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 stress senso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부동스트레스에 의한 소포체스트레스반응 조절 (Regulation of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Response by the Immobilization Stress)

  • 권기상;권영숙;김승환;김동운;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132-1136
    • /
    • 2012
  • 많은 종류의 세포스트레스는 unfolded protein response (UPR)관련인자의 유전자발현을 조절한다. 본 연구결과 부동스트레스(immobilization stress)는 세포의 소포체스트레스(ER stress)와 관련된 유전자발현의 변화를 유도한다; Heart, spleen, thymus, kidney, testis에서는 유전자발현 변화가 없었지만 adrenal gland, liver, lung에서는 유의할만한 상승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muscle에서는 다른 것들과 대조적으로 발현이 감소되었다. 이 결과는 부동스트레스도 다른 종류의 세포스트레스와 같이 세포수준에서 UPR을 조절할 수 있다는 최초의 보고이다.

재조합 단백질 생산을 위한 소포체 신호전달 (Endoplasmic Reticulum Signaling for Recombinant-protein Production)

  • 구태원;윤은영;강석우;권기상;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847-858
    • /
    • 2007
  • ER-Golgi 분비 경로를 통해서 정확한 구조를 가지면서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과정을 거친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을 최대화하는 것은 ER stress반응에 대한 연구의 중요한 계기가 된다. 세포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상태라도 ER stress signaling은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량을 제한하고 품질을 떨어뜨리는 여러 가지 조건을 만들게 된다. ER stress signaling을 막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표 2는 이러한 방법들 중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pro-survival 경로에 관련되어 있는 인자를 촉진하고 pro-apoptosis에 관련되어 있는 인자를 억제하는 것들이다. 그러나 ER stress 반응은 매우 복잡하고 적응과 사멸 기작(adaptation and elimination mechanism)의 중간 역할을 하기 때문에 ER stress에 관련된 주요 인자를 산업적으로 응용하기 위해선 이들의 기능에 대해 보다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까지 재조합단백질의 생산량을 최대한으로 높이는 방법은 ER stress 반응이 생기지 않도록 fed-batch process를 개선하고 세포 사멸 기작을 조절하며 단백질의 glycosylation 처리를 하는 것이다.

소포체스트레스에 의한 cAMP phosphodiesterase 7A1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the cAMP Phosphodiesterase 7A1 Gene by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 권기상;권영숙;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81-284
    • /
    • 2012
  • 갑상선 배양세포(FRTL5)에서 ER stress에 의해서 ER chaperone (Bip, ERp29, Calnexin and PDI), ER stress sensor (PERK, ATF6 and Ire1)와 cAMP phosphodiesterase 7A1 (cAMP PDE7A1) 유전자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알았다. 세포배양배지에서 A23187을 제거하면 cAMP PDE7A1 유전자발현이 회복되지만, thapsigagin의 경우는 회복되지 않았다. 그리고 A23187과 TSH를 함께 처리한 경우는 아주 강하게 cAMP PDE7A1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ER stress에 의해서 cAMP PDE7A1 유전자발현이 상승 발현된다는 첫 보고이다.

높은 압력차의 유동모드 하에서 ER유체의 유변특성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ER Fluids at High Pressure-Driven Flow Mode)

  • 이호근;최승복;정재천;강윤수;서문석
    • 유변학
    • /
    • 제11권1호
    • /
    • pp.1-8
    • /
    • 1999
  • 본 논문은 높은 압력차의 유동모드 하에서의 정상전단거동을 고찰하였다. ER유체 조성에 사용된 비전도성 용매는 10cS의 점도를 갖는 트랜스포머 오일이 사용되었으며, 전도성 입자의 중량비를 20 wt%와 30 wt%로 조절하여 입자 중량비에 대한 영향을 고찰하였다. 두 가지로 조성된 수계 ER유체를 ERF 1과 ERF 2로 칭하였으며, 성능 비교를 위하여 외국의 우수하다고 알려진 비수계 ER유체인 ERF 3를 사용한 실험도 실시하였다. 높은 압력차의 유동모드를 발생시키기 위해, 양방향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고압의 질소 가스로 작동되는 실험 장치를 자체 제작하였다. 전극 앞에 장착된 압력 센서를 통해 전극 양단의 압력차를 구하고, 실린더 로드에 부착된 변위센서로부터 측정한 피스톤 속도를 유량 계산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였다. 유동모드에 대한 유체역학적 해석을 통해 유도된 수식을 인용했으며, 위의 기초 자료와 수식을 이용하여 유동모드형 응용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전단변형률에 대한 전단응력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Gene Expression Is Enhanced under Hypothermia but Depressed under Additional Ischemic Stimulus

  • Kwon, O-Yu;Kwon, Kisang;Yu, Kweon;Kim, Seung-Wha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6-130
    • /
    • 2015
  • There are several studies that show hypothermia improves cellular ischemia damages on experimental and clinical bases. However, its exact molecular mechanisms are unclear.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hypothermia induced insulin-like growth factor 1 (IGF1) gene expression, and its expression was dramatically decreased under ischemic insults. It was also demonstrated that hypothermia activated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sensors especially both the phosphorylation of $eIF2{\alpha}$ (eukaryotic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2 alpha) and ATF6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6) proteolytic cleavage. However, the factors of apoptosis and autophagy were not associated with hypothermia. We suggest that hypothermia-treated IGF1 gene expression after ischemia may show a good pos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treatments and diagnostic methods in cerebral ischemic damages.

Expression of Beta-catenin-interacting Protein 1 (CTNNBIP1) Gene Is Increased under Hypothermia but Decreased under Additional Ischemia Conditions

  • Kwon, Kisang;Kim, Seung-Whan;Yu, Kweon;Kwon, O-Yu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8-172
    • /
    • 2014
  • It has recently been shown that hypothermia treatment improves brain ischemia injury and is being increasingly considered by many clinicians. However, the precise roles of hypothermia for brain ischemia are not yet clear. In the present study we demonstrated firstly that hypothermia induced beta-catenin-interacting protein 1 (CTNNBIP1) gene expression and its expression was dramatically decreased under ischemic conditions. It was also demonstrated that hypothermia activated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sensors especially both, the phosphorylation of $eIF2{\alpha}$, and ATF6 proteolytic cleavage. However, the factors of apoptosis and autophagy were not associated with hypothermia.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hypothermia controlled CTNNBIP1 gene expression under ischemia, which may provide a clue to the development of treatments and diagnostic methods for brain ische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