discharge dynamics are non-linear, it is very difficult to provide early warning in an electrical equip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sign method of insulation aging diagnosis system that use a magnetic wave and acoustic signal to diagnoses an electrical equipment. Proposed system measures the partial discharge on-line from DAS(Data Acquisition System) and acquires 2D Patterns from analyzing it. For fettering the noise contained in sensor signals we used ICA algorithms. Using this data design of the neuro-fuzzy model that diagnoses an electrical equipment is investigated. Validity of the new method is asserted by numerical simulation.

  • PDF

용해공정에서 다변량 관리도를 이용한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Establishing a Early Warning System using Multivariate Control Charts in Melting Process)

  • 이회식;이명주;한대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01-207
    • /
    • 2007
  • 제조업에서는 2개 이상의 상관이 있는 품질특성치를 동시에 감시하거나 관리를 하기 위한 필요성이 많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복수의 품질특성치를 각각 독립적으로 감시하면 판단의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복수의 품질특성치를 동시에 감시하고자 할 때 $X^2$ 또는 $T^2$와 같은 다변량 관리도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품질특성치를 갖는 용해공정에서 조기에 이상 징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변량 관리도를 이용한 조기경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용해공정에서 상관성이 있는 다수의 품질특성치를 동시에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이 모듈은 용해공정의 통계적 공정관리 활동에 효율성 및 효과성을 향상시켜 주었다.

  • PDF

시스템 구성요소 통합 및 현업서비스 구축 (Implementation of a Weather Hazard Warning System at a Catchment Scale)

  • 신용순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74-85
    • /
    • 2014
  • This study is a part of "Early Warning Service for Weather Risk Management in Climate-smart Agriculture", describes the delivery techniques from 840 catchment scale weather warning information using 150 counties unit special weather report(alarm, warning) released from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chronic weather warning information based on daily weather data from 76 synoptic stations. Catchment weather hazard warning service express a sequential risk index map generated by countries report occurs and report grade(alarm, warning) convert to catchment scale using zonal summarizing method. Additional services were chronic weather warning service at crop growth and accumulated more than 4 weeks, based on an unsuitable weather conditions, representing a relative risk compared to its catchment climatological normal conditions (normal distribution ) in addition to special weather report. Service provided by a real-time catchment scale map overlaid with VWORLD open platform operated b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lso provide a foundation for weather risk information to inform individual farmers to farm located within the catchment zone warning occur.

  • PDF

전방 충돌경보 및 회피시스템 모델링 (Modeling of Forward Collision Warning and Avoidance System)

  • 오병근;조남효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6-165
    • /
    • 2000
  • This paper describes modeling and simulation of automotive forward collision warning and avoidance system using CASE(Computer-Aided Systems Engineering) tool. The system is composed or many sensors, a controller, warning devices, brakes and etc. The system was modeled by one activity chart, fourteen state charts and one module chart. Rear-end collision scenarios was generated by Simulink and used to support Stalemate model. The resulting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correctness of function and behavior of the system. A simulator for the system has been designed and used to validate the model under realistic operating conditions in the laboratory. To model and simulate the system's functionality and behavior brings clarity to system design early in the system development.

  • PDF

A Fuzzy Based Early Warning System to Predict Banking Distress on Selected Asia-Pacific Countries

  • Farajnejad, Elham;Lau, Wee-Yeap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4권1호
    • /
    • pp.39-49
    • /
    • 2017
  • This study develops an early warning system (EWS) to prevent the banking crisis. The proposed system incorporates both the perspective of crises and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banking system in each economy. A fuzzy logic method with data from 1990-2009 is employed to construct the EWS of banking crisis based on 21 pre-determined variables from the aspect of total economy, financial and banking sectors. Our results show: Firstly, South Korea recorded higher probability to have a banking crisis in 1997 as there was large foreign debt in dollars. Secondly, China, Australia and New Zealand banking systems appear to be vulnerable to the crisis in 2007. The surge of China export, FDIs and booming stock market were signs of a heated economy. Australia with high commodity prices was also vulnerable to crisis. Thirdly, Australia, China, Japan and New Zealand banking systems appear to be exposed to the higher chance of a crisis in 2010. Japan with deflation coupled with expensive yen did not augur well for its export. Overall, the findings show that in Asian Financial Crisis 1997/98 and Global Financial Crisis 2008/09, many economies are exposed to a higher probability of having the crisis and this shows an urgent need of having surveillance in these econom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