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물리적 객체에 부착된 전자 태그의 무선 주파수를 식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무선주파수 식별) 기술이 등장하였고, 이를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물류 유통 서비스 분야에서는 기존의 바코드(bar code)를 대체하여 보다 지능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RFID 기술의 도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인 객체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Auto-Id Lab과 EPCglobal Inc.에서 제안된 객체 정보 표현 언어인 PML(Product Markup Language)과 정보 서비스 컴포넌트인 EPCIS(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s)의 Code Event Type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해운물류 유통 서비스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스키마와 데이터 모델을 설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EPCglobal Class-1 Generation-2 (Gen2) 기반 Probabilistic Slotted 충돌방지 알고리즘에 대하여 살펴보고, 태그인식시간, 충돌 비율을 감소시키고, 데이터 처리량, 시스템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는 QueryAdjust 명령어를 사용한 FAFQ (fixed adjustable framed Q) 알고리즘과 AAFQ (adaptive adjustable framed Q)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또한 Gen2 기반으로 태그 인식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Grouping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들 모두 Q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을 보이며, 제안하는 방법 중 AAFQ 알고리즘이 가장 높은 성능 향상을 나타낸다. 즉, AAFQ 알고리즘에 의하여 5% 정도의 시스템 효율 성능 향상과 4.5% 정도의 충돌 비율 감소를 얻을 수 있다. Grouping 방법은 FAFQ 알고리즘과 AAFQ 알고리즘에 대해선 Ungrouping 방법과 비슷한 성능을 보이지만, Gen2 Q 알고리즘의 경우 Ungrouping 방법과 비교 하였을 때 태그인식시간 및 충돌 비율을 감소시키고, 데이터 처리량 및 시스템 효율을 증가 시킨다.
RFID 기술은 현재 활발히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핵심기술 중 하나이며, 이와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휴대 단말기에 RFID 리더 장치를 내장하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모바일 RFID 네트워크 서비스를 전 세계 최초로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PCglobal의 ALE 미들웨어와 모바일 RFID 네트워크 서비스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특히 ALE 미들웨어에서 모바일 RFID 코드 체계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코드변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안하는 모바일 RFID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할 경우, 응용 개발자 및 콘텐츠 사업자는 실시간으로 혹은 주기적으로 모바일 RFID사용자로부터 관심 있는 정보를 필터링하여 얻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ALE 미들웨어로 하여금 모바일 RFID 코드까지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쉽게 확장할 수 있다.
RFID 미들웨어는 RFID 리더 장치에서 들어오는 EPC 데이터를 응용이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응용으로 전송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한편, 사실상 국제 표준을 선도하는 EPCglobal에서 제안한 RFID 미들웨어 스펙인 ALE 미들웨어는 EPC 코드 체계만을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RFID 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NIDA에서 발표한 KKR이라는 새로운 코드 체계는 ALE 미들웨어에서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ALE 미들웨어에서 KKR 코드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실제로 구현하여 ALE 미들웨어에 적용하여 테스트하였다. 또한 KKR 코드를 ALE 미들웨어에서 적절히 처리할 수 있도록 URN 데이터형식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KKR 코드 변환 방법 및 데이터 표현 형식을 사용할 경우, 국제 표준을 따르는 기존의 ALE 미들웨어에서 KKR 코드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RFID 미들웨어 및 기존 시스템과의 연동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최근들어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태그가 다수의 상품에 부착되고 절러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했지만, 비용문제로 인해 인증이나 암호화 같은 보안기능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보안 기능이 없는 RFID시스템은 개인정보 노굴, 불법 리더의 접근, 위조 태그의 남용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지만 현 단계에서는 보안기능을 적용하기가 쉽지않다. 절러 기술을 따르는 수동형 태그중 EPCglobal의 EPC Class 1과 Class 1 Generation 2(C1G2)는 산업계의 여러 분야에서 특히, supply-chain 모델에서 사실상 국제표준으로 여겨진다. EPC Class1 수준의 태그는 자체 밧데리를 가지지 않는 수동형 태그이고, 암호 프리미티브를 적용한 알고리즘이나 프로토콜은 제공하지 않는다. EPC Class1 과 EPC C1G2의 유일한 보안 대책으로는 태그를 영원히 동작하지 못하게 하는 Kill 기능이 있다. Kill을 수행한 태그는 RFID 태그로서의 의미가 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Kill 기능에 대한 EPC Class1 시스템의 취약성을 보이고 또한, EPC C1G2 시스템에서 Kill 관점에서의 보안성을 분석한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RF 신호를 사용하여 물품에 부착된 전자 태그(tag)를 식별하는 비접촉자동인식 기술이다. 이런 RFID 기술의 확산을 위해서는 리더가 다수의 태그를 빠른 시간 안에 인식하는 다중 태그 식별 문제를 해결 해야만 한다. 지금까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충돌 방지(anti-collision) 알고리즘이 많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충돌 방지 알고리즘 중에서 18000-6 Type A, Type B와 Type C로 새롭게 채택된 EPCglobal Class1 Generation2, 그리고 Query Tree Protocol에 대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조를 소개하고 실제 시뮬레이션 했을 때의 각 알고리즘에 대한 간단한 성능 평가를 한다.
Ubiquitous 핵심에 위치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관련 H/W 및 S/W 기술의 발전에 따라 RFID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응용 서비스에게 제공하거나 연동할 수 있는 RFID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EPCglobal의 표준을 따른 EPC-IS(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를 위한 성능 향상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을 바탕으로 구현한 EPC-IS는 Rule 기반의 Connection Point를 지원함으로써 Legacy Enterprise 시스템과 원활히 연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olicy 기반의 Backup Scheduling을 제공하여 RFID 시스템의 저장소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RFID 데이터처리 시스템이다.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 technology has been widely used to identify and keep track of physical objects. The EPC Network Architecture, which is proposed by EPCglobal to promote EPC and RFID technologies, consists of several layers to deal with the captured data. Many studies concentrated on dealing with RFID tag data (ECReports) from ALE. However, there is no well-known work on specifying how to generate high level EPCIS events. For the incoming ECReports, Capturing Application cannot decide to generate which event types and how to get the semantic field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ew Capturing Application (NCA) to solve the problem. NCA can generate EPCIS events correctly and automatically.
최근들어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 태그가 다수의 상품에 부착되고 여러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했지만, 편리성이나 비용문제로 인해 인증과 암호화 같은 보안기능은 적용되지 않고있다. 보안 기능이 없는 RFID 시스템은 개인정보 노출, 불법 리더의 접근, 위조 태그의 남용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지만, 태그 자원의 제약으로 인해 보안기능을 적용하기가 쉽지않다. 현재 여러 기술을 따르는 RFID 시스템 중 EPCglobal 의 EPC Class 1 Generation 2(C1G2) 는 산업계의 여러 분야에서 특히, supply-chain 모델에서 사실상 국제표준으로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RFID 보안 프로토콜 중 EPC C1G2 메커니즘의 Inventory 과정에서 태그가 리더를 인증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C1G2 시스템에서는 인증되지 않은 리더의 태그 액세스가 가능한데, 이는 태그의 리더 인증으로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EPC C1G2 태그-리더 간의 상호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이 과정에서 태그 ID 는 노출되지 않고 전송되며, 태그 인증을 통해 태그 위변조를 방지할 수도 있다. 제안 메커니즘은 태그를 식별하는 절차에서 인증을 위해 프로토콜 패스 수의 증가가 없다. 다만 리더와 태그에서 Inventory 과정의 ACK command 와 태그의 reply 구현에 약간의 수정을 필요로 한다.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제8권1호
/
pp.45-50
/
2010
EPCglobal Class-1 Gen-2 standard proposed Q-algorithm to select a frame size for the next query round. Q-algorithm calculates the frame size without estimating the number of tags. Therefore, the Q-algorithm has advantage that the reader's algorithm is simpler than other algorithm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allocate the optimized frame size. Also. the conventional Q-algorithm does not define an optimized parameter value C for adjusting the frame siz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ified Q-algorithm with the tag number estimation scheme,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with computer simulation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