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VA

Search Result 50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Insulation resistance property of EVA (Ethylene-vinyl acetate) photovoltaic module encapsulants

  • Jin, Ga-Eon;Jeong, Tae-Hui;Ju, Yeong-Cheol;Gang, Gi-Hwan;Jang, Hy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424.1-424.1
    • /
    • 2016
  • 태양전지 모듈의 봉지재로 사용되는 EVA(Ethylene-Vinyl acetate)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태양전지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frame의 실링재나 glass edge 부분의 결함으로 인해 수분이 침투되어 모듈의 내부자재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모듈의 효율 감소나 수명 단축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결함을 줄이기 위해서는 EVA의 crosslinking degree, 절연 저항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VA의 crosslinking degree를 보기 위해 soxhlet extraction method를 이용하여 gel content를 측정하였으며, 라미네이션 과정 중 curing time에 따른 gel content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 실험을 바탕으로 gel content에 따른 절연 저항을 측정하여 EVA의 crosslinking degree에 의한 절연 저항 특성을 확인하였다.

  • PDF

실환경 데이터 기반 태양전지 모듈 Encapsulation용 EVA UV/온도 가속열화 시험설계

  • Jeong, Jae-Seong;Park, No-Chang;Hyeon, Dae-Seon;Byeon, Gi-Nam;Hong, Won-Sik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10a
    • /
    • pp.34.1-34.1
    • /
    • 2011
  • 태양전지 모듈의 25년 이상 보증을 위해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 소재의 장기 열화메카니즘 연구가 중요시되고 있다. 그 중 봉지제(Encapsulation) 부품으로 적용되고 있는 태양전지 모듈용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는 셀을 보호하는 폴리머 부품으로 장기 열화특성 연구가 중요하다. 따라서 EVA를 가속열화하여 25년 보증 내구성을 보유하고 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재료 중 외부환경에 민감한 폴리머 소재인 EVA의 Ultraviolet (UV), 온도 두 환경스트레스 조건을 적용한 가속수명시험을 수행하고 장기 열화메카니즘을 분석하였다. 시험에 앞서 UV/온도 가속수명시험을 설계하였다. UV/온도 가속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실환경에서 변화하는 UV와 온도를 일정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는 유효 UV (Effective UV)와 유효 온도(Effective temperature)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UV/온도 가속조건을 설정하였고 1년 및 25년 동안 EVA에 인가되는 stress와 동일한 양을 인가할 수 있는 시험시간을 결정하였다.

  • PDF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Microcapsule -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uspension-Polymerized Poly(vinyl alcohol) Microsphere with Core-Shell Structure - (마이크로캡슐의 제조와 응용 - 분산중합에 의한 core/shell 구조를 지닌 Poly(vinyl alcohol) Microsphere의 제조와 특성 -)

  • 김혜인;김효정;박수민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15 no.4
    • /
    • pp.65-72
    • /
    • 2003
  • Poly(ethylene-co-vinylacetate) (EVA) microspheres were prepared by 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Poly(vinyl Alcohol) (EVAL) microsphere with Core-Shell Structure were synthesized by a saponification on sheath of EVA microspheres. The size of EVA core/EVAL shell microsphere was decreased from $4.09\mu{m}\;to\;2.55\mu{m}$ by partial saponification of $NaOH/Na_2SO_4$/methanol(2 : 1 : 1 by weight) at $60^\circ{C}$ for 4h to produce a saponified surface layer of about 60% of original radius. In this process, the surface layer of EVAL microsphere was dissolved partially and morphology of surface was not showed. Add-on of cotton and silk printed with EVA core/EVAL shell microsphere was increased and that of printed PET was decreased. In case of EVA core/EVAL shell microsphere, Hand of cotton and silk printed was flexible and fullness.

태양광 모듈용 EVA의 수분 침투에 관한연구

  • Kim, Han-Byeol;Jeong, Tae-Hui;Kim, Gyeong-Su;Gang, Gi-Hwan;Jang, Hy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690-690
    • /
    • 2013
  • Field에 설치된 PV모듈은 가혹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외부 하중, 온도 변화, 자외선, 수분 등의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PV모듈 내부로 수분이 침투 하였을 경우에는 태양전지와 전극의 부식 등 발전성능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태양전지가 안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PV 모듈은 전면재료인 유리와 후면재료인 Back Sheet를 진공 상태에서 압력을 가해 봉합하는 Lamination 공정을 거쳐 제작 되어 진다. 특히 Lamination 공정에 사용되는 EVA (ethylene vinyl acetate)는 PV모듈의 내구성능을 좌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재료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Lamination 공정에 사용되어지는 EVA의 수분 침투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정 조건에 따른 EVA에 침투 되는 수분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 Lamination 공정 조건을 변경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EVA가 수분에 노출 되는 시간과 온도를 변화시켜 보았다. 실험의 결과는 외부에 노출된 PV 모듈의 내부에 침투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을 예상할 수 있게 하며, 수분 침투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최적의 Lamination 공정 조건과 봉합재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PDF

Preparation of Hydrophilic Film using EVA (EVA를 이용한 친수성 필름의 제조)

  • Lee, Jin;Kim, Young-Sung;Choi, Cha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25-25
    • /
    • 2012
  • 농업용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EVA (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고분자 필름의 무적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EVA 및 PVAc (polyvinylacetate)필름을 가성소다 용액으로 가수분해하여 친수성을 검토하였다. EVA는 분말상의 고분자를 프레스로 압착하여 필름으로 성형하였으며, PVAc는 아세톤에 용해한 후에 필름으로 성형하였다. 가수분해에 따른 필름의 구조변화는 적외선 분광분석으로, 친수성 변화는 접촉각으로 평가하였다. 가수분해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친수성이 증가하였다. 이는 가수분해에 의해 소수성인 아세테이트기가 친수성인 수산기로 변했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가수분해시킨 EVA 및 PVAc를 사용하여 프레스로 압착하여 제조한 필름에서는 친수성이 그다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 PDF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amma-ray Irradiated LDPE/EVA Blends (${\gamma}$-선 조사에 따른 LDPE/EVA 블랜드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

  • Lee, Chung;Kim, Ki-Yup;Kim, Gyu-Baek;Jung, Sang-Ho;Ryu, Boo-H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21 no.4 s.76
    • /
    • pp.55-59
    • /
    • 2006
  • The radiation effects on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DPE/EVA blends with various vinyl acetate contents were investigated. Radiation degradation of LDPE/EVA blends were studied by using gelation, volume resistivity, permittivity, dissipation factor, elongation at break, and E-modulus. As vinyl acetate contents increased in LDPE/EVA blends, electrical insulation characteristics were deteriorated, but flexibility was improved. As irradiation doses increased, electrical insulation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but flexibility was deteriorated.

Characteristic Evaluation Tools of EVA Sheet for Photovoltaic Module Fabrication (태양전지모듈용 EVA Sheet의 특성 평가 방법)

  • Kang, Kyung-Chan;Lee, Jin-Seob;Kang, Gi-Hwan;Huh, Chang-Su;Yu, Gwon-Jong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4a
    • /
    • pp.92-97
    • /
    • 2008
  • To survive in outdoor environments, photovoltaic modules rely on packaging materials to provide requisite durability. We analyzed the properties of encapsulant materials that are important for photovoltaic module packaging. The properties of Ethylene Vinyl Acetate(EVA) sheet in photovoltaic encapsulant materials have to meet conditions that are high optical transmittance, good adhesion and high cross-linking rat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property evaluation methods of EVA sheet. Through this research, we could confirm that properties of EVA sheet have an effect on durability and operating efficiency of photovoltaic module.

  • PDF

태양전지 모듈 Encapsulation용 EVA의 장기 UV/온도 내구성을 위한 가속시험설계 및 열화분석

  • Jeong, Jae-Seong;Hyeon, Dae-Seon;Byeon, Gi-Nam;Park, No-Chang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0.1-100.1
    • /
    • 2012
  • 태양전지 모듈의 25년 이상 장기간 정상 발전을 위해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 소재의 장기 열화메커니즘 연구가 중요시되고 있다. 결정질 및 박막 태양전지 모듈 내 셀을 보호하기 위한 봉지재(Encapsulation)로 다양한 폴리머 재료가 적용되고 있다. 봉지재 부품으로 적용되고 있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는 장기 열화특성 및 내구성 개선 연구가 중요하다. 따라서 EVA를 가속열화하여 열화메커니즘 분석과 25년 보증 내구성을 보유하고 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EVA의 Ultraviolet(UV), 온도 복합 환경스트레스 조건을 적용한 가속시험을 수행하고 장기 열화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수명 및 손상모델을 이용하여 실환경에서 변화하는 UV와 온도를 일정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는 UV/온도 가속조건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UV/온도 가속조건을 설정하였고 1년 및 25년 동안 EVA에 인가되는 stress와 유사한 양을 인가할 수 있는 시험시간을 결정하였다. 시험 후 전자현미경, AFM, FT-IR, TGA, DSC 등의 분석을 통해 열화메커니즘을 도출하였다.

  • PDF

EVA와 주가변동간의 실증분석을 통한 한국에서의 주주자본주의에 관한 연구

  • Hwang, Seon-Ung;Sin, U-Yo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0 no.1
    • /
    • pp.45-7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EVA의 주가변동에 대한 설명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주주가치 극대화의 규범이 어느 정도로 통용되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이와 같이 EVA의 주가변동에 대한 설명력을 분석해봄으로써 자본자유화 이후 상대적으로 주주가치 극대화의 규범이 한국자본주의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우리나라에서는 EVA의 주가변동에 대한 설명력이 그다지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보다 확고한 판단을 내리기 위하여 당기 순이익과 매출액을 사용한 모형들과 서로 비교해보기도 하였지만 결과는 대동소이 하였다. 그리고 IMF 위기를 전후하여 시장에 구조적인 변화가 있었을 것이라는 전제 아래 표본기간을 위기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전과 후 두 기간을 구분하여 분석하기도 하였고, 산업별로 구분하여 고찰하기도 하였지만 결과는 기본적으로 동일하였다. 분석결과가 시사하는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아직 주주자본주의가 제대로 자리를 잡았다고 말할 수 없다. 그러나 기업들이 가치중심경영으로 패러다임을 신속하게 전환하지 못한다면 무한경쟁으로 집약되는 생존경쟁에서 결코 살아남지 못하기 때문에 기업들은 경영에 있어서 EVA를 더욱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개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EVA는 그 설명력을 점차 높여갈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utdoor Testing and Degradation of EVA and POE Encapsulated Photovoltaic Modules (옥외 관측을 통한 EVA, POE PV모듈의 열화 연구)

  • Kim, Jeh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 /
    • v.29 no.12
    • /
    • pp.847-852
    • /
    • 2016
  • Using both EVA and POE encapsulants, we fabricated polycrystalline Si PV modules and performed a set of reliability tests of PID, DH, TC, and Complex prior to outdoor installation. The power output with temperatures and insolation as well as I-V characteristics had been monitored under outdoor environments for 18 months. In the entire period, the total power of 3,576 kWh from POE PV modules was observed larger than 3,449 kWh from EVA PV modules by 3.5%. All the PV modules showed a 5.6~9.2% drop in the conversion efficiency. As for the solar power generation, the PV modules performed through PID, TC test revealed distinct difference in between EVA and POE for which the POE PV module produced more power by +11.4% and +6.6%, respectively, as measured in the 18th month. In addition, POE was proved to protect better the solar cells under PID influ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