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CB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7초

경년열화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류의 고장점 분석 연구 (A Study on Failure Analysis of Low Voltage Breakers with Aging)

  • 조한구;이운용;이유정;이해기;강성화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7
    • /
    • pp.501-502
    • /
    • 2006
  • In this paper, new and aging sample of MCCB and ELCB are investigated the main performance test such as short circuit test, mechanical and electrical endurance test, dielectric test and surge current test. The surface conditions of new and aging sample are analyzed by SEM, TGA and DSC. The ELCB occurred badness mainly in short circuit test and surge current test. The badness cause of short circuit test was confirmed due to imperfect contact of contact part.

  • PDF

DC 누설 전류 검출 알고리즘을 내장한 누전 차단기 개발 (Development of ELCB with Built-in Algorithm for DC Leakage Current Detection)

  • 주남규;김남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65-169
    • /
    • 2014
  • 손쉬운 제어성, 운용성 등 다양한 이유로 디지털 부하가 급증하고 있고 이와 함께 부하의 소비 패턴은 직류화 되고있다. 그러나 공급되는 전력은 교류 전원이므로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부하의 공급 전원인 직류 전원을 만족하기 위하여 교류 전원을 다시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하고 있다.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 에너지원의 경우 직류 발전을 하는 발전원으로 교류로 변환을 통해 계통에 유입되고 다시 직류로 변환되어 부하에 공급하게 되는 다단 변환을 하게 되어 손실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에너지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직류 기반의 배전 시스템이 필요로 하나, 부하뿐만 아니라 보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직류 배선용 누전 차단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류 누설 전류에 대한 검출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이를 위하여 센서에 대한 성능을 검증하고 이를 활용하여 직류를 기반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에 적용함으로써 직류 배전 시스템 운용에 있어 보호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속 열화 시험에 따른 저압용 차단기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Low-voltage Circuit Breaker Based on the Accelerated Degradation Test)

  • 강신동;김재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8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insulation resistance and operating time based on an accelerated degradation test of a low-voltage circuit breaker. The experimental sample used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MCCB) and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ELCB). After measuring the insulation resistance of the circuit breakers, the leakage current was affected by an external rather than an internal structure. Furthermore, the insulation resistance of the circuit breakers with accelerated degradation was measured using a Megger insulation tester. In the accelerated degradation test, aging times of five, ten, 15, and 20 years were applied according to a temperature derived using the Arrhenius equation. Circuit breakers with an equivalent life of ten, 15, and 20 years had increased insulation resistance compared to those with less degradation time. In particular, the circuit breaker with an equivalent life of ten years had the highest insulation resistance. Component analysis of the circuit breaker manufactured through an accelerated degradation test confirmed that the timing of the increase in insulation resistance and the time of additive loss were the same. Finally, after analyz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circuit breakers with degrad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CCB did not change, but the ELCB breaker failed.

16비트 신호처리 프로세서 기반 유효성분 누설전류 감지 알고리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Active Leakage Current Detecting Algorithm based on 16 bit Signal Processor)

  • 한영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605-610
    • /
    • 2016
  • 누전차단기는 전기재해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러나 기존의 누전차단기는 15mA~30mA의 차단범위에서 합성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저항성 누설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 및 인체감전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용량성 누설전류에 의한 오동작으로 인한 생산성 감소 및 신뢰성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누전차단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상차를 측정을 통하여 유효성분(저항성) 누설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감지된 누설전류를 기술표준규격에서 규정하는 0.03초 이내에 차단을 할 수 있도록 16 bit 신호처리 프로세서인 MSP430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유효성분 누설전류 감지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병렬아크의 고속차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gh Speed Interruption of Parallel Arcing)

  • 길경석;지홍근;박대원;김일권;김영일;조영진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95-100
    • /
    • 2008
  • 기존의 누전차단기는 병렬아크에 대해서 차단을 실패하거나 차단시간이 결어지는 결함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저압 옥내배선 계통에서 병렬아크를 모의하여 기존 누전차단기의 차단특성을 분석하고, 병렬아크 검출에 적합한 공심형 전류센서와 신호변환회로를 설계하여 기존 방식의 누전차단기에 적용하였다. 제안한 방식은 병렬아크의 발생위치와 관계없이 누전차단기를 동작시켰으며, 차단시간은 아크가 발생한 위상에 따라 $1.74{\sim}8.3[ms]$의 범위로 기존 차단기에 비해 약 5배 빠른 특성이다.

단락용량 증대를 통한 슬림형 공항 분전반용 누전 차단기 개발 (Development of Silm Type ELCB For Airport Distribution Panel through Increased short Circuit Capacity)

  • 주남규;이종명;김남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60-366
    • /
    • 2012
  • 공항과 같은 산업 설비에 사용되는 분전반에서는 주 개폐기로 배선용 차단기가 사용이 되고 있으며, 분기 개폐기는 누전 차단기가 사용되어 인체 보호 및 누전 화재 보호 기능을 수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전류 보호, 단락 보호 겸용 기능을 포함하여 사용되어 지고 있다. 특히 공항용 분전반의 경우 사용자의 급증과 함께 급속한 첨단화와 기기의 대용량화, 다양화, 전원용량의 증대 등으로 공항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하여 사고에 대한 보호 증대가 필요하게 되었고, 분기 누전 차단기의 다량 사용에 의한 2열 배열의 접속 방법 등으로 분전반을 제작하여 설치 면적에 대한 이슈가 부각되어 차단기의 슬림화가 주요한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하여 아크 소호 기구부의 설계, 접점이 운동 방향 변경을 고려하여 기구부를 설계하고, 누전 검출 회로의 소형화 및 역 접속 시에도 안적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락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성능 검증을 하였고, 사고 전류에 대한 보호 기능의 강화와, 차단기의 슬림화, 역접속시에서 누전 동작이 가능한 차단기를 개발함으로써 급속히 커져가는 공항용 분전반에서 발생하는 공간 사용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열화원인에 의한 누전차단기 절연재료의 소손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amage by Burning Characteristics of Insulating Materials of ELCB by Degradation Causes)

  • 오새별;옥경재;지승욱;김시국;이춘하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480-483
    • /
    • 2012
  • 열화원인에 의한 누전차단기 절연재료의 소손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전기적인 트래킹 열화에 의한 누전차단기 절연재료의 소손특성과 외부 복사열에 의한 누전차단기 절연재료의 소손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노후화된 누전차단기의 과전류 동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Aged ELCB according to the Overcurrent)

  • 박예진;강신동;김재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7
    • /
    • 2023
  • This study analyzes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311 aged and non-aged residual current circuit breakers (RCCBs) in low-voltage consumer contexts. It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external temperature and harmonics based on the rated current multiples. To simulate temperature variations, a convectional oven was used around the circuit breakers. Additionally, the generation of harmonic reference signals and data measurement for overcurr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NI SCXI, myDAQ, and LabVIEW. An observation revealed that as the ambient temperature increased, the operating time of RCCBs decreased in the time delay region. This was attributed to the faster response or bending of the bimetal, which is the tripping element. However, aged RCCBs encountered challenges with tripping outside the protective curve. The operating time of the circuit breakers exhibited an acceleration influenced by the order and content of harmonic currents, potentially leading to malfunctions. Aged RCCBs demonstrated faster operating times than their non-aged counterparts. However, the difference in operating time varied based on the manufacturer's and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RCCBs. Frequent malfunctions of RCCBs can result in power outages. In cases where these circuit breakers fail to operate, they can lead to secondary damages, including electrical fires and shocks. Consequently,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RCCBs and provide appropriate replacement cycles to mitigate these risks.

아크고장 진단기능을 고려한 지능형 분전반의 단상 전력관리 모듈 설계에 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the Single-Phase Electric Power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of the Intelligent Electrical Switchgear Panel with Arc Fault Diagnosis function)

  • 고윤석;이서한;최현철;이한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2255_2256
    • /
    • 2009
  • 주택용 분전반내의 과부하 차단기(MCCB)나 누전차단기(ELCB)들은 전류 RMS 크기만을 가지고 고장전류를 인식하기 때문에 아크고장전류를 차단하지 못해, 수용가들은 전기화재로 인한 심각한 인명피해나 재산상의 손실을 자주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아크진단 기능을 가지는 지능형 분전반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여기에서는 아크고장 진단 기능을 고려한 지능형 분전반의 단상 전력관리 모듈 설계연구를 주 목적으로 한다.

  • PDF

ARM 프로세서를 이용한 저항성 누전 차단기 개발 (The Development of Resistive Leakage Current Circuit Breaker using a ARM Processor)

  • 이현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15-62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저항성 누설전류를 검출 및 차단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를 32 bit ARM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누전차단기는 기술표준규격(KS C 4613)에서 규정하는 0.03초 이내에 저항성 누전을 차단을 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이러한 누전차단기는 스마트분전반에서 전기화재 및 감전 예방을 위한 차단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