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OC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34초

Application of Change Detection Techniques Using KOMPSAT-1 EOC Images

  • Kim, Youn-Soo;Lee, Kwang-Jae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3-269
    • /
    • 2003
  • This research examined the capabilities of KOMPSAT-1 EOC images for the application of urban environment, including the urban changes of the study areas. This research is constructed in three stages: Firstly, for the application of change detection techniques, which utilizes multi-temporal remotely sensed data, the data normalization process is carried out. Secondly, the change detection method is applied for the systematic monitoring of land-use changes. Lastly, us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ages, the land-use map is updated. Consequently, the patterns of land-use changes are monitored by the proposed scheme. In this research, using the multi-temporal KOMPSAT-1 EOC images and land-use maps, monitoring of urban growth was carried out with the application of land-use changes, and the potential and scope of the application of the EOC images were also examined.

Overexpression of Semaphorin4D Indicates Poor Prognosis and Prompts Monocyte Differentiation toward M2 Macrophages in Epithelial Ovarian Cancer

  • Chen, Ying;Zhang, Lei;Lv, Rui;Zhang, Wen-Q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0호
    • /
    • pp.5883-5890
    • /
    • 2013
  • Previously, we demonstrated overexpression of semaphorin4D (SEMA4D, CD100) to be closely related to tumor angiogenesis in epithelial ovarian cancers (EOCs). However, the function and expression of SEMA4D in the EOC microenvironment has yet to be clarified in detail.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overexpression of SEMA4D in primary tumors and ascites was related to low differentiation, platinum resistance and a refractory status (P<0.05), while high M2 macrophage count and percentage were evident in EOC patients with advanced FIGO stage and platinum resistance (P<0.05), using immunohistochemistr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FACS), respectively. The data showed correlations of SEMA4D expression and M2 macrophage counts in primary tumors and M2 macrophage percentage in ascites (r=0.281 and 0.355, each P<0.05). In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 SEMA4D expression was an independent indicator of overall survival (OS)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for EOC patients. Furthermore, higher expression of SEMA4D in ovarian cancer cell lines (SKOV3, A2780, and SW626) and their supernatants were found than that in a human primary cultured ovarian cell and its supernatant by reversed transcript PCR (RT-PCR), Western blotting and ELISA, respectively. Interestingly, peripheral blood monocytes (MOs) tended towards the M2-polarized macrophage phenotype ($CD163^{high}$) in vitro after human recombined soluble SEMA4D protein stimul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MA4D might possibly serve as a reliable tool for early and accurate prediction of EOC poor prognosis and could play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umor dissemination and metastasis in the EOC microenvironment. Thus SEMA4D and its role in macrophage polarization in EOC warrants further study.

Impact of Preoperative Serum Levels of CA 125 on Epithelial Ovarian Cancer Survival

  • Pradjatmo, Her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4호
    • /
    • pp.1881-1886
    • /
    • 2016
  • Background: CA125 is very helpful in treatment monitoring and detection of epithelial ovarian cancer (EOC) recurrence. However there is controversy as to its accuracy and optimal usage. What is the impact of the CA125 levels before primary surgery treatment to the survival of patients? This study aimed to detect any association of preoperative serum levels with prognosis and survival in EOC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Our cohort comprised EOC patients in Dr. Sardjito Hospital, Yogyakarta, Indonesia, who complied with follow up. To explore the effect of preoperative CA125 levels and other variables on survival Cox's regression models were applied. Results: A total of 90 cases of EOC who had surgery were available for follow up. The level of CA125 proved to be a prognostic factor for overall survival of EOC patients, with an adjusted HR of 4.10 (p = 0.03). Adjuvant chemotherapy was another prognostic factor, 1 - 2 cycles having an adjusted HR of 0.17 (p = 0.04) and 3 - 8 cycles HR 0.39 (p = 0.06). Other factors such as age of patients adjusted HR 1.54 (p = 0.32), moderate differentiation (adjusted HR 1.61, p = 0.51) poor differentiation (adjusted HR 3.41, p = 0.15), and stage of disease (adjusted HR 1.98,p=0.27) wer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However, this might have been because the power of the study was low. Conclusions: Preoperative level of CA125 is a prognostic factor for overall survival in EOC patients. The best cut-off for prognostic classification of CA125 serum level is 70 U/ml.

영상의 차연산과 비연산 기법에 의한 도시지역의 토지피복 변화탐지 (Detecting Land Cover Change in an Urban Area by Image Differencing and Image Ratioing Techniques)

  • 이진덕;조창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3-5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의 다른 센서에 의하여 획득된 다시기 항공사진과 KOMPSAT-1 EOC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급속하게 변화하는 도시지역의 변화를 검출하고자 하였다. 모든 영상에 대한 1, 2차 기하보정을 통하여 좌표계와 축척을 일치시킨 다음, 동일한 조건 하에서 변화를 검출하기 위하여 7m의 공간해상도로 영상을 재배열하였다. 팬크로매틱 항공사진과 KOMPSAT-1 EOC 영상에 대하여 영상의 차연산 기법과 비연산 기법을 각각 적용하여 건물, 구조물, 도로, 기타 인공지물 등 변화를 검출할 수 있었으며, 다른 유형의 센서 영상을 이용한 시계열적 변화탐지의 잠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영상의 차연산과 비연산 기법에 의한 변화탐지에 있어서 최적의 임계값을 제시하였다.

  • PDF

다중분광 위성영상과 팬크로매틱 위성영상에 의한 변화 검출 (Change Detection Using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ry and Panchromatic Satellite Imagery)

  • 이진덕;한승희;조현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97-90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1985년 10월 Landsat TM 자료와 팬크로매틱 영상인 2000년 1월 KOMPSAT-1 EOC 자료를 사용하여 각각 토지피복분류를 행하고 도시의 변화 검출을 시도하였다. 다중분광영상인 Landsat TM 자료는 30m 공간해상도로서 토지피복, 식생분류, 도시성장 분석 등의 정보 추출에 유용한 것으로 이미 널리 인식되어 있는 반면, KOMPSAT-1 EOC 자료는 6.6m의 팬크로매틱 고해상도 영상으로서 이 영상으로부터 어느 정도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할 수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KOMPSAT EOC 자료가 Landsat TM 자료에 비하여 더 높은 분류도를 나타내었으며, 1985년부터 2000년 사이에 대상도시의 시가지는 4배로 확장된 반면 산림지는 되었고 15~27%, 농경지는 28~45% 축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KOMPSAT Data Processing System: An Overview and Preliminary Acceptance Test Results

  • Kim, Yong-Seung;Kim, Youn-Soo;Lim, Hyo-Suk;Lee, Dong-Han;Kang, Chi-Ho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7-365
    • /
    • 1999
  • The optical sensors of Electro-Optical Camera (EOC) and Ocean Scanning Multi-spectral Imager (OSMI) aboard the KOrea Multi-Purpose SATellite (KOMPSAT) will be placed in a sun synchronous orbit in late 1999. The EOC and OSMI sensors are expected to produce the land mapping imagery of Korean territory and the ocean color imagery of world oceans, respectively. Utilization of the EOC and OSMI data would encompass the various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land mapping, land use and development, flood monitoring, biological oceanography, fishery,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Readiness of data support for user community is thus essential to the success of the KOMPSAT program. As a part of testing such readiness prior to the KOMPSAT launch, we have performed the preliminary acceptance test for the KOMPSAT data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imulated EOC and OSMI data se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e readiness of the KOMPSAT data processing system, and to help data users understand how the KOMPSAT EOC and OSMI data are processed, archived, and provided. Test results demonstrate that all requirements described in the data processing specification have been met, and that the image integrity is maintained for all products. It is however noted that since the product accuracy is limited by the simulated sensor data, any quantitative assessment of image products can not be made until actual KOMPSAT images will be acquired.

배터리 파라미터 측정을 이용한 충전종지전압 예측기법 (Prediction Method of End of Charge Voltage using Battery Parameter Measurement)

  • 김호용;왕이페이;박성미;박성준;손경종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387-396
    • /
    • 2022
  • Recently, e-Mobility, which is a personal mobility device such as an electric bicycle or an electric scooter, is rapidly emerging. However, since E-Mobility has various voltage system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its products, it is essential for companies that operate them to use multiple dedicated chargers. A universal charger capable of charging batteries of various voltage systems with one charger is required to reduce the cost of purchasing and managing multiple dedicated chargers. For this, information on the EOC(End of Charge) is essential. In order to know the EOC,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internal impedance of the battery. However, the internal impedance of the battery changes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SOH(State Of Health), SOC(State Of Charge), and ambient temperature. By observing the change in these parameters, the state of the battery can be diagnosed and the EOC can be predic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o analyze the battery's internal impedance and to predict the EOC, in order to acquire information on the EOC of the battery, which is an essential requirement of a universal charger.

감성 진단칩(Emotion-on-a-chip, EOC) : 인간 감성측정을 위한 바이오칩기술의 진화 (Emotion-on-a-chip(EOC) : Evolution of biochip technology to measure human emotion)

  • 정효일;길태숙;황유선
    • 감성과학
    • /
    • 제14권1호
    • /
    • pp.157-164
    • /
    • 2011
  • 감성과학은 현대 사회에서 점차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과학, 공학적 영역이다. 감성은 외부의 물리/화학적인 자극에 대한 인간 내부의 고차원적인 심리적 체험으로 기쁨, 슬픔, 쾌적, 불쾌 등에 대한 복합적인 감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감성연구의 가장 큰 어려움은 측정의 문제이다. 기존 감성 측정은 자기보고, 인터뷰, 뇌파 및 자율 신경계 반응, 심장혈관 활동도 등에 국한되어 있고 여전히 객관적인 측정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혈액, 침, 땀 등의 체액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인간의 감성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Eomotion-on-a-chip (EOC)로 명명한 새로운 이름의 바이오칩 기술에 대해 제안한다. EOC는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바이오 마커와 신호를 얻기 위한 전극,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기, 그리고 측정의 결과를 보여주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최근 나노/마이크로 기술의 발달은 체액 내 감성 바이오 마커를 찾아내고 그것의 유무와 뇌과학 연구결과와 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미래에 피 한 방울로 인간의 심리상태를 정확히 파악 할 수 있는 초소형 감성진단칩을 개발하게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제 막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 미래 바이오칩기술의 하나인 EOC의 개념을 보고하는 리뷰논문이다.

  • PDF

다목적실용위성탑재 전자광학카메라(EOC)의 성능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Optical Camera(EOC))

  • Seunghoon Lee;Hyung-Sik Shim;Hong-Yul Pai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3-222
    • /
    • 1998
  • 1999년에 발사될 다목적실용위성1호의 주 탑재체인 전자광학카메라는 한반도의 디지털 지도(입체지도 포함) 작성을 위한 영상자료를 획득하는 것을 그 임무로 하고있다. 센서부와 전자부로 구성된 전자광학카메라는 파장 510∼730nm의 가시광선영역에서 6.6m의 지상해상도와 관측 폭 17km 이상의 흑백영상을 위성체 자세제어에 의한 조준과 푸쉬브룸 방식으로 촬영한다. 3년 이상의 임무수명을 가진 본 기기의 고해상도 흑백영상 촬영시간은, 98분인 위성궤도 당 2분간 연속 수집되어 그 지상영상의 길이는 800km에 이르며, 운용 중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이득률과 옵셋, 그리고 자체 내에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F수 8.3인 비차폐 3면 반사식 광학계에 의해 수집된 영상은 각각 8 bit 전자신호로 처리되어 25Mbps의 송신율을 가지고 지상국으로 보내진다. 제작된 전자광학카메라는 각종 시험을 통하여, 그 설계에서 요구되었던 기술사양을 만족하거나 능가할 정도로 높은 완성도를 보이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전자광학카메라로 획득된 영상자료의 최종 사용자들을 위하여 그 분광특성,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2592개 CCD 화소의 상대적 반응비등의 중요 성능특성 측정값을 설명하였다. 이득율을 변화시키며 측정한 분광특성 결과는 전자광학카메라의 영상자료 사용자가 더 정확한 흑백영상을 만드는데 이용되리라 본다. 영상품질을 가름하는 중요한 특성인 MTF는 시계각 전부에 걸쳐 Nyquist 진동수에서 측정값이 요구값 10%를 넘어 16% 이상을 보이므로써 이 전자광학카메라가 우수한 성능을 가진 것이 입증되었고, 각 CCD 화소들의 상대적 반응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상당히 고른 특성을 확인함과 함께, 차후 전자광학카메라의 영상자료 처리과정을 위하여 정밀한 상대 비교값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