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DM rubber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31초

무전해 Ni 도금법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용 도전성 EPDM 고무의 제조 (Preparation of conductive EPDM rubber sheets by electroless Ni-pl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applications)

  • 이병우;조수진;양준석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193-19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전자파 차폐형 MCT(multi cable transit)의 인서트블록에 사용되는 유연성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고무 상에 무전해 도금을 이용하여 니켈도금을 실시하였다. 도금욕의 공정변수 조절 즉 pH 및 온도에 따라 Ni 도금층의 결정성 및 부착력이 결정되었다. pH와 온도를 달리하여 합성 한 결과 pH 7 및 8, $60{\sim}70^{\circ}C$에서 얻은 도금막들에서 잘 발달된 결정상과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pH 7, $70^{\circ}C$에서 도금 시 가장 높은 부착력 및 전기전도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또한 400 MHz~1 GHz 범위에서 우수한 전자파 차단능을 얻을 수 있었다.

EPDM으로 결합된 HRP 고정 바이오센서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HRP Immobilized Biosensor bound with EPDM)

  • 윤길중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2권2호
    • /
    • pp.112-118
    • /
    • 2007
  • EPDM을 결합재로 사용하고, HRP를 고정시켜 과산화수소 정량을 위한 탄소반죽전극을 제작하고, 바이오센서로서 실용화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실험 농도 영역에서 신호의 Lineweaver-Burk 도시가 보여준 좋은 직선성은 촉매력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EPDM이 전극 물질 속에서 HRP를 잘 고정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이는 EPDM이 전극물질 결합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전극은 낮은 전극전위($0.0\sim-1.0$ V vs. Ag/AgCl)에서 작동하였으며, 이 때 얻어진 신호는 높은 감도와 재현성을 보여 주었다. 특히 건조된 고무의 기계적 안정성은 탄소반죽 전극 실용화의 난제였던 실리콘 오일 결합재의 대체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고무층간 가교정도가 접착강도 및 파괴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gree of Interfacial Interlinking on Adhesive Strength and Fracture Morphology of Rubber Layers)

  • 김현재;강신영;나창운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4권1호
    • /
    • pp.31-44
    • /
    • 1999
  • 4종류의 고무(NR, SBR, EPDM, BIMS)에 대해 완전가교 고무층과 부분가교 고무층간 계면 결합의 변화에 따른 계면 접착강도를 $30{\sim}120^{\circ}C$ 조건에서 조사하였고,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접착파단면을 조사하였다. 두 개의 완전가교 고무층간 계면에서는 물리적 결합이 계면 접착강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완전가교 고무층과 부분가교 고무층간 계면에는 물리적 결합과 화학적 결합이 공존하여 계면 접착강도에 영향을 미쳤다. 접착강도가 응집 인열강도와 유사한 수준으로 높을 때 NR은 "계면 노티인열" 형태를, EPDM은 "cross-hatched" 형태를 보였다.

  • PDF

$Al(OH)_3$$Sb_2O_3$의 첨가에 따른 EPDM계 고무의 난연성 향상 연구 (Studies on Incombustibility Improvement of EPDM Rubber with $Al(OH)_3$ and $Sb_2O_3$)

  • 김진용;이원복;임대현;서혁;이영우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49-452
    • /
    • 2009
  • EPDM(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계 고무의 난연성 향상을 위하여 무기계 난연재료인 $Al(OH)_3$$Sb_2O_3$를 첨가하여 물성 및 열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각 시편의 물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난연재료의 함량이 증가할 수 록 비중과 경도는 높아지는 반면에 신율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열분석과 난연성 시험을 실시하였고, 결과적으로 난연재료의 함량이 10phr 이상에서는 난연 효과가 확연히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NR, SBR, NBR 및 EPDM 발포(發泡)고무의 제조연구(製造硏究)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of Cellular RubBer Products with NR, SBR, NBR EPDM EPDM)

  • 최세영;백남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16권1호
    • /
    • pp.3-13
    • /
    • 1981
  •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the physical properties of cellular rubber products for industrial use. Vulcaniza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usingcure curve that had obtained by means of Rheometer. The results of physical properties, vulcanization characteristics and foaming states are as follows. 1. The test results for vulcanization characteristics of NR compounds indicated that in the recipe R-1. When accelerator D is used, the optimum conditions of vulcanizate are obtained, while formula R-2 and R-3 have shown higher torgue at curing time, $1{\sim}2$ minutes. Cellular rubber product test in terms of compression set and compression deflection has also met the requirements of SAE. 2. For SBR compounds, S-1 formula was the best in terns of vulcanization characteristics, and for the blowing structure of cellular rubber products, formula S-3 in which accelerator M is added was fair. All other test results, such as compression set and compression deflection properties met SAE requirements. 3. NBR compound (N-1) including accelerator TT was the best in terms of vulcanization characteristic and also blowing structure. All other properties listed above met requirements, particulary for oil resistance test. 4. In the test of EPDM compounds, when mixed accelerator, M and TT, is used(formula E-1)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Since EPDM is hydrocarbon elastomer, oil resistance test failed. All other properties met the requirement specified in SAE.

  • PDF

A Study on Composites of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d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with Aluminum Hydroxide as a Fire Retardant

  • Lee, Yu Jun;Lee, Su Bin;Jung, Jae Young;Lee, Dam Hee;Cho, Ur Ryo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1권2호
    • /
    • pp.93-98
    • /
    • 2016
  • The composites of EVA/EPDM including aluminum trioxide (ATH) as a fire retardant were manufactur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low temperature property and flame resistance in the rubbery materials. The ratio of EVA to EPDM didn't affect the flame resistance of the rubber composites. The addition of ATH resulted in increase of the flame resistance. In the evaluation of the cold resistance, the increasing EPDM content showed enhancement of cold resistance in the composites due to increasing low Tg EPDM. It was found out that tensile strengths of the composites showed a maximum value at 100 phr of ATH by reinforcing effect, but a minimum value at 200 phr of ATH owing to slippage between the flame retardant by the external stress. In the measurement of solvent resistance in tetrahydrofuran, the increasing ATH content yielded enhancement of solvent resistance by reducing swelling of the composite, and increasing EPDM content also resulted from increase of the solvent resistance by reduction of polarizability as well as increase of crosslink in the composites.

EPDM 함량 변화에 따른 SBR/EPDM 블렌드 혼합물의 내오존성과 물리적 성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zone Resistance and Physical Properties of SBR/EPDM Blend Compound due to EPDM Content Variation)

  • 하기룡;이종철;김태근;황기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3권1호
    • /
    • pp.8-17
    • /
    • 2008
  • Styrene-butadiene rubber(SBR)은 내마모성, 상용성, 방진성이 우수 하지만, SBR은 주쇄의 불포화기때문에 오존에 의해 쉽게 손상을 받고 탄화수소에 쉽게 팽윤되어 점탄성을 잃어버려 고무제품으로서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SBR 고무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내오존성과 기계적물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내오존성이 우수한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EPDM)을 다양한 비율로 블렌드하고, 방진제품으로써의 적합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석기술을 사용하여 경도, 열분해 온도, 모폴러지, 유리전이온도, 내오존성, 정적 스프링정수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SBR과 EPDM 블렌드의 조성변화에 따른 특성을 연구한 결과, SBR에 대하여 EPDM 30% 블렌드시 상용성이 우수하고, 내오존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ffect of Chromium Chloride on the Mechanic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EPDM Rubber

  • Salem, M.A.;Khaled, M.A.;Hussein, A.M.;Elway, 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256-259
    • /
    • 2003
  • Measurements of Young's modulus, dielectric loss and a.c. conductivity have been carried out on EPDM rubber samples load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rCl_3$ (0,2,4 and 6 phr). The values of Young's modulus was found to be linearly dependent on the $CrCl_3$ content. Variation of the dielectric loss with temperature showed that $CrCl_3$ may act as plasticizer. However, at higher frequencies the dielectric loss was found to be independent of frequency and the rubber samples may behave as non-polar dielectric. Investigations of the a.c conductivity suggested that the conduction in these rubber samples can be described by small polaron tunneling. In addition, conductivity was found to increase with $CrCl_3$ content.

무기 충전제가 EPDM 배합물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organic Filler on Properties of EPDM Compounds)

  • 최성신;김옥배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2호
    • /
    • pp.138-143
    • /
    • 2011
  • EPDM에 카본블랙과 더불어 무기 충전제인 탈크, 탄산칼슘, 혹은 클레이를 함께 혼합하여 EPDM 배합물과 가황물을 제조하여, 무기 충전제가 EPDM 배합물과 가황물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무기 충전제를 추가해도 결합 고무 함량(bound rubber content)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무기 충전제 함량이 높을수록 큰 입자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무기 충전제를 추가하면 가교 시간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델타 토크(delta torque)는 감소하였다. 무기 충전제를 추가하면 모듈러스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신율과 인장강도 그리고 인열강도는 증가하였다. 모듈러스의 감소와 신율의 증가는 가교밀도의 감소로 설명하였으며, 인장강도와 인열강도의 증가는 신율의 증가로 설명하였다. 무기 충전제의 첨가에 의해 보강성은 증가하지 않았고 가교밀도는 감소하였다.

자동차 냉각기 호스용 EPDM 고무의 전기화학적 복합노화시험 및 고장메커니즘 (Electrochemical Combined-Stress Degradation Test and Failure Mechanisms of EPDM Rubber for Automotive Radiator Hoses)

  • 곽승범;최낙삼;신세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1호
    • /
    • pp.1-8
    • /
    • 2013
  • 자동차용 냉각기 고무호스는 열과 기계적 하중을 받으면서 국부적으로 형성된 전기적 영향으로 인해 노화와 고장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고무호스의 파괴거동을 재현하였다. 냉각기 고무호스 재료인 카본블랙이 함유된 EPDM 고무를 사용하여 인장응력과 전기화학적 복합 스트레스를 가하여 노화거동을 분석하였다. 노화 시간에 따른 전류 및 저항의 변화거동을 관찰하였으며 인장 변형 스트레스와 전압 및 노화온도 조건에 따른 노화거동을 분석하였다. 고무 시험편을 수직면으로 정밀하게 절단하여 시험편 표면 및 내부의 변화거동을 분석하여 전기화학적 노화거동과 고장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