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 모델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8초

3D 그래픽 프로세서에서 효율적인 명령어를 위한 가변길이 명령어 설계 (Design of a Variable-Length Instruction for the Effective Usability Instruction in 3D Graphics Processor)

  • 김우영;이보행;이광엽;곽재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281-284
    • /
    • 2008
  • 최근 OpenGL ES 2.0이 개정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 Shader 3.0모델을 지원 가능한 프로세서가 요구된다. 이 쉐이더 3.0 모델의 지원과 관련하여 명령어의 길이의 증가가 필요하고, 이는 메모리 용량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변길이 구조와 유닛구조를 채택한 새로운 명령어 구조를 제안한다. 이 명령어 구조는 쉐이더 3.0 모델을 지원하고 명령어 필드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최대 4개의 32비트 유닛 명령어가 가변적으로 조합되어 수행된다.

  • PDF

ESS의 제어알고리즘 설계를 위한 소프트웨어 테스트베드 개발 (Development of Software Test bed for ESS Control Algorithm Design)

  • 이성준;백종복;강모세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9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475-47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다기능 ESS의 제어알고리즘 및 운영 전략에 따른 모드 천이 안정성 및 경제성 등 장시간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테스트베드 모델설계 결과를 제시한다. 전력변환장치의 순시 응답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인버터 전력반도체 스위치, 인덕터 및 커패시터 등의 부품에 대한 모델링이 필요하고, 이는 전력계통에서 활용되고 있는 상용 소프트웨어인 Matlab/Simulink/SimPowerSystems의 라이 브러리를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평균모델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 요소 회로의 시정수로 인해 시뮬레이션의 샘플링 시간을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 에너지의 하루 발전 특성에 대한 제어로직에 따른 결과 및 경제성 분석등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모델(functional model)의 설계 방법을 제시하고, 개발된 모델을 상용소프트웨어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보인다.

  • PDF

에너지 정보 교환을 위한 esXML(energy system eXtensible Markup Language) 개발 (Development of esXML for Energy Information Exchange)

  • 김정숙;구현우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97-205
    • /
    • 2009
  • 미래 디지털 환경에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예기치 못한 정전이나 과부하 같은 응급 상황 이벤트들이 발생하면 이를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하고, 원격 검침과 같은 소비자 서비스 이벤트들도 신속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에너지 이벤트 정보들을 실시 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단순하면서 장치 독립적인 정보 교환 모델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XML을 기반으로 객체 지향 모델링을 사용하여 장치와 이벤트 모델링을 분리한 esXML을 개발하였다. 실험 결과 독립적이고 효율적으로 정보 교환을 할 수 있었다.

OpenGL ES 를 이용한 Android Platform 에서의 TIP 기술 (TIP Technique using the OpenGL ES for android platform)

  • 이준호;장민석;이연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30-333
    • /
    • 2011
  • TIP 기술은 2D 그림 또는 한 장의 사진으로부터 기하정보를 추출하여 3 차원 입체 효과를 만들어 영상 내부를 네비게이션할 수 있는 기술로써, 게임, 엔터테인먼트, 교육, 홍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는 주요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 device 의 platform 가운데 하나인 android platform 상에서의 OpenGL ES Library 를 이용한 TIP 기술 적용 및 구현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전경객체의 추출이 어려운 상황을 감안하여 보다 사실적 장면 구성이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소실점을 이용하고, OpenGL ES Library 를 이용하여 3D 배경 모델을 획득하고, 이미지를 텍스쳐 매핑하여 3D 가상공간을 완성한 후 카메라의 시점 변환을 통해 이미지 내부를 네베게이션할 수 있도록 한다. 실험영상은 android platform 상의 device 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사용하고, android 2.1 및 OpenGL ES 1.0 기반으로 구축함으로써, 제안 기술을 다양한 android platform smart device 에서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응용 개발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ES모델을 이용한 해상교량 하부 적정 직선항로 길이에 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Proper Straight Route Distance under Marine Bridge using ES Model)

  • 박영수;최광영;박상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3-139
    • /
    • 2018
  • 해상교량 하부의 직선항로 길이 확보는 선박 통항 안전을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에 따르면 해상교량 하부 직선항로 길이는 선박길이의 8배로 획일적인 가이드라인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적정 해상교량 하부직선길이를 도출하기 위해 ES 모델을 이용하여 항로폭, 통항량, 항로의 곡률, 직선항로길이에 따른 위험도 비율을 확인했다. 확인 결과 항로의 곡률이 $45^{\circ}$의 경우 항로길이가 3L에서 10L로 길어짐에 따라 위험도 비율이 2.27 % 감소했다. 곡률에 따른 위험도는 직선항로의 길이가 3L의 경우 곡률이 $45^{\circ}$에서 $0^{\circ}$로 변하면서 위험도 비율이 4.83 %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항로폭 400 m, 시간당 발생선박이 20척의 조건에서 항로의 곡률별, 직선항로에 따른 위험도 비율은 최대 1.45 %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해상 교량 건설 시 항로의 혼잡도 및 곡률에 따라 일정 길이 이상의 직선항로가 필요함을 검증했다.

신체활동에 대한 건강행동과정접근모델(Health Action Process Approach Model) 관련 변인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Health Action Process Approach Model on Physical Activit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 최윤;양숙자;송혜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59-370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s of the variables of Health Action Process Approach (HAPA) Model on physical activity. Methods: This study has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Sixteen articles were searched through electronic databases (PsycINFO, PubMed, CINAHL, Web of science, Science Direct, RISS, KMBASE, KoreaMed, KISS, DBpia) and additional journals from 2000 to July, 2017. To estimate the effect size (ES), the meta-analysis of the studies was performed by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programs. Results: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of HAPA on physical activity was median (ES=.28). Of the core variables of HAPA model, action control (ES=.43)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followed by coping self-efficacy (ES=.31) and planning (ES=.31).Additional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preparatory behavior (ES=.39) and past physical activity (ES=.24). Through the moderator effect analysis, the effect size was higher in the volitional phase than in the motivational phase, and higher in the healthy group than in the patient group.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males and the lower the age, the larger the effect size. Conclusion: This finding shows empirical evidence that all core variables of the HAPA model are useful for predicting physical activity. We propose the use of the HAPA model to develop physical activity promotion intervention.

Android Platform에서의 확장된 TIP 기술 (An Extended TIP Technique for Android Platform)

  • 김영자;이연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7-63
    • /
    • 2012
  • TIP기술은 2차원 그림 또는 한 장의 사진으로부터 기하정보를 추출하여 3차원 입체 효과를 만들어 영상 내부를 내비게이션 할 수 있는 기술로써, 게임, 엔터테인먼트, 교육, 홍보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android platform상에서의 OpenGL ES Library를 이용하여 확장된 TIP기술 적용 및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전경객체의 추출이 어려운 상황을 감안하여 보다 사실적 장면 구성이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소실점을 이용하고, OpenGL ES Library 를 이용하여 3차원 배경 모델을 획득한 후 이미지를 텍스처 매핑하여 3차원 가상공간을 완성한 후 카메라의 시점변환을 통해 이미지 내부를 내비게이션이 가능하도록 한다. 실험영상은 android platform상의 device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android 2.1 및 OpenGL ES 1.0기반으로 구축된 제안 기술로 android platform의 스마트 device에서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다양한 응용개발에 적용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CMA-ES를 활용한 수정질점탄도모델의 탄도수정계수 설정기법 (Fitting Coefficient Setting Method for the Modified Point Mass Trajectory Model Using CMA-ES)

  • 안세일;이교복;강태형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5-104
    • /
    • 2016
  • To make a firing table of artillery with trajectory simulation, a precise trajectory model which corresponds with real firing test is required. Recent 4-DOF modified point mass trajectory model is considered accurate as a theoretical model, but fitting coefficients are used in calculation to match with real firing test results. In this paper, modified point mass trajectory model is presented and method of setting ballistic coefficient is introduced by applying optimization algorithms. After comparing two different algorithms,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nd Covariance Matrix Adaptation - Evolutionary Strategy, we found that using CMA-ES algorithm gives fine optimization result. This fitting coefficient setting method can be used to make trajectory simulation which is required for development of new projectiles in the future.

실수최적화 진화 알고리즘을 위한 새로운 세대차 모델 (New Generation Gap Models for Evolutionary Algorithm in Real Parameter Optimization)

  • 최준석;서기성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2-68
    • /
    • 2009
  • 수정된 PCX(parent-centric recombination) 연산자와 결합한 두 가지 새로운 세대차 모델이 제안된다. 첫째, 자가적응 세대차 모델(SGG, self-adaptation generation gap)은 자손에 의한 부모의 대치 확률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제어 방식이다. 둘째, 가상 클러스터 세대차(VCGG, virtual cluster generation gap)는 클러스터링을 통해 부모간의 거리를 조정해 주며, 이로 인해 개체들이 다양화 될 수 있다. 이 모델에서 부모간의 거리는 클러스터의 크기로 조절된다. 제안된 두 가지 접근법의 효용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3 가지 표준적인 문제에 대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가장 최근의 경쟁력 있는 접근법인 CMA-ES와 G3-PCX와 비교한 결과, 제안된 두 기법 모두 기존의 접근법들 보다 우수함을 보여준다.

모바일 3D 게임 엔진을 위한 효율적인 스킨드 메시 처리 (An Efficient Skinned-Mesh Process For Mobile 3D Game Engine)

  • 조종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87-93
    • /
    • 2008
  • 기존에는 모바일 표준 3D 그래픽 API(C언어 기반)인 OpenGL-ES를 사용하여 모바일 3D 게임 엔진을 제작해, 핸드폰에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켰으나, 저수준(Low-Level)의 다양한 기능만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콘텐츠 제작 및 콘텐츠 호환성에 제약이 많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OpenGL-ES보다 더욱더 다양한 고수준(High-Level)의 API를 제공하면서도 GSM 폰을 중심으로 J2ME상에서 자바환경에 최적화된 모바일 표준 3D API(Java언어 기반)인 JSR-184로 모바일 3D 게임 엔진을 제작한다. 또한, 스킨드 메시(Skinned-Mesh) 형태를 가지는 3D 모델의 처리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험 결과로 엔진의 성능을 증명해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