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 policy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3초

EU 유기농업 정책의 개혁과정 분석 및 시사점 (An Analysis on the Challenge and Reforming Processes of the EU Organic Food and Farming Policy)

  • 김태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9-366
    • /
    • 2008
  • The EU recently adopted the policy for organic food and farming, Even though the EU enacted a regulation for organic farming in 1991, there has been no formal policy for supporting organic farming in the EU. This may mean that the EU regards the organic food and farming as an important sector for the future of European farming. Therefore, this study firstly explores the development processes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EU organic food and farming policy, and then summaries the priorities of the EU organic food and farming sector. These were reflected to make up an action plan and a new regulation for the EU organic food and farming. The main features of the recent change in the EU policy would be the application of comprehensive perspective for dealing with organic food and farming issues.

  • PDF

EU 반덤핑정책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e of Anti-dumping Policy in EU)

  • 이갑수
    • 국제지역연구
    • /
    • 제16권3호
    • /
    • pp.269-291
    • /
    • 2012
  • EU의 공동체법 및 통상정책을 분석해 보면 궁극적 목표는 회원국의 공동이익을 보호하는 데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반덤핑조치는 상계관세 및 세이프가드와 더불어 자국산업을 방어하는 3대 정책수단이며 WTO도 이를 허용하고 있다. 그런데 EU는 다른 정책수단보다 반덤핑정책에 의존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어떤 다른 방어정책보다 반덤핑수단이 산업방어 측면에서 효과가 즉각 발휘되고 EU 입장을 최대한 대변할 수 있다는 데 있다. EU 반덤핑정책의 경우 보호주의 색채가 짙으며 특히 정치적 영향을 받고 있다. 조사개시가 쉽게 이루어지며 소위 '공동체이익' 조항을 둠으로써 정치적 개입의 여지를 두고 있다. 또한 집단대응을 명시함으로써 '집단적보호주의'(collective protectionism)의 길을 열어두고 있다. 본 연구의 또 하나 중요한 결론은 EU 반덤핑정책이 역내 비교열위산업을 보호하는 주요 수단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EU 반덤핑 조치로 수입의 역내 전환효과가 크게 나타나는데, 그 효과로 인해 역내생산이 종전에 비해 증가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반덤핑정책은 EU가 포기할 수 없는 통상정책수단이 되고 있다.

EU Cluster의 특징 및 정책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Features and Policies of EU Cluster)

  • 김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440-4444
    • /
    • 2012
  • 본 논문은 EU권의 Cluster를 통해서 한국정부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장에서는 Cluster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제 3장에서는 연구방법을 그리고 제 4장에서는 본 논문의 핵심인 EU의 Cluster정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제 5장에서는 결론 분야로서 정부에 주는 시사점 및 참여방안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EU Cluster를 학문적으로 처음으로 다루었다는 것에 본 연구의 기여도를 들 수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서 살펴본 EU정부의 CLuster정책은 특히 중소기업 기술혁신력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tudies on Sustainable Policies of European Intermodal Transport System

  • Kim, Jin-Hwan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25-30
    • /
    • 2011
  • Transport is animportant sector of government regulation. Every country has its own transport policy, but European countries are evolving a common transport policy, which has a long history. The establishment of a consistent common policy in the EU's transport sector is still underway. The key motivations of this policy are 1)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common transport policy, 2) to clarify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in the transport sector, and 3) to integrate transport services into a common infrastructure. One of the policy's objectives is the progressive movement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transport section. The EU'stransport policy has recognised that intermodality is a very important competitive tool. The EU's policy thrustin intermodal transport can be catergorised into infrastructure, technology, and standards and rules. However, obstacles to success can be detected. Cases like that of TEN-T and Marco Polo illustrate European intermodal policies in practice. As regards sustainability in the transport sector, intermodality can be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 increasing imbalance between transport modes and congestion arising from increased road use. Sustainability has been emphasised by the EU, which aims to establish intermodality in its future alternative transport systems while foster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transport sector. Therefore, intermodality can be defined as a general trend in the current transport market, drawing interest from public institutions and transport-related market players. The EU has thus made an effort to facilitate intermodality in its territory, materialised through various policy options. Therefore, looking into the EU's intermodal transport policies is worthwhile, as doing so can provide useful lessons for all concerned parties.

  • PDF

RECENT DEVELOPMENTS IN EU SPACE POLICY AND LAW

  • 탄자 마송즈완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31-247
    • /
    • 2010
  • This paper starts with a brief overview of the history of the European Space Agency and recalls some of its main features. Next, the gradual process of cooperation between ESA and the EU is outlined, leading to the creation of the Framework Agreement in 2004 and the adoption of the European Space Policy in 2007. The entry into force of the Lisbon Treaty in 2009 codified the space competence of the EU, and its implications are addressed. Lastly, some attention is paid to the issue of space security in Europe, through ESA's new SSA programme adopted in 2008, and to the relevance of the EU Council initiative for a Code of Conduct for Outer Space Activities in 2008. The paper ends with some conclusions.

  • PDF

Recent Developments in the EU Investment Policy : Towards an Investment World Court?

  • Giupponi, Belen Olmos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6권3호
    • /
    • pp.175-230
    • /
    • 2016
  • The controversies that have surrounded the negotiation of both the Comprehensive Economic and Trade Agreement (CETA) and the Transatlantic Trade and Investment Partnership (TTIP) have underlined the difficulties arising out from the adoption of a truly common EU investment polic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have called into question transparency and legitimacy of international investment arbitration during the negotiations. The article presents a reflection about current developments of the EU investment policy addressing, in particular, the criticisms towards the whole investor-to-State system and the EU's efforts in developing a "tailor-made" investment agreement and Investor-to-State Dispute resolution system. Along these lines, the article critically assesses the recently announced proposal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vestment Court System' put forward by the EU during the TTIP negotiations.

EU의 스마트 전문화 및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한국 지역산업정책 방향 (A Critical Review of the EU Smart Specialization and US Manufacturing Renaissance Policies and New Directions for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 Korea)

  • 정준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82-798
    • /
    • 2016
  • 본 논문은 EU의 스마트 전문화 전략과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국 지역산업정책의 방향을 제안한다. EU의 스마트 전문화 전략은 기업가적인 자기발견과 전략적 조정,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은 생태계에 기반한 산업공유자산의 구축, 그리고 한국의 지역산업정책은 클러스터에 기반한 지역혁신체제 구축으로 요약된다. EU와 미국 정책 사례는 지역산업정책이 지리적으로 착근되어야 한다는 점을 예증하고 있다. 또한 산업과 기술간 융 복합을 위해 산업정책과 혁신정책을 연계시킴으로써 정책수단 혼합의 적실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가의 역할도 산업 생태계에서 민주적인 규율을 착근시키는 조정자, 매개자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향후 지역산업정책은 산업과 기술 간의 연계를 촉진할 수 있는 플랫폼 방식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EU 환경규제와 역외기업의 대응 -전기.전자산업의 사례 중심으로- (EU's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the Countermeasures of the Firm in External Area -Focusing on the Cases in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Industry-)

  • 명창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2권
    • /
    • pp.167-191
    • /
    • 2007
  • The EU has introduced various environmental protection policies and regulations which are stricter than accepted international standards. WEEE, RoHS, and EuP directives in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Industry could have a direct effect on our exports to EU countries. To gradually enlarge exports to the EU, it is necessary to have a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EU's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prepare the relevant countermeasures to adequately cope with them. Korean companies should formulate concrete plans to meet the EU's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those industry. In order to decrease the negative effects that environmental regulations of EU give to Korea, the corporations and the government should change their present passive environmental policy and carry out the environmental- friendly policy. If Korean companies can adequately meet the standards set by the environmental policies and regulations of the EU, it will greatly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in this market.

  • PDF

일본과 EU와의 국제기술협력 정책에 관한 연구 -FP과 EUREKA 참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policy of international technological cooperation between Japan & the EU - FP & EUREKA)

  • 김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332-2338
    • /
    • 2011
  • EU는 세계에서 미국을 능가하는 경제력을 가지기 위해서 여러 가지 측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성장은 산업기술발전을 통해서 가능하고 또한 이것은 산업기술의 경쟁력을 통한 고용창출 등이 가능하다고 인지하고 있다. 이에 EU집행위에서는 국제기술협력 정책 추진에서 EU내 회원국 간의 국제기술협력이 아닌 비회원국, 즉 한국 등과의 협력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아직 기술협력이 적은 EU권에 대한 일본의 국제기술협력 현황을 살펴봄으로서 우리나라 정부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제 2 장에서는 일본 및 EU의 국제기술협력에 대한 전반적인 정책을 살펴보고 이어서 제 3장에서는 연구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제 4장에서는 일본이 EU와의 국제기술협력을 추진한 성공사례를 발굴하여서 참여형태, 예산액 및 참여기관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제 5장에서는 우리나라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