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

검색결과 2,390건 처리시간 0.032초

자가제조액비 장기연용 처리가 유기 오이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Organic Cucumber Productivity Affected by Long-term Application with Homemade Liquid Fertilizers)

  • 최현석;정지식;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7-100
    • /
    • 2019
  • 본 시험은 유기오이(Cucumis sativus L.) 선도농가에서 자가제조 액비를 장기간 연용하고 있는 순천과 김천지역의 농가를 선정하여 작물의 생산성을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순천농가는 EM(EM 액비; 유용미생물)을 1년 및 15년간 연용한 곳을 각각 EM 1년차와 EM 15년차로 명명하였다. 김천농가의 재배구는 토착미생물(Microbes)을 4년 및 5년간 연용한 곳을 각각 Micro 4년차와 Micro 5년차 재배구로 분류하여 명명하였다. 액비 내 pH 수준은 EM 액비에서 약 7.7로 높았으며 EC는 Micro 액비에서 EM 액비 대비 0.1 dS/m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 대량 무기성분은 두 액비 자재 간에 비슷하였다. 토양 EC는 EM 1년차 재배구에서 약 10.0 dS/m으로 매우 높았으며 나머지 재배구에서는 1.5 dS/m 이하의 수준을 보였다. 토양유기물 함량은 Micro 재배구에서 20 g/kg 이하의 수준으로 EM구보다 2배 이상 낮은 수준을 보였다. 토양미생물상은 재배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재배구간 SPAD와 광계II 활성은 토양 내 유기물함량과 EC 수준이 비교적 높았던 EM 15년차 재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EM 1년차 재배구에서 작물의 전질소와 칼슘 및 나트륨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지만 인산과 마그네슘의 흡수는 저하되었고, 특히 칼륨농도는 약 1.2%로 오이생육을 위한 적정 수준보다 2배 이상 낮게 관찰되었다. 염류가 과잉으로 집적되었던 EM 1년차 재배구에서 수량이 가장 적었다. EM 15년차 재배구에서는 생육후기에 수관이 가장 크게 확대되어 수량 증대효과가 관찰되어서, 10년 이상 장기간 유기액비를 연용하면 토양 안정성과 작물의 생산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PS 긴장재 긴장력 계측을 위한 PSC 거더 내부 매립용 EM 센서 (Embedded EM Sensor for Tensile Force Estimation of PS tendon of PSC Girder)

  • 박주영;김준경;장오기;이환우;박승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691-69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PSC 거더 내부 긴장재의 Prestress 변화를 계측하고, 그 손실을 관리하기 위하여 PSC 거더 내부에 매립이 가능한 매립형 EM 센서를 연구 및 제작하였다. 현재까지의 PSC 내부 긴장재의 긴장력 손실관리는 시공 시 설계 긴장력 도입 여부 검증에 머물러 있으며, 시공 후에는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강자성체에 자기장이 작용하면 비투자율인 강자성체 고유의 특성이 변화한다는 탄성-자기 이론을 기초로, PSC 거더의 정착구와 쉬스관 외관의 특성을 반영하여 PSC 거더 내부에 매립이 가능한 매립형 EM 센서를 설계하여 제작하였다. 제작 후에는 그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소형 PSC 거더 모형에 제작된 매립형 EM 센서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양생이 종료된 후 7가닥의 PS 텐던을 삽입한 후 텐던에 200, 710, 1070, 1300kN의 긴장력을 도입하면서 매립형 EM센서를 통해 비투자율의 변화를 계측하였다. 계측 결과 도입한 긴장력이 커질수록 PS 텐던의 비투자율이 낮아지는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도입 긴장력에 따른 투자율이 도입 긴장력을 충분히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매립형 EM 센서는 PSC 교량 내부로 매립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매립형 EM 센서를 통한 비투자율 변화 계측을 통하여 PS 텐던의 긴장력 변화를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콜레스테롤 랫드에서 파리유충 추출물의 혈액지질 감소기전 (Extracts of Housefly Maggot Reduces Blood Cholesterol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 박병성;박상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1-112
    • /
    • 2014
  • 본 연구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랫드에서 파리유충 에탄올추출물(Ethanolic extract of fly maggot, EM)의 경구투여가 혈액 지질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prague-Dawley 수컷 랫드를 이용하여 4 처리구(EM 투여량; 대조군=0, 5.0, 7.0, 9.0 mg/100 g 체중)로 구분해서 6주 동안 진행하였다. EM 투여군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혈청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C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HMG-CoA reductase activity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EM 투여군에서 낮았으나 총스테롤, 중성스테롤 및 담즙산 배설량은 EM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EM의 혈액 콜레스테롤 감소와 관련한 생물학적 작용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랫드에서 유도된 생체유전자 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s (SREBPs) 및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alpha}$) 발현을 측정하였다. EM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공급받은 랫드의 간에서 SREBP-$1{\alpha}$, SREBP-2 mRNA 발현을 억압함과 동시에 $PPAR{\alpha}$ mRNA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파리유충 에탄올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랫드에서 지질대사와 관련한 생화학적 매개변수 및 유전자발현 조절을 통하여 혈액 콜레스테롤을 낮춘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수처리용 EM 담체의 물리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y on EM Media for Water Treatment)

  • 배수현;라덕관
    • 한국환경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93-502
    • /
    • 2018
  • 수계의 조류발생 원인물질인 질소와 인을 제거할 목적으로 수처리용 EM 담체를 개발한 후,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EM 담체를 제조하기 위한 점토 : 제올라이트 : 질석 : 활성탄의 배합비율은 10 : 2.5 : 0.1 : 2, 소성온도는 $700^{\circ}C$가 적합하였다. EM 담체의 공극률과 밀도는 39.98 %와 $1.13kg/m^3$, 질소와 인의 흡착효율은 69.3 %와 38.9 %, 증류수 담체의 공극률과 밀도는 37.80 %와 $1.11kg/m^3$, 질소와 인의 흡착효율은 62.5 %와 37.8 %로 나타났다. EM 담체가 증류수 담체에 비하여 질소의 흡착효율은 6.8 %, 인의 흡착효율은 1.1 %가 크게 나타났다. 담체의 질소와 인에 대한 흡착특성은 Freudlich 흡착등온식으로 표현이 가능하였다. 소성시간의 변화는 EM 담체를 성형할 때 질소의 인의 흡착효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담체의 강도에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질소의 제거효율은 소성시간 4시간, 인의 제거효율은 소성시간 3시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Development of Paint-type and Spray-type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s

  • Song Jae-Man;Kim Dong-Ii;Choi Jeung-Hyun;Jeung Jae-Hyun;Kim Ki-Man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5권4호
    • /
    • pp.172-175
    • /
    • 2005
  • Sometimes,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paint-type and spray-type EM wave absorbers than bulk-type or sheet-type. Thus, in this paper, we prepared paint-type and spry-type EM wave absorbers. The proportion of ferrites to paints, particle size of magnetic material, and kinds of paint should be considered to prepare a superior paint-type EM wave absorber. There is no big gap between spray-type and paint-type in EM wave absorption of EM wave absorbers prepared with same composition.

Sendust를 이용한 휴대전화용 전파흡수체의 개발 (Development of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s Using Sendust for a Portable Phone)

  • 최정현;김동일;송재만;정재현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5년도 전기학술대회논문집
    • /
    • pp.429-434
    • /
    • 2005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EM wave absorption property of EM wave absorbers prepared with sendust. The EM wave absorbers have good EM wave absorption properties in 1 GHz ${\sim}$ 3 GHz. On the other hand, the absorption band of the EM wave absorber coated with $Al(OH)_3$ larger than non-coated one. Pulverization effect of sendust on EM wave absorption properties was also investigated.

  • PDF

Influence of Ectomycorrhizal Colonization on Cesium Uptake by Pinus densiflora Seedlings

  • Ogo, Sumika;Yamanaka, Takashi;Akama, Keiko;Nagakura, Junko;Yamaji, Keiko
    • Mycobiology
    • /
    • 제46권4호
    • /
    • pp.388-395
    • /
    • 2018
  • Radionuclides were deposited at forest areas in eastern parts of Japan following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incident in March 2011. Ectomycorrhizal (EM) fungi have important effects on radiocaesium dynamics in forest ecosystems. We examined the effect of colonization by the EM fungus Astraeus hygrometricus on the uptake of cesium (Cs) and potassium (K) by Pinus densiflora seedlings. Pine seedlings exhibited enhanced growth after the EM formation due to the colonization by A. hygrometricus. Additionally, the shoot Cs concentration increased after the EM formation when Cs was not added to the medium. This suggests that A. hygrometricus might be able to solubilize Cs fixed to soil particles. Moreover, the shoot K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EM formation when Cs was adde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oot K concentration between EM and non-EM seedl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mechanisms control the transfer of Cs and K from the root to the shoot of pine seedlings.

WHEN IS C(X) AN EM-RING?

  • Abuosba, Emad;Atassi, Isaaf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17-29
    • /
    • 2022
  • A commutative ring with unity R is called an EM-ring if for any finitely generated ideal I there exist a in R and a finitely generated ideal J with Ann(J) = 0 and I = aJ. In this article it is proved that C(X) is an EM-ring if and only if for each U ∈ Coz (X), and each g ∈ C* (U) there is V ∈ Coz (X) such that U ⊆ V, ${\bar{V}}=X$, and g is continuously extendable on V. Such a space is called an EM-space. It is shown that EM-spaces include a large class of spaces as F-spaces and cozero complemented spaces. It is proved among other results that X is an EM-space if and only if the Stone-Čech compactification of X is.

Immediate solution of EM algorithm for non-blind image deconvolution

  • Kim, Seung-Gu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9권2호
    • /
    • pp.277-286
    • /
    • 2022
  • Due to the uniquely slow convergence speed of the EM algorithm, it suffers form a lot of processing time until the desired deconvolution image is obtained when the image is large. To cope with the problem, in this paper, an immediate solution of the EM algorithm is provided under the Gaussian image model. It is derived by finding the recurrent formular of the EM algorithm and then substituting the results repeatedly. In this paper, two types of immediate soultion of image deconboution by EM algorithm are provided, and both methods have been shown to work well. It is expected that it free the processing time of image deconvolution because it no longer requires an iterative process. Based on this, we can find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restored image at specific iterates.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a simple experiment, and discuss future concerns.

토착미생물과 EM 활용 액비 처리가 방울토마토의 토양 화학성과 미생물상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tigation with Indigenous Microorganism and EM on Soil 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and Growth of Cherry Tomatoes)

  • 최현석;정지식;국용인;최인영;정석규
    • 유기물자원화
    • /
    • 제27권4호
    • /
    • pp.15-24
    • /
    • 2019
  • 본 실험은 방울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var. cerasiforme) 농가에서 자가제조한 토착미생물 액비를 3년 및 5년간 연용 처리하였을 때 토양 화학성 및 미생물상과 작물의 생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구는 3-year IM(토착미생물 3년 노지 처리구), 5-year IM(토착미생물 5년 노지 처리구), EM(effective microorganisms; EM 10년 온실 처리구)으로 분류하였고, 모두 1,000배로 희석하여 웃거름으로 관주하였다. IM과 EM 액비 자재의 pH 수준은 16주간 증가하였고 특히 EM의 pH는 1.2정도 상승하였다. IM 자재의 EC는 약간 높았지만 EM과 비슷한 수준인 0.2 dS/m으로 나타났다. 온실 내 포트 실험에서는 IM으로 처리된 토마토 뿌리의 건물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액비 처리에 따른 농가 현장 실험에서는 IM 액비 처리구의 pH는 7.5로 높았고 EC도 8.4 dS/m로 염류 과잉 수준을 보였다. EM 처리구의 유기물함량은 62 g/kg으로 가장 높았고 전질소 등 필수 무기성분 농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IM 처리구에서도 토마토 생장을 위한 적절한 토양 화학성 수준이 관찰되었다. EM 처리구에서 세균수와 방선균수가 가장 증가하였다. EM으로 처리된 작물의 대량 무기성분 농도는 인산을 제외하고는 높게 나타났고 3-year IM과 5-year IM 처리구에서는 비슷한 무기성분 농도가 관찰되었다. 잎의 SPAD와 PSII 수준은 3-year IM 처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토마토 작물의 엽폭, 엽장, 엽수, 수관면적, 초장, 경경은 생육 중기에는 EM 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이었으나 생육 후기에는 처리구 간에 비슷하였다. EM 처리로 잎 건물중은 IM 처리보다 2배 이상 높았지만 수확과수는 2배 이상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