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S

검색결과 904건 처리시간 0.027초

EPS의 압축성을 이용한 토압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Load Reduction Effect Using EPS)

  • 김진만;조삼덕;최봉혁;오세용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01-108
    • /
    • 2004
  • 최근 30년간 EPS 블록은 전 세계적으로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외적으로 EPS 블록의 적용 분야가 확장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EPS 블록의 압축성에 따른 아칭효과를 이용한 옹벽, 교대, 매설관등 지반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 저감 분야를 들 수 있다. EPS 블록은 경량성에 기인한 우수한 시공성과 밀도 변화에 따른 균질한 공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압축재로서 최적의 재료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 일반적으로 EPS 블록은 밀도가 낮은 경우 동일한 하중 아래에서 보다 압축성이 우수한 경향을 보이나, 밀도가 10kg/$\textrm{m}^3$ 이하인 경우 발포 비드간 결합력이 약하여 쉽게 파괴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지반공학적으로 이용할 때에는 10kg/$\textrm{m}^3$ 이상의 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구조물의 하중 저감을 위한 아칭재로서의 EPS 블록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콘크리트 옹벽과 콘크리트 박스 암거를 대상으로 현장시험시공을 수행하였으며, 현장시험시공 결과 아칭재인 EPS 블록을 사용할 경우 기존의 이론적인 토압에 비하여 콘크리트 옹벽의 경우 약 20% 정도, 콘크리트 박스 암거의 경우 약 45∼53% 정도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새로운 전동식 동력 조향 장치 (EPS-TT)의 성능 평가 및 제어방법 개발 (Evaluation of Performance and Development of Control Method of a New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EPS-TT))

  • 송정훈;부광석;이종일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154-161
    • /
    • 2004
  • A new column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EPS-TT) is proposed in this study. The remarkable features of EPS-TT are its opto-isolated torque sensor and assist torque control methodology. EPS-TT uses a uni-directional motor and two clutches. Full order and simplified models for EPS-TT are developed to evaluate the EPS-TT. A full car model is also used to investigate the vehicle responses. A PID control logic is designed to control the torque of the assist motor. Various sinusoidal inputs are applied to the system and the resulting performances are analyzed. The results prove that the performances achieved by the EPS-TT are improved compared to those of a conventional EPS-TT across the frequency domain. In addition, it is inexpensive and easy to control the motor. The results of the full order steering system model are similar to those simplified model, but the vehicle responses are slightly different.

Expandable Polystyrene Box 의 오이의 신선도 유지효과 (Freshness Extension of Cucumber packed with Expandable Polystyrene Box)

  • 박형우;김상희;박종대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8-23
    • /
    • 1998
  • 개발한 EPS 포장상자가 오이의 신선도 유지효과 기능이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코자 오이를 골판지상자와 0.02와 0.04mm 두께의 LDPE필름으로 포장 $20^{\circ}C$에 저장하면서 신선도 유지효과를 비교하였다. 저장 7일후 중량감소는 대조구는 4.9%, EPS 상자는 0.8%의 중량감소가 나타났고, 경도는 대조구 보다 필름구와 EPS 포장구에서 높았으며 비타민C도 EPS 포장구가 대조구 보다 15% 높게 유지되고 있었고 클로로필 함량은 EPS 포장구가 대조구 보다 21%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부패는 포장구간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조구에서 표면이 노랗게 변하였으나 필름구와 EPS에서는 변하지 않았다 EPS 포장상자는 신선도 유지효과가 기존의 골판지상자 보다 더 우수하였다.

  • PDF

폐 난연성 EPS의 혼합조건에 따른 재생골재 블록의 물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lock Using Flame Resistant EPS Wastes)

  • 조광현;김지현;정철우;이재용;이수용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52-153
    • /
    • 2013
  • Based on the Fire Service Act of mandatory provision, new buildings are strictly forced to use fire protection materials. Flame resistant EPS is one of those materials. Unlike conventional EPS that can be fused to make EPS ingot and be recycled for various purposes, flame resistant EPS waste cannot be recycled due to the presence of protective coating that is applied to increase the fire protection properties of EPS. A suitable alternative that can process large amount of flame resistant EPS wastes needs to be developed, and one of the possible alternative is to use them as construction materials. In this research,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observe whether the flame resistant EPS wastes can be utilized as partial replacements of fine aggregates in cement mortar. The replacement ratio of waste EPS was varied, and its effect on compressive strength and absorption capacity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both compressive strength and absorption capacity met the Korean Standard specification for cement bricks and blocks, indicating that flame resistant EPS wastes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purposes.

  • PDF

인삼 근계로부터 다당 생성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Bacteria in a Ginseng Root System)

  • 조건영;전인화;한송이;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97-300
    • /
    • 2013
  • 인삼근계(근권, 근면, 근내부) 내 EPS 생성세균의 밀도를 측정한 결과, 근권토양 내에는 $2.4{\times}10^6$ CFU/g, 근면에는 $9.1{\times}10^6$ CFU/g, 그리고 근내부에는 $2.0{\times}10^4$ CFU/g로 확인되어 다수의 EPS 생성세균이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인삼 근계로부터 EPS 생성 우수 균주 24균주를 순수분리하고 계통학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근권(RS)으로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rthrobacter 속 6균주, 그리고 Rhizobium 속 1균주로 나타났다. 근면(RP)으로 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rthrobacter 속 6균주, Rhodococcus 속 1균주, Pseudomonas 속 1균주로 나타났다. 근내부(IR)에서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Rhizobium 속 6균주, Bacillus 속 1균주 그리고 Rhodococcus 속 1균주, Pseudomonas 속 1균주로 나타났다. 근권과 근면에서 분리된 EPS 세균 중 Arthrobacter 속에 속하는 균주는 가장 특징적인 세균으로 밝혀졌으며, Rhizobium 속은 근내부에서 분리된 가장 특징적인 EPS 생성세균으로 나타났다. EPS 생성 우수균주 Rhizobium sp. 1NP2 (KACC 17637)는 10 g/L 그리고 Arthrobacter sp. 5MP1 (KACC 17636)는 4.9 g/L의 다당을 생성하였으며, 당단백질의 구성당 성분을 확인한 결과, galactose, glucose, mannose를 구성하고 있었으며, glucosamine의 아미노당이 나타났다. 특히, glucose는 72.7-84.9%로 주요 구성당임이 확인되었다.

폴리스티렌 모르타르의 경화특성 (Setting Properties of Polystyrene Mortars)

  • 최낙운;오하마요시히코;소양섭;김완영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93-79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tting properties of polystyrene mortars using waste expanded polystyrene(EPS) solution-based binders. The binders for polystyrene mortars are made by mixing crosslinking agent with waste EPS solutions which prepared by dissolving EPS in styrene. Polystyrene mortars are prepared with various EPS concentrations of EPS solutions and crosslinking agent contents, subjected to a dry curing, and tested for working life, peak exotherm temperature and 10h-length change. From the test results, the working lives of polystyrene mortars are shortened with raising EPS concentration of EPS solution and crosslinking agent content. Low-shrinkage or non-shrinkage of polystyrene mortars should be accomplished by adjusting EPS concentration of EPS solution and crosslinking agent content.

  • PDF

C-EPS (C-type Electric Power Steering) 시뮬레이터 설계 및 제어 알고리즘 개발 (Design of C-EPS (Column type - Electric Power Steering) Simulator and Development of Control Algorithm)

  • 박명욱;문희창;김정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566-571
    • /
    • 2010
  • EPS (Electric Power Steering) is important device for improving vehicle's dynamics and static performances. This paper deals with simulator design for C-EPS (Colum type-EPS), development assist and returnability control algorithm. First, C-EPS system model was simply designed because EPS system is complex control system that has many unknown variables. These parameters were simplified through assumptions. Second, C-EPS simulator was designed for development of control algorithm. This simulator has SAS (Steering Angle Sensor), dual torque sensor, dual load cell for measuring rack force, dual linear actuator for generating tire force and Data Acquisition System. Using this simulator, control methods ware tested. Third, control algorithm was designed for torque assist and returnability. Assist torque map and returnability torque map were found by lots of simulation test. These torque maps were tuned for EPS actuator control. The simulation result was compared with non-EPS system result. In this research, the C-EPS simulator was designed for development of control algorithm about torque assistant and returnability. Using this simulator, control algorithm was improved.

Activation of Macrophages by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MK1 Bacterial Strain Isolated from Neungee Mushroom, Sarcodon aspratus

  • Im, Sun-A;Wang, Wenxia;Lee, Chong-Kil;Lee, Young-Nam
    • IMMUNE NETWORK
    • /
    • 제10권6호
    • /
    • pp.230-238
    • /
    • 2010
  • Background: The MK1 strain, a novel bacterial isolate from soft-rotten tissue of the Neungee mushroom, produces copious amounts of exopolysaccharide (EPS) in a dextrose minimal medium. This study examined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MK1 EPS. Methods: The EPS in the culture supernatant was purified by cold ethanol precipitation, and characterized by SDS- PAGE/silver staining and Bio-HPLC.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the EPS were examined using the mouse monocytic cell line, RAW 264.7 cells. Results: The molecular weights of the purified EPS were rather heterogeneous, ranging from 10.6 to 55 kDa. The EPS was composed of glucose, rhamnose, mannose, galactose, and glucosamine at an approximate molar ratio of 1.00 : 0.8 : 0.71 : 0.29 : 0.21. EPS activated the RAW cells to produce cytokines, such as TNF-${\alpha}$ and IL-$1{\beta}$, and nitric oxide (NO). EPS also induced the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such as B7-1, B7-2 and ICAM-1, and increased the phagocytic activity. The macrophage-activating activity of EPS was not due to endotoxin contamination because the treatment of EPS with polymyin B did not reduce the macrophage-activating activity. Conclusion: The EPS produced from the MK1 strain exerts macrophage-activating activity.

EPS 거동 예측 모델의 적용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Numerical Model to Predict Behaviour of EPS)

  • 천병식;유한규;임해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6호
    • /
    • pp.185-198
    • /
    • 1996
  • EPS(Expanded Polystyrene)를 이용한 하중경감공법은 초경량재(20~30kg/m3)인 EPS를 본 연구는 보강토 토류벽체의 뒤채움재로서 폐 EPS 조각을 혼합한 경량의 성토재료를 개발,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우리나라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화강풍화토와 폐 EPS조각을 혼합한 경량성토재에 대해 공학적 특성파악을 위한 기본물성시험을 수행하였고, 또한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두가지 대표적인 강성 및 연성 지오그리드 보강재에 대해 폐 EPS조각의 혼합비를 변화시 켜가며 실내인발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들 시험결과를 토대로 하여 폐 EPS조각 혼합경량토의 토질공학적 특성과 지오그리드-혼합경량토 사이의 마찰특성을 분석.평가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인장력 이외에도 다짐하중 및 상재하중 등 수직하중에 의한 압축력이 추가로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의 지오그리드의 인장력-변형률 관계를 고려할 수 있는 마찰강도 산정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 방법을 토대로 하여 지오그리드-혼합토 사이의 마찰강도 평가시 적용가능한 보정계수 a1 및 a2 값의 범위를 제시하였다.

  • PDF

EPS Foam의 변형률속도효과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f the Strain Rate Effects of EPS Foam)

  • 강우종;전성식;이인혁;최선웅;민제홍;이상혁;배봉국
    • Composites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64-68
    • /
    • 2010
  • EPS 폼은 충격하중으로부터 전자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재로 많이 사용되는 경량소재이며 밀도, 미세구조, 변형률 속도에 따라 에너지 흡수성능이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변형률속도와 밀도의 변화에 대한 EPS 폼의 에너지 흡수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18.5 ~ 37.0kg/m3의 밀도를 갖는 EPS 폼의 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중고속 압축시험을 위하여 낙하방식의 시험기를 개발, 사용하였으며 변형률 속도 0.06/s ~ 60/s에서의 압축시험을 통하여 EPS 폼의 변형률속도 효과를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변형률 속도가 0.06/s에서 60/s로 증가할 경우 EPS 폼의 강도는 약 1.7배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변형률 속도에 따른 소재의 민감도는 변형률이 증가할수록 커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