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MD

Search Result 18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pplication of HHT for Online Detection of Inter-Area Short Circuits of Rotor Windings of Turbo-Generators Based on the Thermodynamics Modeling Method

  • Wang, Liguo;Wang, Yi;Xu, Dianguo;Fang, Bo;Liu, Qinghe;Zou, Jing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v.11 no.5
    • /
    • pp.759-766
    • /
    • 2011
  • This paper focuses on monitoring and predicting the short circuit faults of the rotor windings of large turbo-generator systems.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efficiency and decreasing maintenance cost, a method that combines the HHT (Hilbert Huang Transform) with a wavelet has been studied. This method is based on analyzing a classical Albright detecting coil. Due to th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EMD) and the Intrinsic Mode Functions (IMF) of the HHT the exact location of a short circuit of rotor windings may be given. However, a part of the useful information is eliminated by the unreasonable decomposing scale of the wavelet. Based on the thermodynamics modeling method, this study was illustrated with a 50MW turbo-generator system that is installed in Northern China. The analysis results, which have very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a previous study, show that the method of combining the HHT with a wavelet is an effective way to analyze and predict the short circuit faults of the rotor windings of large generators, such as supercritical turbo-generator systems and wind turbo-generator systems. This work can offer a useful reference for analyzing smart grids by improving the power quality of a distribution network that is supplied by a turbo-generator system.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IDO Technique for the Maintenance Policy Optimization Considering the Performance-Based Logistics Support System (성과기반 군수지원체계의 정비정책 최적화를 위한 PIDO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 Ju, Hyun-Jun;Lee, Jae-Ch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2
    • /
    • pp.632-637
    • /
    • 2014
  •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the performance-based logistics (PBL) support for weapon systems is discussed and an enhancement is studied such that prior to the Operational phase, the development of the PBL can begin from the Engineering & Manufacturing Development (EMD) phase together with multiple performance indices considered. The genetic algorithm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complex system to solve the maintenance policy optimization. In particular, the requirement of repair level analysis model is developed based on reflecting the PBL concept. To decide the maintenance policy prior to Operational phase in accordance with customer requirements, the PIDO(Process Integration and Design Optimization) technique useful in choosing the performance indices and changing the constraints was used. The genetic algorithm of PIDO tool, like PIAnO and ModelCenter, was verified that it could be applied to optimize the maintenance policy.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Fabrication of an Ultrasonic Motor for Auto Focusing and Optical zooming (Auto Focusing 및 Optical zooming에 사용될 초음파모터의 특성분석)

  • Yun, Yong-Jin;Kwon, Oh-Duk;Lee, Jong-Sub;Kang, Sung-Hwa;Lim, Ki-Jo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7a
    • /
    • pp.330-33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폰용 광학중(Optical zooming) 과 자동초점조절장치 (Auto Focusing, AF)에 쓰일 초음파모터를 제작하였다. 초음파모터의제작 및 시뮬레이션은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TILA 5.2.1 (Magsoft co.)를 사용하여 디자인설계에 따른 구동특성을 고찰하였고 제작된 초음파모터는 한쪽 면이 없는 사작형의 탄성체를 제작하였으며 탄성체의 양쪽 다리에 각각 압전체를 부착하였다. 또한 압전세라믹의 조성은 $0.9Pb(Zr_{0.51}Ti_{0.49})O_3-0.1Pb(Mn_{1/3}Nb_{1/3}Sb_{1/3})O_3$의 조성으로 설계하였고 시편의 제조는 7-layer로 적층하였다. 제작된 압전세라믹의 치수는 6*2*0.35$mm^3$(길이*폭*두께)로 제작하였다 또한 탄성체의 외형치수는 10*10*2$mm^3$로 제작하였으며 두께를 각각 0.3[mm], 0.5[mm], 0.8[mm]으로 변화시키며 제작하였다. 두께가 0.8[mm]인경우 공진주파수는 60.5[kHz]를 나타내었으며 초음파모터의 압전세라믹에 인가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회전속도와 모터에 흐르는 전류는 증가하였다. 인가전압이 40[Vpp] 일 때 회전속도는 206[rpm] 이며 소비전력은 0.3[W]로 제작된 시편은 카메라폰용 광학중 및 자동초점조절장치시스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 PDF

Predictation of Precipitation using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활용한 우리나라 강수의 예측)

  • Choi, Wonyoung;Shin, Hongjoon;Kim, Taereem;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7-147
    • /
    • 2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그로 인한 피해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가 강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강수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장기적인 변동에 대한 예측이 매우 중요하다. 그 중,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현상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강수 현상이 주변 기후 요소의 분포에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 하에 기상인자를 통하여 강수를 예측하는 방법이 있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 기상인자들과 강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는 기상인자를 통해 우리나라 강수량을 예측하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강수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상관관계 분석에 있어서 강수 원 자료 와 기상인자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할 경우 원 자료가 가지는 큰 변동성으로 인해 정확한 상관관계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강수자료를 분해하여 분해된 요소별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다양한 자료 분해 방법중 경험적 모드분해법(Empirical Mode Decomposition, EMD)을 사용할 경우 자료의 분해에 있어서 주기성, 경향성에 따라 분해가 가능하며, 비정상성을 가지고 있는 시계열에 대해 효과적으로 분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30년 이상의 자료기간을 가지는 지점의 강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이용하여 강수자료를 분해하고, 이를 다양한 기상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강수량 변동과 연관이 있는 기상인자들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기상인지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기상인자를 독립변수로 하는 강수 예측식을 구축하여 우리나라 강수의 예측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Regenerative potential of biphasic calcium phosphate and enamel matrix derivatives in the treatment of isolated interproximal intrabony defec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Pal, Pritish Chandra;Bali, Ashish;Boyapati, Ramanarayana;Show, Sangita;Tejaswi, Kanikanti Siva;Khandelwal, Sourabh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39 no.4
    • /
    • pp.322-331
    • /
    • 2022
  • Background: The combined use of biomaterials for regeneration may have great biological relevanc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regenerative potential of biphasic calcium phosphate (BCP) alone and with growth factor enamel matrix derivatives (EMDs) for the regeneration of intrabony defects at 1 year. Methods: Th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cluded 40 sites in 29 patients with stage II/III periodontitis and 2/3 wall intrabony defects that were treated with BCP alone (control group) or a combination of BCP and EMD (test group). BCP alloplastic bone grafts provide better bio-absorbability and accelerate bone formation. EMDs are commercially available amelogenins. Mean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for the following parameters: plaque index (PI), papillary bleeding index (PBI), vertical probing pocket depth (V-PPD), vertical clinical attachment level (V-CAL), and radiographic defect depth (RDD). Student paired and unpaired t-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data from baseline to 12 months for each group and between the groups,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05. Results: At 12 months, the PI and PBI scores of the control and test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 mean V-PPD difference, V-CAL gain, and RDD differ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groups at 12 months (p<0.001 for all parameters). Intergroup comparisons showed that the mean V-PPD reduction (2.13±1.35 mm), V-CAL gain (2.53±1.2 mm), and RDD fill (1.33±1.0 m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groups at 12 months (p<0.001 for all parameters). Conclusion: BCP and EMDs combination is a promising modality for the regeneration of intrabony defects.

The effect of enamel matrix derivative (EMD) in combination with deproteinized bovine bone material (DBBM) on the early wound healing of rabbit calvarial defects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와 혼합된 이종골 이식재가 토끼 두개골 결손부 초기 치유에 미치는 영향)

  • Kim, You-Seok;Jang, Hyun-Seon;Park, Ju-Chol;Kim, Heoung-Jung;Lee, Jong-Woo;Kim, Chong-Kwan;Kim, Byung-Oc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1
    • /
    • pp.199-216
    • /
    • 2005
  • 치주치료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상실된 치주조직의 형태적, 기능적 재건이다. 법랑기칠 단백질 유도체(enamel matrix derivative: EMD)는 치주 병소에 사용시 상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치주인대 및 백악아세포를 활성화시켜 무세포성 백악질 및 치주인대와 골조직의 생성을 유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법랑기질 단백칠 유도체는 골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시키며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 및 mineralized nodule의 형성을 촉진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끼 두개골 결손부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와 이종골 이식재를 이식한 후 골밀도를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고, 신생골 형성 및 주변 조직 반응을 조직학적으로 관찰, 평가하고자 하였다. 토끼 두개골에 6mm trephine bur(외경 8mm)를 이용하여 경뇌막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4개의 결손부를 형성하였다. 아무것도 이식하지 않은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이종골 이식재 ($Bio-Oss^{(R)}$, Geistlich, Wolhusen, Switzerland)을 이식한 군을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 ($Emdogain^{(R)}$, Biora, Inc., Sweden)만 이식한 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와 이종골 이식재를 혼합하여 이식한 군을 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재료를 이식한 후 비흡수성 차폐막 ($Tefgen^{(R)}$, Lifecore Biomedical, Inc., U.S.A.)을 위치시키고 흡수성 봉합사로 일차봉합을 시행하였다. 각 군당 술 후 1, 2, 4주의 치유기간을 설정하였다. 동물을 희생시킨 후 두개골을 절제하여 먼저 방사선학적인 골밀도측정을 시행한 후 10% formalin에 고정한 후 통법에 따라 조직표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 방사선학적인 평가에서 1, 2, 4주에 대조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과 비교해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과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 군에서 더 큰 골의 밀도를 보이고 있었다 (P<0.01). 하지만, 동일한 시기에 대조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과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P>0.05),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과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 군의 차이 또한 발견할 수 없었다 (P>0.05). 2. 조직학적인 평가에서 1, 2, 4주에 대조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과 비교해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과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군에서 골의 형성이 더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이 대조군보다 2주에서 더 많은 신생골을 볼 수 있었으며,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 군이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보다 1, 2주에서 더 많은 신생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는 토끼 두개골 결손부 치유단계에서 초기 골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골 이식시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적용하는 것은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Detection of Low-RCS Targets in Sea-Clutter using Multi-Function Radar (다기능 레이다를 이용한 저 RCS 해상표적 탐지성능 분석)

  • Lee, Myung-Jun;Kim, Ji-eun;Lee, Sang-Min;Jeon, Hyeon-Mu;Yang, Woo-Yong;Kim, Kyung-Ta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30 no.6
    • /
    • pp.507-517
    • /
    • 2019
  • Multi-function radar(MFR) is a system that uses various functions such as detection, tracking, and classification. To operate the functions in real-time, the detection stage in MFR usually uses radar signals for short measurement time. We can utilize several conventional detectors in the MFR system to detect low radar cross section maritime targets in the sea-clutter; however, the detectors, which have been developed to be effective for radar signals measured for a longer time, may be inappropriate for MFR.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odelling technique of sea-clutter short measurement time. We combined the modeled sea-clutter signal with the maritime-target signal, which was obtained by the numerical analysis method. Using this combined model, we exploited four independent detectors and analyzed the detection perform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