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S40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43초

소 수정란의 Vitrification 동결 보존시 동결보호제의 종류 및 배 발달 단계가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Cryoprotectant Kinds and Cell Stages on the Viability of Bovine Embryos Cryoproserved by Vitrification)

  • 김상근;박상훈;석호봉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5-230
    • /
    • 2000
  • 본 연구는 소 수정란의 동결에 있어서 완만 및 급속동결과 vitrification동결 후의 생존성을 비교하고 이울러, 내동제의 종류 및 배 발달단계가 vitrification동결 보존 후의 발생율을 조사하고자 수행 하였다. 1. 소 수정란의 vitrification 동결보존 후의 발생율과 부화율은 67.5%와 27.5%로서 급속동결 및 완만동결 운해 후의 발생율과 부화율 42.5% 와 20.0% 및 52.5%와 25.0%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대조군(82.5%, 37.5%)에 비해서 낮게 나타났다. 2. EFS와 EDS내동제의 처리에 따른 소 수정란의 vitrification 동결보존 후의 발생율과 부화율은 47.5%와 22.5% 및 52.5%와 27.5%로서 대조군의 82.5%와 37.5%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3. 소 수정란의 2 cell, 8 cell, morulae, blastocyst stage별 vitrification 동결보존 후의 발생율과 부화율은 25.0%와 15.0%, 32.5%와 20.0%, 37.5%와 20.0%, 52.5%와 27.5% 및 47.5%와 25.0%로서 대조군(82.5%와 37.5%)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 PDF

유리화 및 완만동결법에 의한 토끼 전핵배의 동결보존 후 배발달율 (Post-thaw Development of Rabbit Zygotes Following Vitrification or Slow Freezing)

  • 박충생;강다원;하란조;공일근;최상용;이효종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1-149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trification and slow freezing methods on the post-thaw developmental rate of rabbit zygotes. After exposing rabbit zygotes in EFS solution for 0.5, 1, 2, 3 and S min at room temperature, they were washed with 0.5 M sucrose solution, D-PBS and TCM-199 and then cultured in TCM-199 plus 10% FBS with bovine oviduct epithelial cells(BOEC) to examine whether the cryoprotectant induced injury during the various exposure periods. The embryo development rates to hatched blastocyst after exposing in EFS solution for 3 and 5 min(40.0 and 16.7%)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0.5, 1 and 2 min(63.0, 72.0 and 54.5%), respectively. The post-thaw development rates to hatched blastocyst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in in vivo morula with intact mucin coat(85.2%) and mucin seperated morula(77.8%) than those of in vitro morula(58.5%) and zygote(5.9%), hut no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in vitro morulae and mucin separated morula. The cryoprotectant dilution procedures showed no effects on the post-thaw development rates to hatched blastocyst under the present culture conditions. The post-thaw development to hatched blastocyst in the rabbit zygot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low freezing(12.8%) and vitrification(5.9%).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abbit frozen zygotes could he successfully developed in vitro to hatched blastocysts, though their developmental rate was very low, compared with morula stage embryos, in either vitrification or slow freezing procedure under the present conditions.

  • PDF

Combined chemotherapy and intra-arterial chemotherapy of retinoblastoma

  • Choi, Saerom;Han, Jung Woo;Kim, Hyosun;Kim, Beom Sik;Kim, Dong Joon;Lee, Sung Chul;Lyu, Chuhl J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6호
    • /
    • pp.254-259
    • /
    • 2013
  • Purpose: Retinoblastoma (RB) is the most common primary malignant intraocular tumor in children. Although systemic chemotherapy has been the primary treatment, intra-arterial chemotherapy (IAC) represents a new treatment option. Here, we performed alternate systemic chemotherapy and IAC and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is approach. Methods: Patients diagnosed with intraocular RB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11 at Severance Children's Hospital, Yonsei University, were reviewed. Before February 2010, the primary treatment for RB was chemotherapy (non-IAC/CTX). Since February 2010, the primary treatment for RB has been IAC (IAC/CTX). External beam radiotherapy or high-dose chemotherapy were used as "last resort" treatments just prior to enucleation at the time of progression or recurrence during primary treatment. Enucleation-free survival (EFS)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were assessed. Results: We examined 19 patients (median age, 11.9 months; range, 1.4 to 75.6 months) with a sum of 25 eyes, of which, 60.0% were at advanced Reese Ellsworth (RE) stages. The enucleation rate was 33.3% at early RE stages and 81.8% at advanced RE stages (P=0.028). At 36 months, EF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AC/CTX group than in the non-IAC/CTX group (100% vs. 40.0%, P=0.016). All 5 patients treated with IAC achieved eye preservation, although most patients were at advanced RE stages (IV-V). Conclusion: Despite the limitation of a small sample size, our work shows that an alternative combined approach using IAC and CTX may be safe and effective for eye preservation in advanced RB.

다양한 유리화 용액과 동결기구에서 유리 동결 생쥐 포배기 배아의 생존율 비교 (The Comparison of Survival Rates of Vitrified Mouse Blastocysts in Various Vitrification Solutions and Apparatuses)

  • 조동휴;이기숙;류철희;권중기;이정헌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7-3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urvival rates of vitrified mouse blastocysts in various vitrification solutions (cryoprotectants) and apparatuses. The mouse blastocysts were harvested from culture of mouse 2 cell embryo an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i) untreated (control); (ii) exposed to cryoprotectant agents; or (iii) cryopreserved by various vitrification apparatuses. Vitrification solutions are 40% ethylene glycol (EG) + 5.8 mg/mL ficoll + 0.5M sucrose (EFS solution), 3M glycerol + 3M EG (ES solution), 20% EG + 20% dimethyl sulfoxide (ED solution), 3M EG + 1.0 m sucrose (ES solution). Vitrification apparatuses consisted of 5 groups ; closed plastic straw (CPS), electron microscope (EM) grid, cryoloop, open pulled straw (OPS), and glass micropippete in plastic straw (GPS). The survival rates of control were 88.0%. The survival rates of exposed blastocysts in EFS, GE, ED, and ES solutions were 70.8%, 43.5% (P<0.01), 83.3% and 65.2%,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s of vitrified blastocysts in CPS, EM grid, cryoloop, OPS and GPS were 56.5% (P< 0.01), 72.7%, 83.3%, 60.9% (P<0.05) and 54.2% (P<0.01), respectively. Among the vitrification solutions, the highest survival rate was seen in blastocysts vitrified in EG + DMSO (83.3%). The survival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88%). Blastocysts cryopreserved with glycerol in all groups had an overall low survival rate of 43.5%. Survival rate of mouse blastocysts between vitrification apparatuses showed higher in cryoloop.

목재 펠릿 난로와 보일러 사용에 의한 대기오염물질과 블랙카본의 배출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s and Black Carbon from Wood-pellet Stove and Boiler)

  • 박성규;유근정;김대근;김동영;장영기;전의찬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47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simulating domestic utilization conditions of a wood pellet stove and a wood pellet boiler in order to determine emission factors (EFs) of macro-pollutants, i.e., carbon monoxide, nitrogen oxides, sulfur oxides, ammonia, particulate matters (total suspended particulate, $PM_{10}$, $PM_{2.5}$, black carbon) and trace pollutants (i.e., ten different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e composite pollutants EFs for the pellet stove were: for TSP 4.58 g/kg, for $PM_{10}$ 3.35 g/kg, for $PM_{2.5}$ 2.48 g/kg, CO 119.23 g/kg, NO 14.40 g/kg, $SO_2$ 0.17 g/kg, TVOC 37.73 g/kg, $NH_3$ 0.02 g/kg and emissions were similar to the pellet boiler appliance: for TSP 4.73 g/kg, for $PM_{10}$ 3.41 g/kg, for $PM_{2.5}$ 2.63 g/kg, CO 161.51 g/kg, NO 13.67 g/kg, $SO_2$ 0.19 g/kg, TVOC 45.22 g/kg, $NH_3$ 0.02 g/kg.

체외생산된 한우 배반포기배로부터 송아지 생산을 위한 체계 II. 한우 배반포기배를 간편하면서 효율적이고 성공적으로 유리화 동결하는 방법 (Systems for Production of Calves from Hanwoo(Korean Cattle) IVM/IVF/IVC Blastocyst II. Simple, Efficient and Successful Vitrification of Hanwoo Blastocyst)

  • Kim, E.Y.;Kim, D.I.;Park, N.H.;Weon, Y.S.;Nam, H.K.;Lee, K.S.;Park, S.Y.;Yoon, S.H.;Park, S.P.;Chung, K.S.;Lim, J.H.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1-291
    • /
    • 1999
  • 본 실험은 체외 생산된 한우 배반포기배에 적합한 동결 / 융해 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체외배양 7일째에 생산된 배반포기배는 동해제 EFS40(40% ethylene glycol, 18% ficoll, 0.3 M sucrose 그리고 10% FBS가 첨가된 m-DPBS)과 embryo container인 EM grid (V-G) 또는 straw(V-S)를 이용해서 초자화 동결하였다. 동결과 융해는 두 방법 모두 2 단계로 실시하였으며, 처리시간은 V-G 방법이 2 분과 3분, V-S 방법이 3.5분과 10분 각각 소요되었다. 체외 생존능 평가는 융해 후 24시간째의 재팽창율과 48 시간째의 부화율로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팽창 배반포기배를 이용하여 동결액 노출과 동결과정의 냉해가 배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융해 후 24시간째, 동결액 노출군 (100.0%)의 결과는 대조군 (100.0%)과 차이가 없었으며, 두 동결군 (V-G: 87.8%, V-S: 77.8%)의 생존율과 비교해 볼 때 유의하게 높았다 (P<0.00l). 그러나, 융해 후 48시간째 각 처리군의 부화율을 조사하였던 바, V-G 군 (67.8%)은 V-S 군 (53.3%)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P<0.05), 동결액 노출군 (73.3%)과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배발달단계 (초기, 팽창, 부화초기 배반포)와 동결에 사용된 embryo container(EM grid, straw)가 체외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비교하였던 바, embryo container 에 상관없이 빠르게 발달된 배반포기배가 느리게 발달하는 난자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초기 : 57.1, 24.4%; 팽창 : 84.7, 60.6%; 부화초기 : 91.7, 80.0%)(P<0.001). 특히, 팽창 배반포기배와 부화초기 배반포기배에서, 융해 후 48시간째, V-G군(67.8, 95.0%)의 부화율이 V-S군(53.0, 65.0%)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동결시 EM grid 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0.05, P<0.001). 따라서, 한우 배반포기배는 EM grid를 사용하는 초자화 동결방법으로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이고 성공적으로 동결보존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 PDF

미성숙 소난자의 초급속 동결ㆍ융해 후 수정 및 체외 배발달 (In Vitro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Bovine Immature Oocytes by Ultra- Rapid Cooling)

  • Ryu, C. S.;K. S. Kil;Kim, N-H;D. H. Ko;Lee, H. T.;K. S. Chung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1-227
    • /
    • 1999
  • 미성숙한 소 난자 동결보존 기술의 개발은 체외수정, 복제동물 및 형질전환동물 생산에 필요로 하는 난자를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공급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그 효용가치가 많으나 아직까지 성공 보고례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현미경용 grid를 이용한 초급속 동결 방법에 의해 미성숙한 소 난자를 동결 보존한 후, 이 난자를 융해하여 체외성숙, 체외수정 및 배발달을 유도하였다. 동해제는 PBS에 40% ethylene glycol, 0.5M sucrose, 18%과 10% fetal bovine serum이 들어 있는 EFS40을 사용하였다 . 동결ㆍ융해 후의 난자의 생존율은 48% 정도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나 metaphase-II까지의 성숙율은 78%로, 정상 자웅전핵 형성율 75%로 대조군에 비해 차이가 없었다. 또한 배반포까지의 배발달율은 대조군23%와 동결군은 5%로 동결 융해한 것이 낮았으며 수정후 108~120시간 째 배반포를 염색하여 세포수률 알아본 결과는 각각 128$\pm$5와 98$\pm$8이었다. 항동해제내 $Na^{+}$ 이온의 농도에 따른 미성숙된 난자의 생존율, 성숙, 수정 및 배발달율을 조사하였으나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동결 보존된 미성숙 소 난자가 융해후 체외성숙 및 수정에 의해 배반포까지의 발달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소아기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에서 후기강화요법의 효과 (Effect of Delayed Intensification on Survival of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 이지연;윤수;권병철;유철주;김황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2호
    • /
    • pp.1260-1265
    • /
    • 2003
  • 목 적 : 소아기급성림프구성 백혈병의 재발율을 낮추기 위하여 1970년대부터 시작되어 본원에서는 1990년대에 도입된 후기강화 요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0년 3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소아과 및 신촌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서 치료받은 급성림프구성 백혈병환자 139명을 대상으로 성별, 진단시 나이, 백혈구수, 면역표현형, 후기강화요법 실시여부 및 합병증 등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후기강화요법은 CCG-1891의 약제를 사용하였으며 Kaplan-Meier 생존곡선을 이용하여 전체생존율 및 재발에 따른 사망을 사건으로 정의한 무병생존추정률을 구하였다. 결 과 : 전체 환아의 정중추적 관찰기간은 39개월(범위 3-237개월)이었으며 5년 생존율은 60%였고, 5년 무병생존추정률은 55%였다. 후기강화요법 시행에 따른 5년 생존율은 1회 시행시 86%, 2회 이상 시행 시 95%였으며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40%였다. 후기강화요법 시행에 따른 5년 무병생존추정률은 1회 시행시 84%, 2회 이상 시행 시 95%였으며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45%였다. 저위험군에서는 후기강화요법 시행 시 5년 생존율이 94%,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58%였고, 5년 무병생존추정률은 시행한 경우는 97%,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52%였다. 결 론 : 급성림프구성 백혈병 소아에서 후기강화요법 시행은 5 년 무병생존추정률 및 5년 생존율을 향상시켰다.

정량적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 검사에서 관류결손이 좌심근질량 측정과 부하 후 좌심실 용적 및 구혈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fusion Defect on the Measurement of Left Ventricular Mass, Ventricular Volume and Post-stress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in Gated Myocardial Perfusion SPECT)

  • 안병철;배선근;이상우;정신영;이재태;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81-391
    • /
    • 2002
  • 목적: 심질환의 예후 인자로 알려진 좌심근 질량 및 좌심실 구혈률을 구할 수 있는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는 관류결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관류결손을 일으키는 심혈관질환은 안정시와 부하후 좌심실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심근관류 스펙트상 관류결손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하여, 첫째 관류 결손의 크기와 가역성 여부에 따른 안정시와 부하 후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로 구한 좌심근 질량의 차이를 알아 보았으며, 둘째, 관류결손의 가역성 여부에 따른 안정시와 부하 후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로 얻은 좌심실 용적과 좌심실 구혈률의 상관성 및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심근관류스펙트상관류 결손이 있는환자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 가운데 남자가 34명(73.9%)이었고 평균연령은 $64{\pm}9$세였으며, 40명(87.0%)은 가역성 관류결손이었다.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는 740MBq의 Tc-99m MIBI를 투여한 후 이중헤드 감마카메라(Vertex Plus, ADAC,USA)를 이용하여 영상자료를 얻었다. 좌심근 질량, 이완기말/수축기말 좌심실 용적 및 좌심실 구혈률은 AutoQUA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결과: 안정시와 부하 후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로 구한 좌심근 질량은 뛰어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가역적 관류결손 환자보다 고정 관류결손 환자가, 관류 결손의 크기가 20%미만인 환자가 관류 결손크기가 20% 이상인 환자보다 두 값 사이에 더 높은 상관성이 있었다. 고정 관류결손을 가진 환자는 안정시와 부하 후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에서 얻은 좌심실 이완기말 용적, 좌심실 수축기말 용적, 좌심실 구혈률에 차이가 없었으나, 가역적 관류결손을 가진 환자에서는 안정시와 부하후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에서 얻은 좌심실 구혈률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역적 관류결손 환자 40명 가운데 10명(25%)에서는 부하후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에서 구한 좌심실 구혈률이 안정시에 구한 좌심실 구혈률보다 5%이상 낮았다. 고정관류 결손환자는 가역적 관류 결손환자에 비해 안정시와 부하 후 좌심실 용적과 구혈률에 더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결론: 관류결손은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를 이용한 좌심근 질량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고정 관류 결손을 가진 환자 보다 가역적 관류 결손을 가진 환자에서 심근부하 후 좌심실 구혈률 감소가 더 빈번하게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개 미숙난자의 Vitrification 동결 후 체외수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n Vitro Fertilization after Vitrification Freezing of Immatured Canine Oocytes)

  • 박상훈;박종민;김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7-121
    • /
    • 2002
  • 본 연구는 소형견의 불임 해결을 위해 미숙난자를 보존 후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명하기 위하여 미성숙 난포란을 시간별로 배양한 뒤 vitrification 동결 융해후 체외수정율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1 미숙난포란을 회수 후 1, 6, 12, 24시간 성숙 배양 후vitrification동결 융해 후 체외수정 시켰을때 수정율은 각각 31.4%. 22.5%, 11.9% 및 5.3%로서 대조군의 수정율 60.0%에 비해 낮은 성적이었고, 회수 후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난포란이 높은 체외수정율을 나타냈다. 2. 미숙난포란을 회수 후 1, 6, 12 및 24시간 배양시킨 난포란을 vitrification 동결 융해 후 체외 수정시킨 배의 생존율은 각각 55.0%, 40.0%, 28.6% 및 17.1%로써 대조군의 76.7%에 비해 낮은 생존율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