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_{50}

검색결과 1,250건 처리시간 0.031초

Efficacy of Newer Molecules, Bioagents and Botanicals against Maydis Leaf Blight and Banded Leaf and Sheath Blight of Maize

  • Malik, Vinod Kumar;Singh, Manjeet;Hooda, Karambir Singh;Yadav, Naresh Kumar;Chauhan, Prashant Kumar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21-125
    • /
    • 2018
  • Maize (Zea mays L.; 2N=20) is major staple food crop grown worldwide adapted to several biotic and abiotic stresses. Maydis leaf blight (MLB) and banded leaf and sheath blight (BLSB) are serious foliar fungal diseases may cause up to 40% and 100% grain yield loss, respectively. The present studies were undertaken to work out the efficacy of chemicals, botanicals and bioagents for the management of MLB and BLSB under field condition for two seasons Kharif 2014 and 2015. Five molecules (propiconazole 25 EC, hexaconazole 25 EC, carbendazim 50 WP, mancozeb 75 WP and carbedazim 12 WP + mancozeb 63 WP), two bioagents i.e. Trichoderma harzianum and T. viridae and three botanicals namely azadirachtin, sarpagandha and bel pathar were tested for their efficacy against MLB. Eight newer fungicides viz., difenconazole 250 SC, hexaconazole 5 EC, carbendazim 50WP, validamycin 3 L, tebuconazole 250 EC, trifloxystrobin 50 WG + tebuconazole 50 WG, azoxystrobin 250 EC and pencycuron 250 SC were evaluated against BLSB.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of propiconazole at 0.1%, carbendazim 12 WP + mancozeb 63 WP at 0.125% and sarpagandha leaves at 10% against MLB pathogen, whereas validamycin at 0.1% and trifloxystrobin 25 WG + tebuconazole 50 WG at 0.05% were found effective against BLSB. The slow rate of disease control virtually by the bioagents might have not shown instant effect on plant response to the yield enhancing components. The identified sources of management can be used further in strengthening the plant protection in maize against MLB and BLSB.

수생생물을 이용한 유해물질의 독성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ensitivity of Aquatic Organisms to the Toxic Materials)

  • 한의정
    • 환경위생공학
    • /
    • 제10권2호
    • /
    • pp.46-58
    • /
    • 1995
  • Acute toxicity of heavy metals( Mercury, Cadmium, Lead, Chromium and Copper ), Organophosphorus insecticides( EPN, 2, 4- D, and Parathion ), and other chemicals( Arsenic, Cyanide, and Phenol) to Daphnia magna, and Vibrio fischeri was analysed. Daphnia magna to most toxic chemicals was most sensitive among test organisms alld then Daphnia magna seems to be more useful in toxic test of water. Daphnia magna was more sensitive to heavy metals than insecticides and other chemicals. The sensitivity of Visrio JircAeri to heavy metals was not so different from that to insecticides and the sensitivity to other chemicals was low. Visrio JircAeri appears to be more sensitive to toxic chemicals than Photobacterium phosphoreum, which was compared as recorded values of P.phosphoreum. Toxic chemicals were classified as Group 1 which had a high $EC_{50}$ or $LC_{50}$ value and the low increase rate of toxic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oncentration, Group 2 which had a high $EC_{50}$ or $LC_{50}$ value and the high increase rate of toxicity, Group 3 which had a low $EC_{50}$ or $LC_{50}$ value and the high increase rate of toxicity, and Group 4 which had a low $EC_{50}$ or $LC_{50}$ value and the low increase rate of toxicity. To Daphnia magna, Lead, Chromium EPN, and Parathion were included in Group 1 : Mercury and Copper in Group 2 : Arsonic and Cadmium in Group 3 : Cyanide, 2, 4-B, and Phenol in Group 4. To Visrio JircAeri, Lead, Chromiurl 2, 4- D, and Parathion were included in Group 1 : Merecury, Cadmium and Arsenic in Group 2 : Cyanide in Group 3 : EPN, Copper, and Phenol in Group 4.

  • PDF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acetone extract of the cortex of Ulmus pumila L.)

  • 인만진;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2호
    • /
    • pp.133-136
    • /
    • 2016
  •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유리라디칼 소거활성($EC_{50}=36.7{\mu}g/mL$)과 환원력($EC_{50}=53.2{\mu}g/mL$)이 증가하였다.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은 정상 세포인 인체 배아 폐상피세포(L132)에는 독성이 낮으면서 농도에 비례하여 인체 폐암세포(A549, $GI_{50}=74.3{\mu}g/mL$)와 대장암세포(SNU-C4, $GI_{50}=92.8{\mu}g/mL$)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미생물의 비성장속도와 지연기의 측정을 통한 유해오염물질의 독성검사 (Toxicity Evaluation of Hazardous Contaminants by Measuring Lag Periods and Specific Growth Rates of a Test Microorganism)

  • 양진우;장덕진
    • KSBB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469-476
    • /
    • 1998
  • Among 31 water-born microbial strains isolated from various sites in Korea, strain DJ-4 was selected as a test organism for toxicity measurements in that its growth was completely inhibited by the presence of 668.4 mg/L of chloroform and 297.5 mg/L of toluene in the liquid LB medium whereas others did not. It was observed that lag periods and specific growth rates of DJ-4 batch vial cultures were prolonged and decreased, respectively, by phenol,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p-xylene, perchloroethylene, trichloroethylene, and chloroform at the concentrations between 3.6 and 417.8 mg/L. There changes were found to be linear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ons of the toxic compounds. From the first-order regression equations, 50% effective concentrations (EC50${\mu}$ for concentrations of toxic compounds causing 50% decrease of specific growth rates and EC50lag for 50% increase of length of lag periods) were calculated for each compounds. By comparing DJ-4 EC50${\mu}$ values with Daphnia LC50's from a literature for benzene, ethylbenzene, toluene, and trichloroethlyene, it was concluded that microbial specific growth could be a new, fast, and reliable parameter for toxicity tests.

  • PDF

Alcaligenes sp.의 생장과 인 제거에 미치는 이종 중금속 혼합의 독성 효과 (Toxic Effects of Binary Mixtures of Heavy Metals on the Growth and P Removal Efficiencies of Alcaligenes sp.)

  • 김덕현;유진;정근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9-86
    • /
    • 2016
  • 본 연구는 인 축적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미생물인 Alcaligenes sp.의 생장 및 인 축적에 중금속이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미생물의 생장 및 인 제거에 미치는 저해효과를 정량적 평가를 위해 생장저해 정도와 인 제거반응저해 정도를 IC50와 EC50를 이용하여 표현하였고, 중금속 간 교호작용의 평가를 위해 Additive Index Value method (A.I.V) 를 이용하여 중금속 간 혼합효과를 판단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Alcaligenes sp.의 생장 및 인 제거에 미치는 저해효과가 가장 큰 중금속은 카드뮴(Cd)이었다. 반면, 상대적으로 저해효과가 약한 중금속은 니켈(Ni)이었다. 모든 중금속은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생물의 생장과 인 제거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일 중금속 처리시 IC50에 해당하는 농도는 Cd 0.38, Cu 16.43, Zn 12.17, Pb 11.68, Ni 15.35 mg/L 이다. 연구에 사용된 균주 Alcaligenes sp. 의 인 제거율은 88.1%였고, EC50에 해당하는 농도는 Cd 0.31, Cu 10.37, Zn 5.57, Pb 6.74, Ni 12.04 mg/L 이다. 두 종의 중금속을 혼합 처리하였을 때 IC50에 해당하는 농도가 가장 낮은 중금속 처리구는 Cd + Cu 처리구였으며, 가장 높은 처리구는 Zn + Pb 처리구였다. EC50의 농도는 Cd + Cu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농도를, Cu + Ni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중금속 간 교호작용은 대부분 길항효과(antagonistic effect)를 보였으나, IC50의 경우, Cu + Zn, Cu + Pb, Cu + Ni, Pb + Ni 처리구에서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EC50에서는 Cu + Zn, Pb + Ni 처리구에서 상가효과(additive effect)를, Cu + Ni 처리구에서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를 보였다. 연구 결과는 중금속을 단일 및 2종 혼합 처리하였을 때 중금속이 인 제거 미생물의 생장 및 기능에 미치는 독성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추후 진행될 미생물 단백질 동정, 중금속 독성평가에 관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국내 벼키다리병균의 Prochloraz 약제에 대한 저항성 변화 (Monitoring for the Resistance to Prochloraz of Fusarium Species Causing Bakanae Disease in Korea)

  • 최효원;이용환;홍성기;이영기;남영주;이재금;한송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2-117
    • /
    • 2015
  • 국내에 분포하는 벼키다리병균의 prochloraz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도별로 균주를 수집하고, 병원성을 검정하였으며, 한천희석법을 사용하여 각 균주의 prochloraz에 대한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값과 effective concentration of 50% ($EC_{50}$) 값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2006년부터 2007년 분리균의 MIC 값은 $3.125{\sim}6.25{\mu}g/mL$인 균주가 가장 높은 빈도로 분포하였고, 2013년부터 2014년 분리균의 MIC 값은 $6.25{\sim}12.5{\mu}g/mL$의 농도에서 분포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2006년부터 2007년 분리 균주의 평균 $EC_{50}$값은 $0.3142{\mu}g/mL$이었으며, 2013년부터 2014년 분리 균주는 $0.8124{\mu}g/mL$이었다. 2006년부터 2007년 분리 균주의 prochloraz에 대한 저항성 기준 $EC_{50}$값은 $0.6{\mu}g/mL$로 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기준에 의한 저항성 균주의 비율은 2006년부터 2007년 분리 균주는 약 6.5%였고, 2013년부터 2014년 분리 균주에서는 41.6%로 저항성 균주의 빈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추장과 발효액이 첨가된 알래스카 산 프리미엄 명란의 ABTS, FRAP, total phenolic acid의 항산화 특성 분석 (Antioxidant Properties (ABTS, FRAP, Total Phenolic Content) of Alaska and Gochujang Pollock Roes and Fermented Pollock Roe Seasoning)

  • 장종수;황지영;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61-1468
    • /
    • 2018
  • 알래스카 산 대구(Gadus chalcogrammus)는 북태평양에 분포하는 대구과 한류 어종이다. 알래스카 산 대구의 명란 원료, 프리미엄 고추장 명란, 프리미엄 발효 명란을 증류수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철 환원 항산화능(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FRAP), 총 페놀함량을 평가하였다. 명란 원료의 증류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ABTS+ 소거능은 1.0 mg/ml 농도에서 각각 50.1%, 53.1%였다. 고추장 명란의 증류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ABTS+ 소거능은 1.0 mg/ml 농도에서 각각 71.3%, 71.6%였다. 발효 명란의 증류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ABTS+ 소거능은 1.0 mg/ml 농도에서 각각 68.7%, 70.4%였다. 명란원료의 증류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ABTS+에 대한 최소 저해 농도 값($EC_{50}$)은 각각 12.49 ug/ml과 12.21 ug/ml이었다. 고추장 명란의 증류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FRAP에 대한 최소 저해 농도 값($EC_{50}$)은 각각 10.67 ug/ml과 10.56 ug/ml이었다. 발효 명란의 증류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에 대한 최소 저해 농도 값($EC_{50}$)은 각각 10.45 ug/ml과 10.31 ug/ml이었다. Gallic acid를 대조구로 할 때 총 페놀 함량에 대한 상대적 활성은 명란 원료가 52.0%, 고추장 명란이 61.1%, 발효 명란이 63.6%였다. 명란 원료보다 고추장 명란과 발효 명란에서 ABTS+, FRAP 소거능 및 총 페놀 함량이 우수하였다.

요시마쯔깔따구와 리파리깔따구(파리목: 깔따구과)의 중금속에 대한 급성독성 및 유영능력 비교 (Comparing Acute and Swimming Endpoints to Evaluate the Response of Two Freshwater Midge Species, Chironomus yoshimatsui and Chironomus riparius to Heavy Metals)

  • 유동현;손진오;모형호;배연재;조기종
    • 환경생물
    • /
    • 제23권2호
    • /
    • pp.98-105
    • /
    • 2005
  • 한국산 요시마쯔깔따구(Chironomus yoshimatsui)의 세 가지 중금속(납, 카드뮴, 수은)에 대한 급성독성 및 행동 독성을 외국 표준 실험 종인 리파리깔따구(C. riparius)와 비교하였다 48시간 및 96시간 동안 수중 노출(water-only exposure)을 시킨 후 두 가지 실험종의 반수치사농도($LC_50$)및 깔따구의 유영 능력 감소에 영향을 주는 농도($EC_{50}$)를 바탕으로 두 실험 종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카드뮴과 납에 대하여는 요시마쯔깔따구가 리파리깔따구에 비해 둔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수은에 대하여는 요시마쯔깔따구가 더 민감한 반응을 나타냈다. 모든 실험에서 $LC_50$값과 $EC_{50}$값의 비율이 1보다 높게 나와 사망률보다는 유영 능력을 기준으로 실시한 급성독성 평가가 더욱 민감한 결과를 얻었다. 노출 기간에 따른 급성독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 노출 기간이 길수록 급성독성 및 행동독성도 높게 나타났다.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의 화학적 방제와 골프장의 금잔디(Zoysia matrella) 및 새로운 기주의 피해 (Chemical Control of Popillia quadriguttata(Coleoptera: Scarabaeidae) and Damage of Zoysia matrella and Newly Recorded Host Plants in Golf Courses)

  • 이동운;추호렬;신홍균;최병귀;이근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44
    • /
    • 2003
  •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는 우리 나라골프장의 중요해충 중의 하나이다. 녹색콩풍뎅이 성충은 활엽수나 초본류의 잎을 먹고, 유충은 잔디의 뿌리를 가해한다. 녹색콩풍뎅이 성충의 화학적 방제를 위하여 골프장 잔디 해충방제용으로 고시된 carbaryl+phosalone WP, chlorpyrifos+diflubenzuron WP, chlorpyrifos-methyl EC, deltamethrin EC, ethofenprox WP, etofenprox+diazinon WP, etofenprox+tebufenozide EC, fenitrothion EC, imidacloprid SC, pyraclofos WP, tralomethrin EC의 녹색콩풍뎅이 성충에 대한 효과를 실내와 온실, 야외에서 조사한 결과, 실내와 온실실험에서 carbaryl+phosalone WP, chlorpyrifos+diflubenzuron WP, etofenprox+diazinon WP, fenitrothion EC가 기준량에서 녹색콩풍뎅이 성충에 대하여 95% 이상의 치사율을 보였고, field 실험에서는 carbaryl 40%+phosalone 20% WP와 fenitrothion 50% EC 처리에서 녹색콩풍뎅이 성충의 보정사충율이 각각 95.2%와 80.9%였다. 전착제 첨가는 carbaryl+phosalon 20% EC를 제외하고는 약효의 증대와 상승을 나타내었다. 경남 진해 용원골프장의 조경수인 칸나(Canna generalis)와 경기도 군포의 안양 베네스트골프장에의 조경수인살구나무(Prunus ameriaca var. ansu)와 자두나무(P. Salicina)에서 녹색콩풍뎅이에 의한 피해가 확인되어 녹색콩풍뎅이의 기주식물은 총 19과 26속 29종이 된다. 2002년 10월과 2003년 3월에 안양베네스트골프장 페어웨이와 러프의 금잔디(Zoysia matrella)에서는 녹색콩풍뎅이의 유충에 의하여 피해를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녹색콩풍뎅이 유충의 피해를 받은 금잔디는 황화되거나 시들음 증상이 있었고, 이듬해 봄에는 잔디의 회복이 지연되었다.

Octachlorostyrenes의 환경생물에 대한 급성독성 연구 (Acute Toxicity Studies of Octachlorostyrenes for Environment Organisms)

  • 김용석;전용배;이대용;이주환;이규승;성하정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7-97
    • /
    • 2009
  • 옥타클로르스티렌은 환경중에서 잔류성이 높고 분해되지 않아 고농도로 축적될 뿐만아니라독성이 매우 높은물질군을 일컫는 PBTs(Persistent, Bioaccumulative and Toxic Substances) 화합물로서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는 PBTs 화합물군에 속하는 옥타클로르스티렌과 그 이성체를 대상으로 환경위해성평가의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하여 환경생물인 조류, 물벼룩 및 어류 등 먹이연쇄상의 생물종에 대해 급성독성시험을 통해 반수영향농도($EC_{50}$, Effective Concentration), 반수치사농도($LC_{50}$, Lethal Concentration), 최대무영향농도(NOEC, No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또는 최소영향농도(LOEC, Lowest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등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옥타클로르스티렌 및 2-, 3-chlorostrene의 조류에 대한 성장저해 무영향농도는 $0.5\;mg\;L^{-1}$로 산출되었고, 4-chlorostyrene의 조류에 대한 성장저해 무영향농도는 $0.13\;mg\;L^{-1}$로 산출되었다. 담수무척추동물인 물벼룩에 대한 급성유영저해시험결과 옥타클로르스티렌 및 2-, 3-chlorostrene의 무영향농도는 $5\;mg\;L^{-1}$로 산출되었고,4-chlorostrene의 $EC_{50}$ 값은 $2.128\;mg\;L^{-1}$로 산출되었다. 또한 담수어류인 송사리를 대상으로 실시한 급성어독성시험결과, 옥타클로르스티렌의 무영향농도는 $80\;mg\;L^{-1}$, 2-, 3-chlorostyrene의 무영향농도는 $60\;mg\;L^{-1}$로 산출되었고 4-chlorostyrene은 $LC_{50}$값은 $39.0\;mg\;L^{-1}$(48 시간), $22.6\;mg\;L^{-1}$(96 시간)로 산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