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N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8초

사과 탄저병 방제약제의 지속성 및 전착제$\cdot$살충제 혼용의 효과 (Retention, Tenacity and Effect of Insecticides in the Fungicidal Control of Apple Bitter Rot)

  • 정후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5-80
    • /
    • 1970
  • 1. "과피원판저지대법"으로 사과 탄달병 방제약제의 지속성, 전착제 및 살충제혼용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2. 살균제를 뿌린 후 시일이 경과할 수록 살균력은 줄었다. 공시 약제 중에서 Difolatan의 약효가 가장 컸으며 15일 후에도 $60\%$의 살균력이 있었고 그 다음은 Tuzet, Phaltan, 보르도액 , Delan의 순위였다. 3. 인공강우량이 많을수록 Tozet의 약효는 줄었으나 전착제를 첨가함으로색 약제의 유실을 경감할 수 있었다. 시판 상품인 리노 1,2호 및 Tween 20 보다도 탈지분유 및 콩추출액의 효과가 현저히 좋았다. 4. Phaltan을 단용하는 것보다 EPN, Folithion, Parathion 및 Lebaycid 를 섞어서 실온에 12일간 두어도 어느 것이나 살균핵과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 PDF

배와 단감 중 농약 잔류에 관한 조사 연구 (A Monitoring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Pears and Sweet Persimmons)

  • 이해근;이영득;신용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31-137
    • /
    • 1988
  • 배와 단감중 농약잔류량을 조사하기 위해 전국 주산단지에서 각 30점씩 1985년 에 채취,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의 경우 7~60%의 시료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나 잔류수준은 매우 낮았다. 검출시료의 평균잔류량은 잔류허용기준에 크게 미달되었으며 조사최대치의 경우에도 잔류허용기준의 1/53~2/3에 불과하였다. 2. 검출농약의 잔류분포를 보면 captan과 captafol은 75~80%가 0.2ppm 이하로, dicofol은 77%가 0.1ppm 이하로 parathion은 60%가 0.05ppm 이하로 검출되었다. 3. 한편 배 과일의 부분별 잔류분포를 조사한 결과 배 중 잔류농약의 대부분이 과피에 잔류하고 과육에는 18~29% 잔류하였다. 4. 단감의 경우는 captan, captafol, EPN, parathion 및 phenthoate가 3~20%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나 잔류수준은 매우 낮았으며 조사최대치의 경우에도 잔류허용기준에 크게 미달하였다. 본 조사결과는 배와 단감이 사과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중요수출농산물인 만큼 농산물 국제무역에서 장애요인의 하나인 농약 잔류문제에 대처하고 또한 식품별 잔류허용기준설정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한국인에 의한 유기인계 농약의 식이섭취량 추정 (Estimation of the Dietary Intake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by the Korean Population in 1986-1990)

  • 이서래;이미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6-75
    • /
    • 1994
  •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요 유기인계농약 11종에 대한 한국인의 식이섭취량을 농산물중 잔류량과 식품계수로 부터 산정한 결과 1인당 1일 $31\;{\mu}g$ 으로 나타났다. 식품군별 섭취량 비율은 곡류 56%, 채소 23%, 과일 14%, 두류 기타 7%이었다. ADI 값에 대한 식이섭취량 비율을 보면 diazinon 6.1%, fenthion 5.8%, fenitrothion 3.3%, EPN 1.5%로 나타났고 11종 농약의 성분별 평균은 1.7%에 불과하였으나 모든 성분에 대한 합계치는 18.7%에 이르렀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유기인계의 농약의 사용실태 하에서는 농산물중의 농약잔류가 한국인의 국민건강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체계적인 섭취량 평가에 착수해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강원도산 농산물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Survey on the Contents of Residual Pesticide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on Kangweon-Do)

  • 심태흠;이태준;김기철;유미정;정의호;이해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49-156
    • /
    • 1992
  • '90년 '91년 2개년에 걸쳐 강원도내에서 생산 또는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35종에 대하여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보건위생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기염소제 및 유기인제 등을 ECD와 NPD가 부착된 gas chromatograph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농산물 157건 중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76건으로서 48.4%이었고, 이중 2종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24건으로서 15.3%를 점하고 있다. 특히 Captan은 대산 농산물 81건 중 43건에서 검출되어 검출률이 53.1%이었다. 2. Endrin , Captafol. Parathion , Fenitrothion , Fenthion 및 EPN은 전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3. 각 농약의 잔류량은 DDT가 ND-0.138 ppm, BHC가 ND-0.142 ppm, Aldrin 및 Dieldrin이 ND-0.010 ppm, CAptan이 ND-1.067 ppm, Diazinon이 ND-0.060 ppm, malathion이 ND-0.075 ppm, Phenthoate가 ND-0.009 ppm, DDVP가 ND-0.040 ppm이었다. 단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농산물은 1건도 없었다.

  • PDF

쌀과 배추의 세척 및 가열에 의한 유기인계 농약의 제거 효과 (Organophosphorus pesticides removal effect in rice and Korean Cabbages by Washing and Coo]ling)

  • 제갈성아;한영선;김성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10-415
    • /
    • 2000
  • 본 실험의 목적은 우리나라 상용식품인 쌀과 배추의 세척과 가열에 의한 유기인계 농약의 제거효과를 보기 위한 것으로 유기인계 농약 중 diazinon, fenithrithion, phenthoate, EPN 인위적으로 부착하여 세척과 가열과정의 변화에 의한 저감 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쌀의 세척에 의한 농약의 제거율은 15.5∼35.4%이었으며, 제거효과는 세척회수보다 물의 양의 영향력이 더 높았다. 2. 쌀을 세척한 후 취반과정을 거치면 농약의 제거율은 72.1∼77.8%이었다. 3. 배추의 세척, 가열과정에 의한 농약의 제거율은 각각 18.4∼41.0%, 22.8∼82.7%이었다. 4. 배추는 쌀과 같이 세척과 가열시 물의 양이 많을수록 제거효과가 높았다. 5. 우리나라의 요리 방법인 나물 무침시 배추를 삶아서 꼭 짜서 수분이 제거되면 농약의 잔존량은 더욱 낮아진다.

  • PDF

배추에 살포된 몇 가지 농약제제에 따른 성분의 휘산과 비산 (Drift and Volatilization of Some Pesticides Sprayed on Chinese Cabbages)

  • 이자영;한일근;이상윤;여익현;이서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3-381
    • /
    • 1997
  • 배추 재배시 살포된 농약의 비산 휘산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유기인계인 chlorpyrifos, EPN, pirimiphos-methyl, phenthoate, 유기염소계인 tetradifon, dicofol, 피레스로이드계인 bifenthrin 농약을 이용하여 포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들의 잔류량 분석은 다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였는데 농약성분에 따라 다르나 회수율은 78${\sim}$92%로 우수하였으며 표준편차도 ${\pm}0.68{\sim}3.52%$로서 재현성이 있었다. 농약의 살포량은 농약사용지침서에서 권하는 량으로 하였으며, 1차실험시에는 바람이 불어오는 첫 구간에 농약을 살포하였고, 2차 실험시에는 풍향에 관계없이 정중앙에 살포하고 방사형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실험결과 살포농약 대부분이 비산이나 휘산으로 인해 인접 작물에 전이 잔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살포 중 비산되는 양은 농약성분과 풍향, 거리에 따라 달리 나타났으며 살포구간의 농작물 중 농약잔류량에 비하여 비살포구에서의 농작물 중 농약잔류량 비율은 3m거리에서 평균 0.66%, 6m 거리에서 0.10%, 9m 거리에서 0.05%이었고 근접지역에서는 최고 1.83%에 이르렀다.

  • PDF

곤충병원성 선충(Steinernematid와 Heterorhabditid)을 이용한 시설재배지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with Korean Isolates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tid and Heterorhabditid) in Greenhouse)

  • 김형환;조성래;이동운;전흥용;박정규;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1-209
    • /
    • 2006
  •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엽채류 재배지역에 발생하여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배추좀나방을 환경친화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토양에서 분리한 steinemematid 선충과 heterorhabditid 선충, 5계통을 이용하여 실내 petri dish, pot 및 엽채류 재배 온실에서 병원성과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곤충병원 성 선충 5계통의 배추좀나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를 조사한 결과, 선충의 계통과 배추좀나방의령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반수치사농도는 Steinernema carpocapsae GSN1(GSN1) 계통이 배추좀나방 2$\sim$4령충에서 2.6$\sim$3.9마리로 가장 낮았다. 배추좀나방에 대한 pot에서의 병원성 실험결과도 선충의 계통, 처리농도, 처리횟수 및 엽채류의 종류에 따라차이가 있었다. 병원성이 가장 높았던 선충은 GSN1계통이었고, Steinernema 계통 선충들이 Heterorhabditis 계통 선충들보다 높았다. 선충의 처리회수에 따른 배추좀나방의 유충 치사율에서는 선충의 계통과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1회 처리보다 2회와 3회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높았다. 배추, 양배추, 케일, 적겨자, 쌈추 및 잎브로콜리에 발생하는 배추좀나방에 곤충병원성 선충을 처리한 결과 배추, 쌈추, 적겨자에서는 방제효과가 높았으나, 양배추, 케일, 잎브로콜리에서는 효과가 낮았다. 시설 내 배추, 양배추 및 케일 포장에서 GSN1, GSNUS-14 및 Heterorhabditis GSNUH-1 계통의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한 방제효과는 선충 계통, 처리농도, 처리회수 및 엽채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선충 계통 간에는 GSN1이 방제효과가 높았고, 처리농도에서는 m$^2$2당 100,000마리(720,000마리/7.2 m$^2$=$1\times10^9$마리/ha)가 다른 두 농도처리보다 높았다. 처리회수에서는 3회 처리가 1회와 2회 처리보다 높았고, 엽채류 종류에 따라서는 배추가 양배추나 케일보다 논았다.

Effects of some organophosphate pesticides on the murine immune system following subchronic exposure 2

  • Moon, Chang-Kiu;Yun, Yeo-Pyo;Lee, Soo-Hwa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183-187
    • /
    • 1986
  • Some of organophosphate pesticides which are the most heavily used in Korea, were examined for their effects on the murine immune system. Immunotoxicological assay parameters adaopted in this study were Arthus reaction for humoral immunity,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 for cell mediate immunity, carbon clearance for macrophage function and susceptiility to tumor challenge. Subchronic exposure of rodents to the pesticides resulted in the marked suppression of immune functions and enhancement of susceptibility to tumor challenge. Among the pesticides tested (fenitrothion, fenthion, diazinon and EPN), fenitrothion was the most suppressive in Arthus and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

  • PDF

우리나라 하수 및 폐수 처리 슬러지의 유기인계 살충제의 함량 (Contemporary Organic Contamination Levels in Digested Sewage Sludge from Treatment Plants in Korea : (3) Organophosphorus Insecticides)

  • 홍기훈;이강영;정창수;이현경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9-236
    • /
    • 2006
  • Organophosphorus pesticides (OPPs) contents in the sewage sludge derived from the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were determined in order to characterize contemporary organic contamination levels as a part of the ongoing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ly sound sewage sludge management strategy in Korea. OPPs were extracted from freeze-dried sludges in a ultrasonic extractor. The extracts were cleaned-up by florisil column and subsequently fed into gas chromatograph/nitrogen phosphorus detector (GC/NPD) for determining OPP contents. Diazinon, dimethoate, disulfoton, EPN, malathion, methyl parathion, parathion, phorate and sulfotep were present in the appreciable amount in the domestic sewage sludges. The sum of the 9 OPPs in the sewage sludge varied from 534.8 to 15552.1 ${\mu}g/kg$, dry wt..

국산다류중 유기염소제 및 유기인제 농약의 잔류량 (A Study on Organochlorine and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s of Korean Commercial Teas)

  • 이철원;박건상;신효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9-105
    • /
    • 1996
  • An attempt was made to determine the residual distribution of organochlorine and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the various kinds of Korean tea which were purchased form the maket.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re BHC, DDT and dicofol and the organophoshorus pesticides were diazinon, EPN, fenitrothion and parathion. The pesticide residues were determined by GC-ECD and BHC was detected in all the samples and it's level were ranged from 0.00064 po 0.05995 ppm and it's average was 0.00682 ppm and DDT, dicofol and organophosphorus pesticides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e organophophorus pesticides were detected(0.0035∼0.0983 ppm) in raw materials but were not in the manufactured material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largely components of the pesticides is removed by drying and high temperature while the tea was manufactured. The recovery tests of the pesticides gave satisfactory results showing an average yield of 97.6% with organochlorine pesticides and 92.5% with organophoshorus pesticides and the detection limits level were 0.00008 ppm to 0.0010 pp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