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GE VEGETATION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8초

강원도 남부 지역에서 소나무림 벌채 후 형성된 숲 가장자리의 회복 과정 (Recovery Process of Forest Edge Formed by Clear-cutting Harvest in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in Gangwondo, South Korea)

  • 김준수;조용찬;배관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1호
    • /
    • pp.1-9
    • /
    • 2017
  • 산림 벌채 후 형성되는 가장자리 효과의 발생 여부과 회복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생태계 천이와 경관 및 서식지의 공간 영향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필수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관련 주제의 실증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강원 남부 지역의 소나무림 벌채 후 1, 3, 10, 16년이 경과한 장소에 형성된 벌채지 및 임내 가장자리에서 비생물 및 생물 요인의 변화 양상을 선 (20개) 및 방형구 (340개) 조사법을 병용하여 조사하였다. 벌채 후 초기(3년 이내)는 가장 자리에서 인접 숲 내부 방향으로, 15m 깊이까지 식생 피도, 풍부도, 수관 열림도, 그리고 대기 온도 및 습도가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가장자리 형성 이후, 비생물 요인 및 식물 풍부도의 안정화는 각각 10년 및 16년이 소요되었다. 교목종이 초본식물에 비하여 가장자리 환경에서 더 높은 증가 양상을 나타내었고, 교목종의 높은 증가는 하층식생의 동태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벌채에 의한 직 간접적인 서식지 변화는 최소 인접 산림의 15 m에서 20 m까지, 그리고 16년 수준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경관 및 서식지 패치 평가에 필수적인 가장자리 효과의 깊이에 대한 첫 국내 첫 실증 연구자료로 친환경벌채 기준제시 등 활용성이 높다.

발안천에서 토양 환경에 따른 하천 주변의 식생분포 (Distribution of Stream-Edge Vegetation in the Balan Stream as Related to Soil Environjments)

  • 백명수;임경수;이도원;조도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6호
    • /
    • pp.451-459
    • /
    • 1997
  • Season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were examined and related to soil texture, pH, moisture and nutrient contents in the riparian zone of the Balan Stream. In spring the area was dominated by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was displaced by Persicaria thunbergii and Humulus japonicus in summer. From the stream channel to bank, soil texture and p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moisture decreased, organic matter and K increased, and TKN and available P increased in June and decreased in August. DCA ordination analysis by species distribution showed spatially and seasonally distinct patterns seasonal difference was evident on axis 1, and spati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stream channel was clear, too. Both axis 1 and axis 2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iomass, pH, and phosphate. Species richness increased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iomass, pH, and phosphate. Species richness increaed with increasing organic matter and phosphate,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soil moisture and K. Biomass increased with increasing organic matter, but was negatively related to pH, moisture, TKN, available P and K. Available P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iomass, pH, and total soil nitrogen. In conclusion, the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was governed by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which are primarily determined by how far it is from the stream channel.

  • PDF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역 등산로 주연부식생 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rail Edge in the Eastern Region Chirisan National Park)

  • 정승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09-315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역의 등산로 주연부식생 구조 및 훼손을 파악하기 위하여 7개 등산로를 대상으로 1999년 8월에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등산로 상에 나타난 주연부식생의 주요 수종으로는 철쭉꽃 미역줄나무 조록싸리 등이었다 등산로 주연부의 종다양도 식생피도 개체수는 이용객 수와 깊은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지환경별 드산로 주연부식생의 종구성은 남삼면과 북사면의 중복부에서 가장유사한 반면 동사면 상복부와 북사면 산록부간에 이질적이었다 한편 남, 북 사면간 등산로 주연부식생은 각 사면 산록부에서 종구성이 가장 이질적이었다 남.북사면의 중복부에서 조록싸리 철쭉꽃이 우세하였으나 북사면 상복부에서는 철쭉꽃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등산로 주연부의 식생피도 능선부 남사면 북사면 동사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계룡산국립공원 등산로의 주연부식생 (Edge Vegetation Structure of Trail on Kyeryongsan National Park, Korea)

  • 오구균;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80-286
    • /
    • 2001
  • 계룡산국립공원 지역의 등산로 주연부식생 구조 및 훼손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10개 등산로를 대상으로 2000년 8월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등산로 주연부식생의 수종으로는국수나무, 조록싸리, 조릿대 등이었다. 등산로 주연부의 종다양도, 개체수는 이용강도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이용강도와 하층피도는 대체적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로 전 구간에서 우세하게 출현한 수종은 국수나무이었으며, 대체적으로 능선부 등산로 주연부식생과 사면부에 위치한 등산로 주연부식생간 종구성이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입지환경에 따른 등산로 주연부 수종의 차이는 작은 편이다. 등산로 주연부의 식생피도는 북사면, 서사면, 동사면, 남사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월악산국립공원 탐방로의 주연부식생 (Edge Vegetation Structure of Trails in Woraksan National Park)

  • 최송현;오구균;조현서;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6-111
    • /
    • 2005
  • 월악산국립 공원지역의 탐방로 주연부식생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요 탐방로 5개 구간에 조사구 39개를 설치하여 식생 구조를 조사하였다. 탐방로별 교목층의 우점종은 신갈나무와 소나무, 굴참나무가 조사되었으며, 관목층의 주요 수종으로는 입지환경 요인이나 이용강도에 상관없이 동창구간을 제외한 모든 구간에서 조록싸리로 나타났다. 5개 탐방로 구간 간 유사도지수는 $41.65\%\~66.50\%$로 나타났다. 입지환경별 탐방로 주연부 수종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속리산 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과 주연부식생에 미치는 영향 (User′s Impacts on Trail Deteriorations and Edge Vegetation in Sokri Mountain National Park)

  • 권태호;오구균;이준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3-68
    • /
    • 1990
  • 속리산 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과 주연부 식생에 대한 이응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990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및 최대깊이는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고, 전체 52개 조사지점에서 관찰된 훼손형태는 매우 다양하였으며, 훼손된 지점의 등산로 상태 중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최대깊이와 등산로물매는 건전한 지정의 상태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등산로 주연부의 상충수관에 있어서 우점수종은 해발이 높아짐에 따라 중사자암코스에서 졸참나무$\longrightarrow$굴참나무, 소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비로산장코스에서 소나무, 굴참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로 바뀌고 있으며, 국수나무, 노린재나무가 중사자암코스에서 높은 상대우점치를 나타내고, 생강나무, 쇠물푸레나무가 비로산장코스에서 높은 상대우점치를 보이고 있다.

  • PDF

Pattern and process in MAEUL, a traditional Korean rural landscape

  • Kim, Jae-Eun;Hong, Sun-Ke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2호
    • /
    • pp.237-249
    • /
    • 2011
  • Land-use changes due to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influence landscape patterns and processes, which affect habitats and biodiversity. This study considers the effects of such land-use changes, particularly on the traditional rural "Maeul" forested landscape, by analyzing landscape structure and vegetation changes. Three study areas were examined that have seen their populations decrease and age over the last few decades. Five types of plant life-forms (Raunkier life-forms) were distinguished to investigate ecosystem function.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vegetation dynamic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based on a vegetation similarity index. Ordination analysis transformed species-coverage data was introduced to clarify vegetation dynamics. Landscape indices, such as area metrics, edge metrics, and shape metrics, showed that spatial heterogeneity has increased over time in all areas. Pinus densiflora was the main land-use plant type in all study areas but decreased over time, whereas Quercus spp. increased. Over a decade, P. densiflora communities shifted to deciduous oak and plant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mpact of human activities on the Maeul landscape is twofold. While forestry activities caused heavy disturbances, the abandonment of traditional human activities has led to natural succession. Furtherm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ype and intensity of these human impacts on landscape heterogeneity relate differently to vegetation succession. This reflects the cause and consequence of patch dynamics. We discuss an approach for sustainable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Maeul landscape based on traditional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