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S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4초

STUDY ON THE ELECTRON GENERATION BY A MICRO-CHANNEL PLATE BASED ON EGS4 CALCULATIONS AND THE UNIVERSAL YIELD CURVE

  • Moon, B.S.;Han, S.H.;Kim, Y.K.;Chung, C.E.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177-181
    • /
    • 2001
  •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a cesium iodine coated micro-channel plate is studied. We use the EGS4 code to transport photons and generated electrons until their energies become less than 1keV and 10keV respectively. Among the generated electrons, the emission from the secondary electrons located within the escape depth of 56nm from the photo-converter boundary is estimated by integrating the product of the secondary electrons with a probability depending only on their geometric locations. The secondary electron emission from the generated electrons of energy higher than 100eV is estimated by the 'universal yield curve'. The sum of these provides an estimate for the secondary electron yield and we show that results of applying this algorithm agree with known experimental results. Using this algorithm, we computed secondary electron emissions from a micro-channel plate used in a gas electron multiplier detector that is currently being developed at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PDF

STUDY ON X-RAYS AND NEUTRONS LEAKED FROM A 45 MeV ELECTRON LINAC FACILITY

  • Sawamura, Sadashi;Kitaichi, Masatoshi;Nojiri, Ichiro;Yamada, Takuma;Kaneko, Junichi;Sawamura, Teruk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133-137
    • /
    • 2001
  • Spatial and time distributions of x-rays and neutrons from Hokkaido University 45 MeV electron linac facility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calculation. In the calculation, x-rays in a Pb-target were evaluated using the EGS-code. The x-rays and the neutrons from the target to the facility building boundary and skyshine process outside the facility building were simulated with the EGS and the MCNP respectively.

  • PDF

수학 영재교육의 최근 동향에 대한 분석 - APCR 8, ERIC, ICME 10, ICCME&EGS'03을 중심으로 -

  • 이강섭;황동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3호통권20호
    • /
    • pp.199-208
    • /
    • 2004
  • 본 연구는 2004년은 한국에서 개최된 APCG 8(The 8th Asia-Pacific Conference on Giftedness, 2004)을 통하여 일반 영재교육의 최근 동향을 탐색하였다. 1980에서 2002년까지의 ERIC(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Center)에 나타난 수학영재관련 문헌을 검색하여 644개를 선정 분석하여 그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2003년에서 2004년까지는 ICME 10(the 10th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al Education, 2004)과 ICCME&EGS'03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Creativity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2003)을 통하여 수학영재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수학영재교육 발전과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PDF

Characterization and Pathogenicity of Alternaria vanuatuensis, a New Record from Allium Plants in Korea and China

  • Li, Mei Jia;Deng, Jian Xin;Paul, Narayan Chandra;Lee, Hyang Burm;Yu, Seung Hun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412-415
    • /
    • 2014
  • Alternaria from different Allium plants was characterized by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Based on sequences of the ${\beta}$-tubulin (BT2b), the Alternaria allergen a1 (Alt a1), and the RNA polymerase II second largest subunit (RPB2) genes and phylogenetic data analysis, isolat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wo groups were identical to representative isolates of A. porri (EGS48-147) and A. vanuatuensis (EGS45-018). The conidi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A. vanuatuensis also well supported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A. vanuatuensis E. G. Simmons & C. F. Hill from Korea and China.

국내 MW급 EGS지역발전 상용화 기술 개발

  • 윤운상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40권10호
    • /
    • pp.65-71
    • /
    • 2011
  • 2010년 지식경제부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착수한 MW급 지열발전 상용화 기술 개발 계획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Electromagnetic Gradient Surface의 입사각과 편파에 따른 RCS 특성 분석 (RCS Characteristic of Electromagnetic Gradient Surface Due to Incident Angle and Polarization)

  • 임요한;김영섭;윤영중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840-84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EGS(Electromagnetic Gradient Surface) 구조의 반사 특성과 함께 RCS 특성을 입사파의 다양한 입사각과 편파에 따라 분석하였다. EGS에 입사되는 입사파의 입사각 ${\theta}_i$$0^{\circ}$에서 $50^{\circ}$까지 $10^{\circ}$ 간격으로 변화시켜가면서 수직 및 수평 편파를 고려하여 반사 특성 및 RCS 감소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EGS의 입사각 ${\theta}_i$$0^{\circ}$로 입사하는 입사파의 경우엔 편파에 따른 반사 특성 및 RCS 감소율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으며, 입사파의 입사각의 크기가 커지게 될수록 편파에 따른 반사 특성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남을 보였다. RCS 특성의 경우, 입사파의 입사각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도 EGS의 수직 방향에서의 RCS 감소율은 약 2 dB 차이를 보이며, 입사각과 편파에 따른 RCS 특성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강자기장에 의한 깊이선량율(PDD) 변화에 관한 연구 : 10 MV 광자선에 대한 몬테칼로 계산 (Study on Variation of Depth Dose Curves by the Strong Magnetic Fields : Monte Carlo Calculation for 10 MV X-rays)

  • 정동혁;김진기;김정기;신교철;김기환;김성규;김진영;오영기;지영훈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4권4호
    • /
    • pp.234-23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몬테칼로 계산을 이용하여 외부 가로 자기장에 의한 깊이선량율(PDD)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몬테칼로 계산은 자기장에서 전자의 편향을 고려하도록 수정한 EGS4 몬테칼로 코드를 사용하였다. 자기장에서 깊이선량율의 변화를 기술하기 위하여, 선량증가(DI; dose improvement)와 선량감소(DR; dose reduction)를 정의하였다. 10 MV 광자선에 대하여 1-5 T 자기장 범위에서 계산한 결과,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DI와 DR은 거의 선형으로 각각 증가, 감소하였다. 자기장 3 T의 경우에 조사면 10${\times}$10 $\textrm{cm}^2$와 자기장 인가깊이 5-10 cm에서 DI는 1.56 (56% 증가), DR은 0.68 (32% 감소)로 나타났다. 깊이선량율 변화의 원리는 로렌츠 법칙과 전자평형 개념으로부터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방사선치료의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6MV Photon Beam Commissioning in Varian 2300C/D with BEAM/EGS4 Monte Carlo Code

  • Kim, Sangroh;Jason W. Sohn;Cho, Byung-Chul;Suh, Tae-Suk;Choe, Bo-Yong;Lee, Hyoung-Koo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 /
    • pp.113-115
    • /
    • 2002
  • The Monte Carlo simulation method is a numerical solution to a problem that models objects interacting with other objects or their environment based upon simple object-object or object-environment relationships. In spite of its great accuracy, It was turned away because of long calculation time to simulate a model. But, it is used to simulate a linear accelerator frequently with the advance of computer technology. To simulate linear accelerator in Monte Carlo simulations, there are many parameters needed to input to Monte Carlo code. These data can be supported by a linear accelerator manufacturer. Although the model of a linear accelerator is the same, a different characteristic property can be found. Thus, we performed a commissioning process of 6MV photon beam in Varian 2300C/D model with BEAM/EGS4 Monte Carlo code. The head geometry data were put into BEAM/EGS4 data. The mean energy and energy spread of the electron beam incident on the target were varied to match Monte Carlo simulations to measurements. TLDs (thermoluminescent dosimeter) and radiochromic films were employed to measure the absorbed dose in a water phantom. Beam profile was obtained in 40cm${\times}$40cm field size and Depth dose was in 10cm${\times}$10cm. At first, we compared the depth dose between measurements and Monte Carlo simulations varying the mean energy of an incident electron beam. Then, we compared the beam profile with adjusting the beam radius of the incident electron beam in Monte Carlo simulation. The results were found that the optimal mean energy was 6MV and beam radius of 0.1mm was well matched to measurements.

  • PDF

한국형 지열발전 기술 분석 (An Analysis on Technology for Domestic Geothermal Power Plant)

  • 장기창;백영진;윤형기;나호상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1-571
    • /
    • 2009
  • 지열은 날씨와 기온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연중 가동할 수 있어 기저부하를 담담할 수 있는 유일한 신재생에너지 자원이므로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우리나라는 비화산지대이며 지중 온도가 가장 높은 지역의 5km에서 약 $170^{\circ}C$ 내외이므로 외국에 비해 지온경사도가 크지 않은 편이다. 그리고 3km 이상에서는 지하대수층이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지열발전을 위해서는 EGS 기법을 도입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지열수를 확보할 수 있는 온도범위가 약 $100{\sim}150^{\circ}C$ 정도이므로 이에 적합한 지열발전 플랜트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지열발전에 적용되는 플랜트는 건증기 지열발전, 플래쉬증기 지열발전, 바이너리 사이클 지열발전으로 분류할 수가 있으나 국내 여건에 맞는 방식으로서 바이너리 사이클 발전으로서 ORC 플랜트 또는 Kalina 사이클 플랜트가 적합하므로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국내 지열발전의 기술개발에 있어서 핵심요소는 심부천공 및 EGS를 위한 인공파쇄기술과 지상 플랜트로서 저온지열 발전 플랜트의 기술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기술개발이 완성되면 발전 뿐만아니라 집단지역난방, 온실 및 양어장 등에도 열공급이 가능한 열병합발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EGS 기술로서 상업적 성공을 이룬 것은 세계적으로 2~3개 사례에 불과한 신기술로서, EGS 기술의 국내 조기 실현으로 기술 선점 및 해외 수출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심부 지열자원은 국내 어디에나 부존하는 ubiquitous 자원이며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무한 청정 국산 에너지 자원이나, 이의 개발에는 높은 초기 투자비와 risk를 요하므로 민간 업체의 투자가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하에 산.학.연 중심으로 시범보급이 우선 이루어진 후 민간의 자발적 투자를 통한 지열 개발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