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NNESS INDEX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5초

Ecological Attributes of Species Composition by Topographical Position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 Kim, Ji-Hong;Lee, Hye-Seon;Hwang, Gwang-M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17-22
    • /
    • 2011
  • Based upon the vegetation data of woody plants by plot sampling method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Jeombong,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importance value, rank abundance curve, and species abundance curve, and comparatively evaluate seven different species diversity indices for Shannon-Wiener index, Simpson index, McIntosh index, Log series, Margalef index, Berger-Parker index, and species richness, according to topographic positions. The minimal area which meant only few more species were increased was 3.48 ha in total. The dominant species of valley were Carpinus cordata, Acer pseudo-sieboldianum, Quercus mongolica, Acer mono, and Abies holophylla, and the dominant species of mid-slope were Quercus mongolica, Acer pseudo-sieboldianum, Carpinus cordata, Tilia amurensis, and Fraxinus rhynchophylla. Moreover, the dominant species of ridge were Quercus mongolica, Acer pseudo-sieboldianum, Tilia amurensis, Fraxinus rhynchophylla, and Acer mono. According to rank abundance curve and species abundance curve, species evenness was also low. All of Log series, species richness, Margalef, and Shannon-Wiener index discriminated that valley had the highest diversity, and ridge had the lowest diversity; but, Simpson index, McIntosh index, and Berger-Parker index represented that mid-slope had the highest diversity, and ridge had the lowest diversity. Uniquely, in Berger-Parker index, mid-slope was the higher value than total.

치악산 발생 버섯의 종 다양성 비교 분석 (Species Diversity Analysis of the Mushroom in Mt. Chiak)

  • 이병국;엄기철;석순자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57-66
    • /
    • 2013
  • 치악산 지역의 7개 세부조사구에서 2002~2003년도에 수집 분류 동정된 버섯은 총 53속, 84종, 143개체이었다. 지역 간 중복 발생된 버섯은 총 43종이었으며 이중 2개 및 3개 구역에서 중복 발생된 버섯은 2002년 12개 및 3개종, 2003년 7개 및 4개종이었다. 상대 종 밀도지수(RSD)는 7개 구간에서 0.179~0.226 범위 이었으며 종 다양성 지표 중 유사도(Similarity index: C)는 지역(7개 조사구)간 11.3%~15.9% 범위이었고 평균 13.1% 이었다. 조사지역 전체의 버섯발생은 같은 시기에 인근 지역에 중복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 간 유사도보다 다음연도에 동일 지역에서 다시 발생할 가능성인 년차간 유사도가 8.2% 더 높았다. 전체 조사기간의 버섯 종 다양성과 관련된 6가지 지표 중 지역 간 변이계수(CV)는 개체수(10.5%)>우점도 (9.2%)>다양도 (8.9%)>종수 (8.5%)>풍부도(7.4%)>균등도(2.2%) 순 이었다. 버섯 종 다양성 지표 중 풍부도지수(Richness index: R1)는 지역 간 4.85~6.01 범위의 평균 5.36 및 지역전체 16.72, 다양도 지수(Variety index: V1)는 지역 간 14.44~18.66 범위의 평균 16.24 및 지역 전체 68.82, 균등도 지수(Evenness index: E2)는 지역 간 0.926~0.982범위의 평균 0.95 및 지역전체 0.819, 우점도 지수(Dominance index: D1)는 지역 간 0.055~0.073 범위의 평균 0.071 및 지역전체 0.018 이었다. 개체수는 종 다양성 지수들과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않았으나, 종수는 풍부도, 다양도 및 우점도 지수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종 다양성 지수 간 상호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지수들은 풍부도와 다양도 및 우점도이었다.

Species Diversity Analysis of the Aquatic Insect in Paddy Soil

  • Eom, Ki-Cheol;Han, Min-Soo;Lee, Byung-Kook;Eom, Ho-Y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63-172
    • /
    • 2013
  • 곡간지 (안성, 함양)와 평야지 (보은, 김제) 및 도시지역(군산, 수원)의 논토양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을 2009~2011의 3년간 채집 분류 동정하여, 전체 18 집구에 대하여, 12종류의 지표에 근거한 종 다양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형별 논토양에서 수집된 수서곤충의 개체 수는 곡간지 (35,932) > 평야지 (24,948) > 도시지역 (9,780) 순이었으며, 종수는 곡간지 (32) > 도시지역 (20) > 평야지 (18) 순이었다. 2. 조사대상지 18집구들에 대하여 2집구 간 153개 조합의 상호 유사도 (Similarity) matrix를 작성하였으며, 153개 조합전체의 유사도는 평균 0.542, 즉 전체 종의 약 54%는 최소 1개 이상의 다른 집구에서도 서식하고 있는 종으로 구명되었다. 3. 조사대상지 18집구 중에서 종 다양성이 다른 집구와 차이가 가장 큰 경우는 2009년 보은 평야지, 차이가 가장 작은 경우는 2010년 군산 도시지역 이었다. 4. 년차간 유사도 (0.659)가 지형간 유사도 (0.560)보다 높게 나타나, 어떤 종의 수서곤충이 같은 시기에 다른 지역에서 공동 서식할 가능성 (공간적 유사도 : Spacial similarity)보다, 동일 지역에서 이듬해에 또다시 서식할 가능성 (시간적 유사도 : Periodical Similarity)이 더 높다고 구명되었다. 5. 종 다양성 관련 12개 지표들에 대한 18개 집구 간의 변이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개체수 (N, 70.0%) > 균등도-E3 (54.9%) > 균등도-E1 (49.6%) > 풍부도-R2 (40.5%) > 종수 (S, 35.3%) > 풍부도-R1 (33.7%) > 균등도-E2 (28.4%) > 균등도-E5 (15.9%) > 다양도-V1 (11.1%) > 균등도-E4 (6.3%) > 다양도-V2 (5.1%) > 우점도-D1 (4.8%) 순이었다. 6. 조사대상 18집구별 종 다양성 관련 12개 지표들 간 66개 조합에 대한 상호관련성을 보여주는 correlation matrix를 작성하였고, 66개 조합 중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관련성을 보여주는 경우는 33개 조합의 경우이었다. 7. 종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10종류의 지수들 간 correlation matrix를 근거로 한 통계적 독립의 개념에 따라 지수간 관련성이 낮은 지수, 즉 풍부도지수 (R1, R2)는 R1, 다양도지수 (V1, V2)는 V1, 균등도지수 (E1, E2, E3, E4, E5)는 E2, 우점도지수는 D1이 수서곤충의 종 다양성과 관련하여 가장 적절한 지표라고 판단되었다. 8. 수서곤충의 풍부도지수 (Richness index: R1)는 곡간지 논토양에서, 다양도지수 (Variety index: V1)는 도시지역 논토양에서, 균등도지수 (Evenness index: E2)는 평야지 논토양에서 더 높았으며, 우점도지수 (Dominance index: D1)는 도시지역 논토양에서 더 낮았다.

독도의 토양 선충상 (Soil Nematode Fauna in Dokdo Island of Korea)

  • 김동근;박병용;류영현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81-386
    • /
    • 2012
  • 독도 생태 연구의 일환으로 2008-2009년 2개년간 독도의 토양을 채집하고 선충의 종류, 밀도, 식이습성군, 생태지수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독도에서 총 31종의 선충이 발견되었으며 평균 밀도는 $m^2$당 239,500마리(26,000-836,000)였고 biomass는 $103.9mg/m^2$(3.0-388.6)였다. 중요도는 Acrobeloides 속이 Prominence value(PV) 117.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Rhabditidae(PV = 81.9), Prismatolaimus(PV = 39.0), Aphelenchoides(PV = 31.4) 순이었다. Feeding Group별로는 세균성선충이 전체 선충 중에서 밀도로는 77%, biomass로는 62%를 차지하여 가장 중요한 그룹이었고 다음으로는 식물기생성선충과 식균성선충류였다. 동도 참소리쟁이에서 발견된 뿌리썩이선충은 신종으로 추정된다. 독도 선충의 생태적 분석 결과 Shannon and Wiener 지수(2.46), Simpson's diversity 지수(0.86), 종 균일도(0.73), 종 풍부성(1.30)을 볼 때 독도의 선충상은 종이 풍부하고, 다양한 것이 특징이며, 독도만의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하겠고 이것은 경작되지 않고 자연 그대로 보존된 원시적 환경의 특징이다. 이번의 조사 결과는 독도의 생태적 모니터링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임도시공 후 경과년수에 따른 비탈면 식생침입 및 식물상 분석 (Analysis of Flora and Vegetation in Forest Road Slopes Along to Constructions Age)

  • 추갑철;박재현;마호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408-421
    • /
    • 2014
  • 이 연구는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용치리 지역에 5년(2007, 2009, 2010, 2011, 2012)동안 시공한 임도에 대하여 임도시공 후 경과년수에 따라 비탈면에 침입하는 식생과 식물상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임도의 절토비탈면과 성토비탈면의 평균경사는 모두 $42^{\circ}$에서 $^54{\circ}$의 범위를 나타내어 급경사지였다. 토성은 2012년 개설된 임도의 절토와 성토비탈면만 양토이고 나머지는 모두 사양토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임도의 성토비탈면의 평균피복도(약 66%)는 절토비탈면의 평균피복도(약 49%) 보다 높게 나타났다. 절토비탈면에서의 평균출현종은 46종으로 성토비탈면에서의 평균출현종(50종)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다양성은 모든 임도에서 절토비탈면보다 성토비탈면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절토비탈면에서는 2011년 개설 임도에서 1.401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토비탈면에서는 2012년도 개설 임도에서 1.560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균재도(Evenness)는 절토와 성토비탈면에서 임도개설년수가 짧을수록 높았으며, 출현한 식물종은 균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중국해 한일공동수역에서 저서 어획물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es by a Bottom Trawl in the Jointly Controlled Waters of the East China Sea)

  • 김민석;김동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330-340
    • /
    • 2010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es by a bottom trawler GAYA, in order to be used basic data for resources management of fishery in the jointly controlled waters of the East China sea. We caught 52 species, 1,167 individuals and 186.171kg in biomass in summer, and 1,924 individuals and 200.871kg in biomass in winter The first dominant species in individuals in summer was Glossanodon semifasciatus, and in biomass was Dentex tumifrons. But that in winter was Ovalipes punctatus in both individuals and biomass. It was a special phenomenon that crustacea was to be the first dominant species compared with general offshore fishery in Korea. Catch per unit effort (kg/hr) of bottom trawl in winter was higher than that in summer. There was also big difference by station in the diversity index, the evenness index and the dominant index.

울진 연안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Quantitative Vari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in Coastal Waters of Uljin, Korea)

  • 한경호;김동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2-342
    • /
    • 2007
  • 이 연구는 경상북도 울진 연안 해역에서 2002년 1월, 4월, 7월 및 10월까지 계절별로 총 4회에 걸쳐 만조시에 채집된 부유성 난 자치어의 종조성, 양적변동을 연구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채집된 부유성 난은 총 7개 분류군이 출현하여 멸치, 정어리, 까나리, 참가자미속 어류, 앨퉁이, 보리멸, 기타 난 등으로 분류되었고, 출현량을 보면, 멸치 난이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부유성 난의 38.34%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도가 높았으며, 보리멸 난이 25.84%를 차지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는 총 7목 18과 25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멸치가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의 90.46%를 차지하여 최우점종이었으며, 다음으로 조피볼락이 자치어의 2.04%를 차지하였다. 이들 2종이 차지한 비율은 92.49%이었으며, 나머지 23개 분류군은 7.51%를 차지하였다. 2002년 울진에서 계절별 종 다양도지수(H')는 0.0878~2.3855였고, 균등도지수는 0.0451~0.9300로 나타났다. 우점도의 경우는 0.3000~0.9914로 종 다양도지수와 균등도지수와는 반대 경향을 보였다. 정점별로 분석한 종 다양도지수는 0.3035~0.7440으로 정점 2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고, 정점 1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우점도의 경우는 0.8919~0.9669로 종 다양도지수와 균등도지수와는 반대 경향을 보였다. 계절별 군집의 유사도는 여름과 가을에 상대거리 차(0.010)가 가장 적어 군집상이 매우 유사하였고, 정점별로는 정점 1과 정점 4에서 가장 적은 상대거리 차(0.014)를 보여 군집상이 매우 유사하였다.

목포 유달산에서의 나비 개체군 동태에 관한 연구 (Butterfly Population Dynamics at Mt, Yudal, Mokpo, Korea)

  • 기경자;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35-42
    • /
    • 2004
  • 목포 유달산에서의 나비 종 구성과 개체군 변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1년 5월부터 2002년 4월까지 1년 동안 유달산을 4개의 지점으로 나누어 나비를 채집하였다. 그 결과 40종의 나비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지점별 나비 개체군 변동을 관찰한 결과 고. E 가 낮을수록 종 수와 개체군 수가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조사기간 동안 월별 종 수 변동은 M-자형을 나타내는 반면 월별 개체수 변동은 8월에 가장 높은 피크를 보이는 곡선을 나타내었다. 종 수와 개체수 변동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풍부도 지수와 균등도 지수를 사용하여 조사지점 및 월별 변화를 살펴본 결과 두 지수는 서로 독립적이면서 약한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풍부도 지수가 높은 경우 균등도 지수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장기간의 나비 종의 개체수 및 종 수의 변동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써, 앞으로 이 지역에서 장기간의 나비 개체군 변동을 연구한다면 현재 지구적으로 문제가 되는 온난화 현상을 감지하거나, 유달산지역에서 나비 개체군을 위한 효과적인 서식지 관리 방법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군산시 월명공원 식물군락 복원 및 생태적 경관조성에 관한 연구 (Plant community restoration and make a ecological landscape for a Wolmyong park in Kunsan city)

  • 김세천;김창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23-140
    • /
    • 1998
  • The flora of Kunsan Wolmyong park was 77 families, 168 genera, 240 species, 2 subspecies, 35 varieties, 1 formae or 278taxa. Using the Phytosociology method, 12 plant communities were recognized ; Alnus japonica,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Pinus rigida, Castanea crenata, Quercus acutissima, Robinia pseudo-acacia, Alnus hirsuta, Quercus serrata, Aluns firma, Liriope platyphylla and Reynoutria communities. Similarity between different communities was low for most of the cases except for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and Pinus rigida communities kept comparely high with ond another. Species diversity was analyzed by species richness(SR), species diversity index(H') and evenness(J'). Castanea crenata, Robinia pseudo-acacia and Alnus firma communities were higher in SR, H' than the other communities. But Pinus rigida, Quercus acutissima and castanea crenata communities were higher in evenness than the other communities. To investigate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to establish restoration counter plan of a Wolmyeng Park in Kunsan City. As a remedial approach, following is propesed. first, Establishment of an adequate planting plan and development of slope stalilization method by planting native species. second, Sellection of adequate species by planting experiments for pioneer species, native species, and dietary species. third, Landscape planting zones should be managed artificially, the others be managed with ecological approach.

  • PDF

2002년 통영연안의 적조발생전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 (Inte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around the Season of Red Tide Outbreak off the Coast of Tongyeong Area, 2002)

  • 강양순;권정노;손재경;정창수;홍석진;공재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15-521
    • /
    • 2003
  • To understand interrelations between water qual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around the season of red tide outbreak,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10 times off the coast of Tongyeong from July to September in 2002. Because of heavy rain for 10 days,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changed and differed from the previous year, sustaining high nutrients and low salinity. During the surveyed period 48 species of 29 genera of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and diatom and dinoflagellate was $51.8\%\;and\;38.0\%,$ respectively, At the time of bloom, cell counts of C. polykrikoides were outstanding but the number of species remarkably decreased. There were striking differences in dominant species among research stations before the bloom. Diatoms were the most dominant group in the whole study area in that period. Diversity and evenness index were highest just before outbreak of the red tides (2 Aug, 2002). During the bloom (4 Aug.), it decreased to the lowest value and then began to increase slowly. The result of PCA on water quality vs phytoplankton biomass showed that the land loads of nutrient may be the main cause of summer rally of phytoplankton biom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