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O(Ethylene Oxid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18초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합성 (Synthesis of Biodegradable Polymers with Carbon Dioixde)

  • 신상철;신재식;이윤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521-525
    • /
    • 2004
  • Poly(ethylene carbonate)(PEC)와 유사한 카보네이트 삼원공중합체의 생분해성이 시험관(in vitro)에서 연구 되었다. PEC는 온실가스 가운데 하나인 이산화 탄소와 ethylene oxide(EO)를 zinc glutarate 촉매로 이용하여 합성되었고, 삼원공중합체는 EO, cyclohexene oxide(CHO)와 이산화 탄소로 만들었다. PEC와 EO를 포함하는 삼원공중합체는 생분해성을 보였으나 poly(propylene carbonate)(PPC)와 poly(cyclohexene carbonate)(PCHC)는 거의 분해되지 않았다. 생분해성은 무게 감소, FT-IR, SEM 등으로 확인하였다.

  • PDF

분말상 식품에 있어서 Enthylene Oxide의 잔류성과 이차생성물 분석 (Determination of Ethylene Oxide Rexidue and its Secondary Products in Powdered Food)

  • 권중호;김석원;변명우;조한옥;이기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3-48
    • /
    • 1994
  • Instrumental determination was performed for the analysis of residues of ethylene oxide(EO), ethylene chlorohydrin(ECH) and ethylene glycol(EG) in white ginseng powders which were deaerated for 30 min after EO fumigation. Gas chromatographic data showed that EO residues were 570 ppm in the immediate samples after deaeration and 170 ppm in the stored ones for 8 days at 30$\pm$1$^{\circ}C$, respectively, showing a decreasing tendency with elapsed time. On the other hand, ECH and EG residues in samples as the secondary products of EO were 17, 650 ppm and 727 ppm stored for one month, and 9, 595 ppm and 221 ppm stored for 3 months, respectively.

  • PDF

EO, PO가 부가된 도데실 에테르 황산화물의 합성 (Synthesis of Dodecyl Ether Sulfates Containing Various Ethylene Oxide and Isopropylene Oxide)

  • 유영창;노승호;주명종;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7권2호
    • /
    • pp.289-298
    • /
    • 1996
  • Dodecanol에 ethylene oxide(EO)와 isopropylene oxide(PO)를 각각 5, 10몰 씩 부가하고, EO 부가물에는 PO를 PO 부가물에는 EO를 또 다시 5, 10몰 씩 부가시킨 다음 클로로술폰산으로 황산화시켜 8종의 음이온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다. 8종의 sodium poly(oxyethylene, oxyisopropylene) dodecyl ether sulfate에 대한 EO 및 PO의 부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프로톤핵자기공명스펙트럼, 히드록시기값, 적외선스펙트럼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황산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펙트라와 Epton법을 이용하여 EO 및 PO 분자수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 황산화 반응의 최종 생성물의 수율은 90~96%로써 비교적 높게 얻을 수 있었다.

  • PDF

의약외품중 산화에칠렌가스의 잔류량 분석 (Determination of the Residual Ethylene Oxide in Quasi-drugs)

  • 이정표;김경옥;손경훈;양성준;백옥진
    • 약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37-441
    • /
    • 2001
  • The quasi-drugs including nonwoven fabric and gauze were sterilized using ethylene oxide (EO) gas. Residual EO in the quasi-drugs was extracted with water (20 mL of water for 1 g of sample) for 24h at 37$^{\circ}C$. Residual EO was determined using GC. The optimal analytical conditions were as follows : column, Carbowax 20M (1.D. 0.2 mm); mobile phase, helium with 30 mL/min; oven temperature 57$^{\circ}C$, injector temperature 18$0^{\circ}C$, detector temperature 20$0^{\circ}C$. The detection limit for EO was 0.10$\mu$g/mL. When the residual EO extracted from nonwoven fabric and gauze was determined, it took more than 9h to get the lower level than 25 ppm which is the limit value of FDA guideline. When the EO residues, ethylene chlorohydrine (ECH) and ethylene glycol (EG) in the 7 commercially available quasi-drugs were determined, no residual EO, ECH, EG were found from the seven commercially available quasi-drugs analyzed by this method.

  • PDF

$Ca^{2+}$ 존재하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요오드와의 상호작용 (The Interaction of Nonionic Surfactant with Iodine in the Presence of $Ca^{2+}$)

  • 박정순;권오윤;백우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6-42
    • /
    • 1993
  • $Ca^{2+}$ 이온 존재하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nonylphenol-(ethylene oxide)_n\;[NP-(EO)_n; n = 11, 40, 100]$와 요오드간의 charge transfer (CT) 상호작용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수용액중에서 조사하였다. Spectra의 특성은 $Ca^{2+}$ 이온 농도와 EO 갯수에 의존하였다. CMC 이상에서 $NP-(EO)_{11}$$NP-(EO)_{40}$에 대한 $Ca^{2+}$이온 첨가에 따른 CT band는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였으며, $NP-(EO)_{100}$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증가를 보였다. CT band의 강도가 증가하는 것은 $Ca^{2+}$이온 존재하에서 미셀 구조가 더욱 조밀해진데 따른 요오드와의 donor-acceptor overlap 증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수용액 중에서 상태적으로 자유로이 여러가지 배향을 가질 수 잇는 선형 ethylene oxide(EO) 사슬이 유사 크라운 에테르 구조를 형성하여 $Ca^{2+}$ 이온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Methoxy Polyoxyethylene Dodecanoate의 합성 (Synthesis of Methoxy Polyoxyethlene Dodecanoates)

  • 강윤석;노승호;최성옥;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9권5호
    • /
    • pp.749-753
    • /
    • 1998
  • 고급지방산 메틸에스테르의 일종인 dodecanoic acid methyl ester (DME)에 금속 산화물인 고체촉매 (W-7)를 이용하여 고온, 고압하에서 ethyleneoxide (EO)를 5, 7, 9, 및 12 몰씩 부가반응시켜 얻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methoxy polyoxy ethylene dodecanoate (MPD)류 4종을 높은 수율 (93~97%)로 합성하여 얻었다. DME는 구조적으로 활성수소가 없어서 일반적인 산, 알칼리 촉매에서는 반응이 어렵고 활성고체촉매를 사용해야 EO의 단위 몰수를 부가 시킬 수 있었다. 최종 생성물에 대한 것을 IR, HPLC 및 $^1H$ NMR를 이용하여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 EO의 부가 몰수는 5.2, 7.1, 9.2 및 12.1 몰이었고, 각 몰의 평균 EO 분포는 polyoxyethylene alkyl ether (AE)처럼 정규분포 곡선을 나타내었다.

  • PDF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미셀 형성에 미치는 $Mg^{2+}$의 영향 (The Effects of $Mg^{2+}$ on the Micelle Formation of Nonionic Surfactants)

  • 권오윤;김정성;백우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781-786
    • /
    • 1993
  • $Mg^{2+}$ 존재하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nonylphenol-(ethylene oxide)_n$[NP-nEO; n = 12, 40, 100]와 요오드간의 상호작용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수용액 중에서 조사하였다. CMC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는 $Mg^{2+}$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그 감소폭은 EO(ethylene oxide) 수에 크게 의존하였다. CMC 이상에서 $Mg^{2+}$ 첨가에 따른 상호작용 피크와 강도는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변곡점을 보였다. 상호작용 피크의 강도 증가는 $Mg^{2+}$ 존재하에서 미셀구조가 더욱 조밀해진데 따른 요오드와의 전자주게-받게 겹침증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미셀표면에 노출된 EO 사슬이 유사크라운에테르 구조를 형성하여 $Mg^{2+}$ 의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일부 종합병원 중앙공급실에서의 Ethylene Oxide 노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rker Exposure to Ethylene Oxide in Central Supply Sterilizing Room of Hospital)

  • 서상옥;백남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8-86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at five Ethylene Oxide(EO) sterilizing processes in hospitals located in Seoul from August 8 to August 30, 1994.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TWA(Time Weighted Average) and short term exposures to EO and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EO concentrations in sterilizing room.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WA concentrations of the sterilizing operators ranged from <0.005ppm to 3.04ppm and those of two sterilizing rooms out of five exceeded 1ppm, the Korean and ACGIH standards. 2. When the door of the sterilizer is opened at the end of the sterilization cycle, the short term concentrations of operators ranged from <0.005ppm to 11.4ppm, and those of three sterilizing room out of five exceeded 5ppm, the ACGIH short term exposure limit(STEL). The short term concentrations of area samples ranged from 0.24ppm to 49.2ppm and those of four sterilizing room out of five exceeded 5ppm. 3. Factors affecting EO exposure level were aeration type, the location of storage site for sterilized item, amount of gas, use period of sterilizer(p<0.005). 4.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to minimize exposure to EO. The use of EO gas should be reduced by using another available sterilization methods, and the sterilizers and gas tank storage site should be isolated from, other work areas. Combination of local and general ventilation system should be installed. Metal carts or baskets for sterilization load should be used, and work environment and medical monitoring should be performed regularly.

  • PDF

Preparation of UV Curable Gel Polymer Electrolytes and Their Electrochemical Properties

  • Oh, Boo-Keun;Jung, Won-Il;Kim, Dong-Won;Rhee, Hee-W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5호
    • /
    • pp.683-687
    • /
    • 2002
  •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ethylene oxide (EO) units inside poly(ethylene glycol)dimethacrylate (PEGDMA) on the ionic conductivity of its gelled polymer electrolyte, whose content ranges from 50 to 80 wt%. PEGDMA gelled polym er electrolytes, a crosslinked structure, were prepared using simple photo-induced radical polymerization by ultraviolet light. The effect of the number of EO on the ionic conductivity was clearly shown in samples of lower liquid electrolyte content. We have concluded that the ionic conductivity increased in proportion to both the number of EO units and the plasticizer content. We have also studied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13PEGDMA (number of EO units is 13) gelled polymer electrolyte.

역상 HPLC에 의한 polysorbates의 산화에틸렌(EO) 분리 및 정량분석 (Determination and Ethylene Oxide(EO) Separation of Polysorbates by RP-HPLC)

  • 이용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85-593
    • /
    • 2012
  • 역상 HPLC에 의한 polysorbate 20, polysorbate 40, polysorbate 60, polysorbate 80의 ethylene oxide(EO)분리 및 간편하고 빠른 정량분석 방법을 개발하였다. 분석조건으로 분리관은 YMC Pack Ph ($250mm{\times}4.6mm$ i.d., $5{\mu}m$) 과 Phenomenex C4 ($250mm{\times}4.6mm$ i.d., $5{\mu}m$)을 사용하였고, 검출기는 ELSD를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water/acetonitrile의 기울기 용리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때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180.2{\sim}980.5{\mu}g/mL$ 농도 범위에서 0.997이상 이었고, 검출한계, 정밀성이 우수하였다. 이 방법은 olysorbates의 산화에틸렌 분리분석 및 간편하고 빠르게 정량분석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