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TA-2NA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7초

Na2S를 이용한 EDTA 토양세척수로부터의 중금속 분리 (Separation of Heavy Metals from Metal-EDTA in Spent Soil Washing Solution by using Na2S)

  • 오상화;신원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0권7호
    • /
    • pp.103-111
    • /
    • 2015
  • Soil washing with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is highly effective in the 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The EDTA recycling process is a requisite for reducing the operating cost. The applicability of Na2S addition on the precipitation of heavy metals from the spent soil washing solution and thereby recycling of EDTA was investigated. Addition of Na2S into the single metal-EDTA and the mixed metal-EDTA solutions ([Na2S]/[metal-EDTA] ratio = 30, reaction time = 30 min and pH = 7~9) was highly effective in the separation of Cu and Pb from metal-EDTA complexes, but not for Ni. The Zn removal efficiency varied with pH and slightly increased upto 40% as the reaction time increased from 0 to 240 min which was longer than those for Cu and Pb. Ca(OH)2 was subsequently added to induce further precipitation of Zn and Ni and to reduce the Na2S dose. At the [Na2S]/[metal-EDTA] ratio of 10, the removal efficiencies of all heavy metals excluding Ni were above 98% with the dose of Ca(OH)2 at 0.002, 0.006 and 0.008 g into 100 mL of Cu-, Pb- and Zn-EDTA solutions, respectively. However, Ca(OH)2 addition was not effective for Ni-EDTA solution. A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metal removal efficiency and subsequent EDTA recycling for the real application in field-contaminated soils.

가압살균한 전난액의 녹색변이 방지에 관한 연구 (Prevention of the Green-grey Discoloration in Retorted Liquid Whole Eggs)

  • 송인상;유익종;강통삼;민병용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2
    • /
    • 1984
  • 달걀을 어육혼합소시지 등 가압살균제품의 원료로 사용할 경우 기술상 문제점의 하나인 녹색변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란액에 $Na_2$EDTA를 첨가하고 121$^{\circ}C$에서 가압살균시 $Na_2$EDTA에 의한 녹색변이 방지정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란액의 녹색변이 정도는 가열 온도 및 시간에 의해 크게 달라져 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시간이 갈수록 심하였다. 2. 가압살균한 전란액의 녹색변이는 $Na_2$EDTA 0.015%정도 첨가에 의해 방지가 가능하였다. 3. 전란액의 $Na_2$EDTA 0.02% 첨가시 기호성의 하락은 인정할 수 없었으며 저장기간 중에는 녹색변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수침목제유물 보존처리에 관한 연구 -EDTA 처리에 관하여- (A study on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waterlogged wood cultural properties for the subject of EDTA treatment)

  • 양석진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5년도 제22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122-134
    • /
    • 2005
  • XRF, EDX, IR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the effect of Fe to blacken the waterlogged wood. The results showed that investigated soil contained more Fe than normal soil by XRF analysis and wood ash contained more sulfur and Fe than any other element by EDX analysis. C-H and C-O peak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t the surface of wood where is blackened part of waterlogged wood by IR analysis. The optimum condition to remove Fe from waterlogged wood by EDTA was investigated. To do this, removed concentration of Fe was measured at various concentration of EDTA-2Na. The optimum pH of EDTA-2Na was figured to be 4.1 to 4.3 and as the concentration of EDTA was increasing, extracted concentration of Fe was also increased. In the case of 0.4 wt% of EDTA-2Na, 700ppm of Fe was eliminated and was stabilized after 48 hours time lapse. In the case of EDTA-3Na, the optimum pH was 7 to 8, and 10 ppm of Fe was eliminated at 0.4 wt% of EDTA-3Na. In the case of EDTA-4Na, the optimum pH was 10 to 11, and 120 ppm of Fe was eliminated at 0.4 wt% of EDTA-4Na.

  • PDF

Smear layer 처리에 따른 미세누출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SMEAR LAYER TREATMENT ON THE MICROLEAKAGE)

  • 이정민;박상혁;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5호
    • /
    • pp.378-389
    • /
    • 2006
  • 본 연구는 도말층 제거 여부에 따른 근관 밀폐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단근관 치아를 3% NaOCl 하에서 Ni-Ti file을 이용하여 crown-down법으로 근관 형성 후 최종세정제로 NaOCl을 사용한 군과 EDTA를 사용한 군, 6개월 보관한 NaOCl-6군과 EDTA-6군으로 분류하였다. Continuous wave법으로 근관 충전 시행 후 색소 침투를 시행한 다음 해부학적 근첨에서 1.5 mm (Level 1), 3.0 mm (Level 2), 4.5 mn (Level 3)에서 수평절단 하여 누출률을 측정하였다. 1. 모든 실험군에서 평균 누출률은 치근단부에서 치경부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2. NaOCl군의 누출률이 EDTA 군보다 level 1 2, 3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level 1에서만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 (p < 0.05). 3. NaOCl-6군의 누출률이 EDTA-6 군보다 Level 1, 2, 3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level 1에서만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 (p < 0.05). 4. NaOCl-6군의 누출률이 NaOCl군에 비해 Level 1, 2, 3에서 증가하였으나 level 1에서만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 (p < 0.05). 5. EDTA-6군의 누출률이 EDTA 군에 비해 Level 1, 2, 3에서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었다. 6.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NaOCl 군과 NaOCl-6 군은 도말층이 제거되지 않아 상아세관내로 sealer 및 근관충전재가 침투하지 못한 반면, EDTA 군과 EDTA-6 군에서는 도말층이 제거되고 상아세관내로의 sealer와 근관충전재의 침투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EDTA를 이용하여 도말층을 제거한 경우 근관충전 즉시와 6개월 후 치근단 1/3 부위의 근단부 미세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 염 및 당의 첨가가 미역 추출액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Cl, Sugar, Salt, and Sequestrants on Some Quality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s of Sea Mustard)

  • 최희숙;김종군;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7-392
    • /
    • 1992
  • 미역 추출액의 고형분과 단백질의 수율 및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HCl, 설탕, 소금, EDTA, SHMP를 첨가하여 추출액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추출액은 분말 미역을 첨가하여 2시간 끓인 후 원심 분리하였다. $0.1{\sim}0.5N$ HCl를 첨가하였을 때 고형분과 단백질 수율 및 상징액율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산처리를 하지 않는 대조구의 고형분과 단백질 수율 23.20%와 4.87%에서 각각 52.48%와 36.73%로 증가하였으며 점도는 450 cps에서 20 cps 이하로 감소하였다. 설탕, 소금, SHMP, $Na_2EDTA$$0.5{\sim}3.0%$ 첨가하였을 때 고형분 농도와 수율은 $Na_2EDTA-SHMP-sucrose-NaCl$ 순으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Na_2EDTA$ 3% 첨가하였을 때 고형분 수율은 55%로 가장 높았고 점도와 탁도는 SHMP와 $Na_2EDTA$ 첨가시 감소하였다.

  • PDF

수침고목재의 흑화 원인과 제거방법에 관하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and Removal the Cause of Blacken Effect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s)

  • 양석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413-430
    • /
    • 2007
  • 우리나라 저습지에서 출토되는 목제유물은 대부분 흑갈색을 띠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매장 환경의 주체인 토양성분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주 동림동 저습지 유적과 창녕 송현동 고분군 내의 토양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유적 모두 Si, AI, Fe 등의 함유량이 높게 나타난 바가 있다. 또한 신안선과 광주 동림동 및 창녕 송현동 고분 출토 목재의 무기물 분석에서도 모두 토양의 주성분인 Si보다 Fe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성분과 함유량에 있어서도 유사함을 보였다. 출토지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Fe 함량에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일반적으로 매장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그 중 Fe는 목재의 열화로 생성된 타닌과 반응하여 타닌산 제I철이 되고, 산소와 결합하여 타닌산 제II철이 되므로 흑색을 띠게 된다. 이러한 목재흑화의 주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Fe은 EDTA를 사용하여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제거가 가능하다. EDTA를 통해 흑화된 목재에서 Fe을 제거하는 실험을 한 결과 EDTA-2Na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72시간 동안 반응 후 용액을 제거하고 다시 EDTA와 반응시켜 Fe을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흑화현상을 제거할 수 있었다.

EDTA의 세정시간에 따른 근관 내 smear layer의 제거효과에 관한 연구 (TIME-DEPENDENT EFFECTS OF EDTA APPLICATION ON REMOVAL OF SMEAR LAYER IN THE ROOT CANAL SYSTEM)

  • 이자경;박상혁;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3호
    • /
    • pp.169-178
    • /
    • 2006
  • 본 연구는 EDTA용액의 적용 시간에 따른 도말층의 제거 효과를 비교하여 EDTA용액의 최적 적용 시간을 알고자 시행되었다. 단근치 35개를 NaOCl 용액 하에서 근관 형성 후 대조군은 NaOCl 용액 5 ml로 2분간, 실험군은 30초군, 1분군, 2분군으로 세분하여 17% EDTA 용액 5 ml로 각각 30초, 1분, 2분간 세정하였다. 세정이 끝난 치근의 도말층 제거 정도와 상아 세관의 erosion 정도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군: 도말층이 전혀 제거되지 않았다. 2. 실험군 1) 중간$\frac{1}{3}$: 세 군 모두에서 도말층이 거의 완전히 제거되었고, EDTA적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erosion발생 빈도가 증가하였다. 2) 치근단$\frac{1}{3}$: 2분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도말층 제거 정도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erosion 발생을 최소화면서 도말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17% EDTA 용액을 2분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Ethanol Wet Bonding에서 NaOCl과 EDTA가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dium Hypochorite & EDTA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Ethanol Wet Bonding)

  • 김덕중;송용범;박상희;김형선;이혜윤;유미경;이광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37-44
    • /
    • 2013
  • 근관치료 후 적절한 치관부 밀폐를 위해 레진을 이용한 코어수복방법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근관치료 과정에서 사용되는 NaOCl이나 EDTA같은 근관세척제는 레진 접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ethanol wet bonding을 치수강 상아질에 적용 시에 NaOCl과 EDTA가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30개의 인간 대구치로부터 총 60개의 시편을 얻었고, 이를 무작위로 4개의 군으로 분류했다. G1: 증류수로 세척후 증류수로 마무리 세척, G2: NaOCl로 세척 후 NaOCl로 마무리세척, G3: NaOCl로 세척 후 EDTA로 마무리세척, G4: NaOCl로 세척 후 EDTA로 마무리세척하고 접착과정에서 산부식과정 생략. 접착과정은 인산부식 후 에탄올의 농도를 50%, 70%, 80%, 95% 그리고 100%로 순차적으로 증가시켜가면서 상아질을 탈수시키고 에탄올에 적셔지도록 하였다. 프라이머는 HEMA가 포함되지 않은 상용화된 접착제인 ALL-BOND 3 RESIN과 에탄올을 반반씩 섞어 만들었다. 프라이머 적용 후 ALL-BOND 3 RESIN을 접착제로 사용하였다. 저점도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6mm 두께로 적층충전한 후 빔 형태로 잘라 미세인장결합강도 실험을 하였다. NaOCl 처리한 그룹은 미세인장결합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는 않았지만 낮은 평균값을 보여주었다(p=0.052). NaOCl 처리 후 1분간 EDTA로 처리한 그룹은 다른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합강도를 보여주었다(p<0.05). EDTA 처리가 결합강도를 향상 시켰지만, 산부식 과정을 생략할 경우 유의하게 낮은 결합 강도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EDTA처리가 산부식 과정을 대신할 수는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Effect of Chelation with Calcium Disodium EDTA on Haemato-biochemical and Trace Mineral Profile in Blood from Lead Exposed Calves

  • Patra, R.C.;Swarup,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8호
    • /
    • pp.1130-1134
    • /
    • 2005
  • An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20 calves of about one-month ol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elation therapy with calcium 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CaNa_2$EDTA) alone or along with antioxidant $\alpha$-tocopherol in lead loaded calves on blood trace minerals, erythrocytic sulfahydryl groups and some haematobiochemical parameters. Fifteen calves were given lead orally at a daily dose of 7.5 mg of 99% pure lead acetate/kg body weight for 28 days. Then the lead was withdrawn on day 28 and the calv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Each group of five animals was either treated with $CaNa_2$EDTA alone at the dose rate of 110 mg/kg body weight in two divided doses for 4 days or along with $\alpha$-tocopherol at the dose rate of 100 mg/kg body weight orally daily for 7 days, keeping the remaining five calves as lead-exposed untreated control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end of the lead exposure (day 0) and thereafter on day 2, 4, 7 and 10 from the start of the chelation treatment. The treatment with EDTA alone led to slow but non-significant improvement in blood copper level, but incorporation of antioxidant $\alpha$-tocopherol in chelation therapy resulted in its significant decline, as recorded on day 7-post treatment. Withdrawal of lead or treatment with $CaNa_2$EDTA alone or along with $\alpha$-tocopherol enhanced the erythrocytic thiol contents and the levels of T-SH and P-SH became statistically (p<0.05) comparable to those of lead-exposed controls by day 7 and 4,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p>0.05) change in serum urea, creatinine, total protein and albumin levels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It is concluded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that treatment with $CaNa_2$EDTA at the present dose rate is safe to be used for chelation in lead loaded calves.

Soft chelating irrigation이 GP/AH Plus로 충전된 근관의 sealing ability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 (EFFECT OF SOFT CHELATING IRRIGATION ON THE SEALING ABILITY OF GP/AH PLUS ROOT FILLINGS)

  • 유이숙;김태균;이광원;유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6호
    • /
    • pp.484-49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glucose leakage test를 이용하여 soft chelating irrigation이 근관 충전의 sealing ability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발치된 45개의 단근치를 수집하여 치관부를 잘라내 치근이 총 13mm가 되게 하였다. 근관은 K3 NiTi 구동 기구를 사용하여 성형하고 #45/.06 taper까지 확대하였다. 3개의 실험군(n=13)과 2개의 대조군(n=3)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은 다음의 세척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1군, 2.5% NaOCl로 세척; 2군, 2.5% NaOCl로 세척 후 17% EDTA로 최종 세척; 3군, 2.5% NaOCl과 15% HEBP 혼합 용액으로 세척, 근관은 gutta-percha와 AH Plus를 사용하여 측방가압으로 충전하였다. $37^{\circ}C$, 습도 100%에서 7일 동안 보관하고 glucose leakage model을 이용하여 치관부로부터 치근부 방향의 미세누출을 정량화하였다. 1, 4, 7, 14, 21, 28일 째 누출된 glucose의 농도를 spectrophotometry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실험 기간 동안 누출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HEBP처리군은 실험 기간 동안 EDTA처리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EBP처리군은 21일 이후부터 도말층으로 덮인 NaOCl처리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누출을 보였다. HEBP로 처리된 상아질은 EDTA로 처리된 상아질과 비슷한 양상의 폐쇄를 보였으나 도말층이 남아있는 상아질보다는 우수한 sealing ability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약한 킬레이트제인 HEBP는 EDTA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