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ED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9초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and Apoptosis in Parthenogenetic Porcine Embryos following Different Combination of Activation Methods

  • Park, Hye-Bin;Park, Yeo-Reum;Lee, Hwa-Yeon;Bae, Hyo-Kyung;Lee, Seunghyung;Park, Choon-Keun;Yang, Boo-Keun;Cheong, Hee-Tae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5-3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ivation method on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induction, apoptosis and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parthenogenetic embryos. Porcine in vitro matured oocytes were activated by four activation methods; 1) electric stimulus (ES) (E), 2) $ES+10{\mu}M$ Ca-ionophore (A23187) treatment (EC), 3) ES+2 mM 6-dimethylaminopurine (6-DMAP) treatment (ED), or 4) ES+A23187 and 6-DMAP treatments (ECD). Parthenogenetic embryos were sampled to analyze x-box binding protein 1 (Xbp1) mRNA, ER stress-associated genes and apoptosis genes at 3 h after ES and the 1-cell and blastocyst stages. In the EC group, the band intensity of spliced Xbp1 (Xbp1s) mRNA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at the 3 h and 1-cell stage, and higher than that of the E group at the blastocyst stage. Four ER stress-associated genes were expressed at the highest level in the EC group and weakly expressed in the ED group at 3 h after activation. However, most of the genes were highly expressed at the 1-cell and blastocyst stages with some variation in the EC and ECD groups. Expression of Bcl-2-associated X protein (Bax) and caspase-3 mRN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C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at all development stages. The developmental rates to the blastocyst stage were higher in the ED and ECD groups than in the E and EC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racellular ER stress of parthenogenetic porcine embryos is affected by the activation method and subsequently lead to the apoptosis of embryos.

다중신호레벨튜닝 기법을 사용한 Mode S 확장스퀴터 수신기의 복조부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de S Extended Squitter Demodulator with Multi-signal Level Tuning Method)

  • 신희성;윤준철;서종덕;최상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97-707
    • /
    • 2015
  • 본 논문은 CNS/ATM의 감시 기술 중 하나인 ADS-B 1090ES 시스템의 수신기 복조부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된 복조부는 국제 기술문서 RTCA DO-260B와 EUROCAE ED-129에서 요구하는 모든 성능을 만족하며, 수신감도, 다이내믹 레인지 등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기존에 다중 진폭 샘플 복조 방식 중 베이스라인 다중 샘플 기술을 적용한 단일신호처리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다중신호레벨튜닝 기법을 제안하여 단일신호처리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송신출력 편차 및 수신기 하드웨어 제작 공정에 따른 균일하지 못한 수신 감도 레벨 차이에 대한 수신율 저하 문제를 최소화 하였다. 측정 결과 제안된 기법을 적용한 수신기는 다이내믹 레인지 0~-87dBm의 성능과 MTL -90dBm이 측정되었다. 이 결과는 ADS-B 1090ES 지상수신 장비의 국제 기술기준에서 요구하는 기준보다 -3dBm 낮은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며, 이와 유사한 변조방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널리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성분 분석 기법을 이용한 심음 인식 (Heart Sound Recognition using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 이상민;홍승홍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38권5호
    • /
    • pp.59-69
    • /
    • 2001
  • 최근에 디지털 선호처리와 전자부품의 발달로 심음 분식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심음 인식, 특히 심음 한주기 전체에 대한 인식연구는 거의 없다. 본 논문에서 심음 전체 한주기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훈련 셋트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새로운 심음입력을 인식하는데 이용된다. 심음은 정상심음, 수축전 심잡음, 수축초기 심잡음, 수축 말기 심잡음, 이완 초기 심잡음, 이완 말기 심잡음, 연속적 심잡음으로 분류된다. 실험결과 새로운 인식 방법은 심음의 특징을 인식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최대 인식률은 NO의 경우 71%, PS와 ES의 경우 80%, LS의 경우 78%, ED의 경우 87%, LD의 경우 60%, CM의 경우 20% 이었다. 현재의 결과가 실제적으로 심음을 인식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였지만 선음 전체 주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으며 더 효과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인식률을 개선할 수 있다.

  • PDF

다양한 유리화 용액과 동결기구에서 유리 동결 생쥐 포배기 배아의 생존율 비교 (The Comparison of Survival Rates of Vitrified Mouse Blastocysts in Various Vitrification Solutions and Apparatuses)

  • 조동휴;이기숙;류철희;권중기;이정헌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7-3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urvival rates of vitrified mouse blastocysts in various vitrification solutions (cryoprotectants) and apparatuses. The mouse blastocysts were harvested from culture of mouse 2 cell embryo an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i) untreated (control); (ii) exposed to cryoprotectant agents; or (iii) cryopreserved by various vitrification apparatuses. Vitrification solutions are 40% ethylene glycol (EG) + 5.8 mg/mL ficoll + 0.5M sucrose (EFS solution), 3M glycerol + 3M EG (ES solution), 20% EG + 20% dimethyl sulfoxide (ED solution), 3M EG + 1.0 m sucrose (ES solution). Vitrification apparatuses consisted of 5 groups ; closed plastic straw (CPS), electron microscope (EM) grid, cryoloop, open pulled straw (OPS), and glass micropippete in plastic straw (GPS). The survival rates of control were 88.0%. The survival rates of exposed blastocysts in EFS, GE, ED, and ES solutions were 70.8%, 43.5% (P<0.01), 83.3% and 65.2%,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s of vitrified blastocysts in CPS, EM grid, cryoloop, OPS and GPS were 56.5% (P< 0.01), 72.7%, 83.3%, 60.9% (P<0.05) and 54.2% (P<0.01), respectively. Among the vitrification solutions, the highest survival rate was seen in blastocysts vitrified in EG + DMSO (83.3%). The survival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88%). Blastocysts cryopreserved with glycerol in all groups had an overall low survival rate of 43.5%. Survival rate of mouse blastocysts between vitrification apparatuses showed higher in cryoloop.

Mode S 확장 스퀴터 수신기 복조부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de S EXTENDED SQUITTER Demodulator)

  • 신희성;윤준철;서종덕;최상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9-192
    • /
    • 2014
  • 최근 미국과 유럽 등 항공 선진국들은 효율적인 항공교통관리를 위해 기존 레이더 시스템을 대체할 차세대 항행시스템으로 위성기반항행시스템(CNS/ATM)에 많은 관심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CNS/ATM의 감시 기술 중 하나인 ADS-B 1090ES 시스템의 수신기 복조부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RTCA DO-260B와 EUROCAE ED-129에서 제시된 모든 성능을 만족하며, 수신감도, 다이나믹 레인지 등의 핵심 성능 향상을 위한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수신기 복조부의 균일한 성능을 내기위해 신호레벨 튜닝 메커니즘을 구현하여 하드웨어 제작 공정에 따른 균일하지 못한 신호레벨 차이에 대한 수신율 문제를 최소화 하였다. 분석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며, 이와 유사한 변조방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널리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D 모형을 활용한 제주도의 기후 변화 및 토지 이용 변화의 생태수문학적 영향 (Ecohydrological Effects of Climate and Land-Use Changes in Jeju Island using Ecosystem Demography Model)

  • 김정빈;김연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7-107
    • /
    • 2018
  • 기후 변화가 심해짐에 따라 한반도의 기후 또한 온대에서 아열대로 변화하고 있다. 기후대가 변하게 되면 수문학적 순환 및 식생의 분포 또한 달라지게 된다. 식생의 분포는 결국 토지 이용을 의미하며, 서로 다른 토지 이용은 대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대가 가장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기후 변화 및 토지 이용 변화에 따른 생태수문학적 영향을 Ecosystem Demography Model version 2.2(ED-2.2) 모형을 사용하여 살펴 본다. 제주도의 플럭스 타워 및 산림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ED-2.2 모형을 검증하였다. CRU-NCEP 기상자료 및 Land-Use Harmonization (LUH) 토지이용자료를 활용하여 과거기간(1500~2015)의 잠재 식생 및 실제 식생 상태를 산정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산정된 최종 실제 식생 상태를 바탕으로 기후 및 토지이용 시나리오(RCP 3.0 및 6.0)를 적용하고, 다양한 전지구모형(GFDL-ESM2M, HadGEM2-ES, IPSL-CM5A-LR, MIROC5)의 기상자료에 따라 물 순환, 탄소 순환 및 식생의 분포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 분석한다.

  • PDF

A Study on Comparison of Cardiac Ejection Fraction Values Measured in Myocardium SPECT and Cine MRI

  • Han, Jung-Seok;Dong, Kyung-Rae;Park, Yong-Soon;Chung, Woon-Kwan;Cho, Jae-Hwan;Cho, Young-Kuk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7권3호
    • /
    • pp.229-232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MR cine and myocardium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by comparing the measured cardiac ejection fractions. The usefulness of cardiac MRI was also evaluated. Ten patients (8 men, 2 women and average age of 58.6 years), who underwent a myocardium SPECT scan and cardiac cine MRI scan among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for the chief complaint of cardiac disorder from June 1, 2010 to February 10, 2011,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cardiac ejection fraction was calculated from the images obtained in both scans. The data was us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The regression equation the cardiac ejection fraction values of the 10 patients obtained in myocardium SPECT and MRI cine was Y = 1.12X-8.91 ($R^2$ = 0.78, significance of F = 0.001639, and confidence level of 95%). The results were significant when the cardiac ejection fraction obtained from MRI cine was compared with that obtained from myocardium SPECT. Overall, a cardiac examination using MRI enables an investigation of not only the ejection fraction but also the ED and ES volumes, stroke volume, wall thickness, and wall thickening in a higher spatial resolution despite the examination being conducted once. This examination is believed to be very useful for diagnosing patients with cardiac disease.

비대칭적 표면 위에 초미세 박막의 미시적 성장구조

  • 서지근;신영호;김재성;민항기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1999년도 제17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87-187
    • /
    • 1999
  • fcc(110) 표면이나 bcc(110) 표면과 같이 2-fold 대칭성을 갖는 표면 위에 초미세 박막을 성장시킬 경우 토대표면의 두 방향에 대한 비 대칭성으로 흡착물이 비대칭적인 cluster 형태로 성장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 STM에 의한 Ps(110) 표면 위에나 Si(100) 또는 W(110) 표면 위에 성장 실험은 흡착물이 길게 늘어선 한 줄 형태의 성장 또는 가로 세로가 비대칭적인 cluster 형태로 성장되는 것을 보고하고 있고, 이러한 특정 형태의 성장의 원인으로 흡착 원자의 방향에 따른 분산 속도의 비대칭성, 인접 원자와의 비대칭적인 상호작용, 또는 cluster 경계 방향의 분산 속도 등을 들고 있다. 그러나 아직 대부분의 물질계에 비해 흡착원자의 분산속도 또는 분산 장벽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원하는 원자 단위 구조물 제작을 위해서는 흡착물의 분산속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며, 본 연구는 KMC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을 통하여 위치와 조건에 따른 각각의 분산 속도를 구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특히 비대칭적 토대 위에서의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미시적 성장구조에 관심을 가지며, 연구 방법으로는 KMC 시뮬레이션을 이용한다. 미시적 성장 양식은 분산 장벽 형태에 의해 크게 결정된다. 분산장벽 중에서 성장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테라스 위의 원자가 이동할 때의 분산장벽인 Ed, 계단 끝에 부착된 원자가 분리될 때의 장벽인 Ep, 그리고 위 테라스에서 계단 아래로 떨어져 내려갈 때 만나는 Schwoebel 장벽들이 있다. 먼저 대칭적인 fcc(100) 표면 위에서의 성장 구조를 정리해보면 분산 장벽에 따라 다양한 미시적 성장형태를 볼 수 있었다. 다층 성장의 경우도 그 양식은 sub-ML 성장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sub-ML 성장구조로 전체 성장 양식을 예견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향은 Ep가 커질수록 fractal 성장형태가 되며, Ed가 적을수록 cluster 밀도가 작아지나, 같은 Ed+Ep에 대해서는 동일한 크기의 팔 넓이(수평 수직 방향 cluster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실험으로부터 얻은 cluster의 팔 넓이로부터 Ed+Ep 값을 결정할 수 있고, cluster 밀도와 fractal 차원으로부터 각각 Ed와 Ep값을 분리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층 성장에 대한 거칠기(roughness) 값으로부터 Es값도 구할 수 있다. 양방향 대칭성을 갖지 않은 fcc(110) 표면과 같은 경우, 형태는 다양하지만 동일한 방법으로 추정이 가능하다. (110) 표면의 경우 nearest neighbor 원자가 한 축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이 축과 이것과 수직인 축에 대한 상호작용이나 분산 장벽 모두가 비대칭적이다. 따라서 분산 장벽도 x-축, y-축 방향에 따라 분리하여 Edx, E요, Epx, Epy 등과 같이 방향에 따라 다르게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비대칭적인 분산 장벽을 고려하여 KMC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 수평축과 수직축의 분산 장벽의 비에 따라 cluster의 두께비가 달라지는 성장을 볼 수 있었고, 한 축 방향으로의 팔 넓이는 fcc(100) 표면의 경우 동일한 Ed+Ep값에 대응하는 팔 넓이와 거의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대칭적인 모양을 가지는 성장의 경우도 cluster 밀도, cluster 모양, cluster의 양 축 방향 길이 비, 양 축 방향의 평균 팔 넓이로부터 각 축 방향의 분산 장벽을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고에너지 이온빔에 의한 이차전자 발생 수율 및 에너지 측정

  • 김기동;김준곤;홍완;최한우;김영석;우형주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1999년도 제17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90-190
    • /
    • 1999
  • 박막 표면에 대한 경원소 분석법인 탄성 되튐 반도법을 개발하여 수소, 탄소, 질소등 분석에 이용하고 있다. 이때 입사 입자로 Cl 9.6MeV를 이용하였는데, 표적 표면에 탄소막이 흡착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cold trap 및 cold finger를 사용하여 진공도를 개선하므로서, 탄소막 흡착의 한 원인으로 알려져 잇는 chamber 주변의 진공도 변화를 시켜보았다. 하지만 전혀 탄소막이 생기지 않는 10-10torr 이하 진공을 만드는 것은 많은 비용과 장비를 필요로 하는 상당히 힘든 작업이어서, 이차적으로 탄소막이 표적 표면에 달라 붙게 하는 원인으로 추정되는 이차 전자의 발생을 고에너지 이온빔으로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자의 발생은 이온빔과 표적과의 충돌에 의한 고체 표면으로부터의 전자방출 현상으로 오래전부터 연구되어져 왔다. 여기에는 두가지 다른 구조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하나는 입사 입자의 전하와 표적 표면사이 작용하는 potential 에너지가 표적 표면의 일함수(재가 function) 보다 클 때에 일어나는 potential emission이다. 즉 표적 궤도에 존재하는 전자와 입사 이온빔 사이의 potential 이 표적의 전자를 들뜨게 만들고, 이 potential의 크기가표적의 표면 장벽 potential 보다 충분히 클 뜸 전자가 방출하는 현상을 말한다. 다른 또 하나의 방출구조로는 입사 이온이 표적 표면의 원자와의 충돌에 의해 직접저인 에너지 전달을 통한 전자 방출을 말하는데, 이를 kienetic emission(이하 KE)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Tandem Van de graaff 가속기로 고에너지 이온빔을 만들어 Au에 충돌시키므로서 kinetic emission을 통하여 Au에서 발생한는 이차전자의 방출 수율 및 에너지를 측정하였다.장구조로 전체 성장 양식을 예견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향은 Ep가 커질수록 fractal 성장형태가 되며, Ed가 적을수록 cluster 밀도가 작아지나, 같은 Ed+Ep에 대해서는 동일한 크기의 팔 넓이(수평 수직 방향 cluster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실험으로부터 얻은 cluster의 팔 넓이로부터 Ed+Ep 값을 결정할 수 있고, cluster 밀도와 fractal 차원으로부터 각각 Ed와 Ep값을 분리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층 성장에 대한 거칠기(roughness) 값으로부터 Es값도 구할 수 있다. 양방향 대칭성을 갖지 않은 fcc(110) 표면과 같은 경우, 형태는 다양하지만 동일한 방법으로 추정이 가능하다. (110) 표면의 경우 nearest neighbor 원자가 한 축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이 축과 이것과 수직인 축에 대한 상호작용이나 분산 장벽 모두가 비대칭적이다. 따라서 분산 장벽도 x-축, y-축 방향에 따라 분리하여 Edx, E요, Epx, Epy 등과 같이 방향에 따라 다르게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비대칭적인 분산 장벽을 고려하여 KMC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 수평축과 수직축의 분산 장벽의 비에 따라 cluster의 두께비가 달라지는 성장을 볼 수 있었고, 한 축 방향으로의 팔 넓이는 fcc(100) 표면의 경우 동일한 Ed+Ep값에 대응하는 팔 넓이와 거의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대칭적인 모양을 가지는 성장의 경우도 cluster 밀도, cluster 모양, cluster의 양 축 방향 길이 비, 양 축 방향의 평균 팔 넓이로부터 각 축 방향의 분산 장벽을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대할 수 있는 여러 장점들을 보고하고자 한다.성이 우수한 시편일수록 grain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결정성이 우수한 시편의 경우에서는 X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