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SYSTEM OF RIVER

검색결과 608건 처리시간 0.032초

DMZ의 축소된 공간 범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ed Spatial Extent of DMZ)

  • 정규석;신현탁;김상준;안종빈;윤정원;권영한;허태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55-363
    • /
    • 2015
  • 정전협정으로 설치된 한반도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 일대는 정치적 군사적 위상과 더불어 역사적 생태적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오늘날 국 내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DMZ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현실이나, 정작 연구의 대상이 되는 DMZ 공간의 실제 범위에 대한 고민과 논의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쪽의 임진강 하구에서 동쪽의 고성군 명호리에 이르는 DMZ의 정확한 범위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연구를 진행한 결과 DMZ의 면적은 약 $570km^2$로 기존에 알려진 $992km^2$에서 현재 43%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155마일로 대변되는 군사분계선(MDL: Military Demarcation Line) 길이의 경우 현 상황에서의 정확한 실측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강우시 및 비강우시 수질 모니터링을 통한 도암호 탁수 발생 원인 분석 (Characteristics of Spatial Variability in Water Quality on Stream of Lake Doam Watershed)

  • 권혁준;이재완;임정하;우수민;김종건;임경재;김동진;홍은미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6호
    • /
    • pp.43-50
    • /
    • 2020
  • The Doam Lake watershed is one of the non-point source management area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is a constant problem for the stream ecosystem dut to Storm water. In this study, a total of 48(rainfall) and 47(non-rainfall) sites were investigated for the entire watershed (Samyangcheon, Chahangcheon, Hoenggyecheon, Yongpyeongcheon, Songcheon, Lake Doam) on August 15, 2019 and on October 18, 2019 to estimate the source of turbid water in the Doam Lake watershed. Subsequently, water qual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Suspended Soild (SS), Turbidity, Total Phosphorus (TP), Total Nitrogen (TN), and Biochemical Oxygen Demands (BOD) and correlation among water quality parameters was analyzed based on the analyzed samples. As a result, most of the turbid water generated during rainfall was in highland fields. During rainfall, Hoengyecheon had the highest average SS concentration among all streams, and during non-rainfall, the average SS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Yongpyeongcheon, so the two stream were selected as vulnerable areas. However, since Yongpyeongcheon may be a temporary phenomenon due to river construction, additional continuous monitoring is required. Therefore, in the Doam Lake watershed, intensive management is required for vulnerable areas.

하천구조 개선에 따른 어류 서식적합도와 물리적 교란의 상관분석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hysical Disturbance and Fish Habitat Suitability before and after Channel Structure Rehabilitation)

  • 최흥식;이웅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1호
    • /
    • pp.33-41
    • /
    • 2015
  • 본 연구는 어류서식적합도 향상을 위해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하천의 구조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천구조 개선에 의한 수리특성의 변화에 따른 어류 서식적합도와 물리적 교란양상과의 상관특성을 분석하였다. 원주천의 하천 환경조사와 어류의 군집특성을 이용하여 수중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복원 목표어종으로 참갈겨니를 선택하였다. 참갈겨니의 서식적합지수를 사용한 서식적합도 분석은 PHABSIM 모형을 이용하였다. HEC-RAS를 이용한 수리특성 분석과 하천교란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물리적 교란평가를 수행하였다. 서식적합도 향상을 위한 최적의 저수로 폭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천구조의 개선에 의한 수리특성의 변화에 따른 서식적합도와 물리적 교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어류 서식적합도와 물리적 교란 평가점수의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식적합도 향상을 위한 하천의 구조 개선은 물리적 교란의 평가점수의 향상을 가져옴을 확인하였다.

기후변화가 하천 유황과 어류 물리서식처에 미치는 영향 평가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Flow Regime and Physical Habitat for Fish)

  • 홍일;김지성;김규호;전호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1호
    • /
    • pp.33-44
    • /
    • 2019
  • 최근 기후변화 현실화로 강우 발생 시기와 패턴이 변화하면서 유역에 따라 유황이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한 하천 유황의 장기적 변화는 수중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커다란 변화를 야기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기후변화와의 연계성은 물론, 유량변화와 생태학적 특성을 포함한 수생태계 관점에서의 분석은 대부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현재-미래의 유황 변화가 만경강 하도와 홍수터 영역에서 감돌고기의 서식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현재보다 미래에 홍수와 가뭄 등 극한 수문 조건이 심화됨을 확인하였고, 특히 크기, 빈도, 지속시간, 시기와 변화율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유황 특성의 변화를 명확히 파악하였다. 그리고 유황 특성과 물리서식처 해석을 연계함으로써 기후변화로 인해 미래 생태환경 변동에 대한 위험성이 크게 증대될 것이라는 결과 제시가 가능하였다.

Present Status of Fisheries Wealth in Angola

  • Konda, Fredy Ditomene Mbala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
    • /
    • 2008
  • Angola has a coastline of about 1,650 km long. Two diverging current namely, the Angola current with its warm water from the north and the cold Benguella Current in the south create a strong up-welling with a high productive ecosystem for marine resources. The area from Lobito to the mouth of the Cunene River, also known as the Southern fishing zone is by far the most productive of Angola's fishing zones. In 1977, the total potential of its marine fisheries sector was estimated at more than 700,000 tonnes per annum. In 2003, the Total Allowable Catch (TAC) established for demersal species was 57,600 tonnes and 160,000 tonnes for pelagic species. The most important resources are various marine demersal and pelagic fish including pilchard and the Cape and Cunene horse Mackerel (Tranchurus capensis and T. trecae). Sardinellas (Sardinella aurita and S. maderensis) are fished in parallel with horse mackerel. The rest of the catches are mainly demersal spp. and some deep water crustaceans. The demersal sppecies consist of Hake (Merluccius polli and M. capensis) and the large eye dentex spp. Tunas are caught at certain times of the year whilst some marine shrimp are also harvested from the Angolan waters. Angola also has several high value freshwater fish species, exploited by about 255 fishers. Tilapia sp. is among the most important and abundant fresh water fish found in Angola. Other species include the catfish (Clarias gariepinus) and fresh water prawns (Macrobrachuin rosenbergii). Some aquaculture ponds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country side, but due to lack of investment, proper training and the impact of civil war have seriously limited developments in the sub sector.

  • PDF

어류서식적합도 향상을 위한 하천구조 최적화 (Optimization of Channel Structure for Fish Habitat Suitability Enhancement)

  • 최흥식;김상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3호
    • /
    • pp.267-276
    • /
    • 2013
  • 본 연구는 어류서식 적합도 향상을 위한 하천구조 개선 방안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상하천의 유역 및 수중환경조사와 어류의 군집특성 결과를 이용하여 건전한 수중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복원 목표어종으로 참갈겨니를 선택하였다. PHABSIM을 이용한 검증결과 유속과 수심에 대한 적합지수 향상을 위한 저수로 폭의 변화는 대상어종의 서식적합도 향상을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서식적합지수 향상을 위한 저수로 폭의 변화는 일관성 있는 서식적합도의 향상을 나타내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Genetic Algorithm을 이용하여 대상하천의 서식적합도 개선을 위한 주어진 유지유량에 따른 하천 구간별 유속, 수심을 고려한 저수로 폭의 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저수로 단면 구조개선의 방안 제시는 수계환경개선을 위한 각종 사업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에 따른 조류 생장 및 제어방안 연구 (Study on the growth and control of algae using effluent of sewage treatment facility)

  • 박수영;김진한;박정환;안경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67-7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하천 유지용수로 활용하고 있는 인공하천내 부착조류의 발생억제 또는 증식 조류의 제거를 위한 처리방법을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60ppm의 염소처리로 90% 정도의 chlorophyll-a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LC50은 0.8ppm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조류생성방지제를 이용한 조류생성억제 실험결과 20일 경과 후에도 조류가 생성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염소제는 수생태계에 대한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는 이미 대량 증식된 조류의 사멸효과는 거의 없었으며, 조류생성방지제의 경우 조류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은 확인 할 수 있었으나 현장에서 직접 적용하는 방안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생태하천 복원 방안 (Suggestions for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 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1호
    • /
    • pp.59-68
    • /
    • 2007
  • Urban streams have been severely degraded with wastewater and concrete structure over a prolonged period. The Ch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recovered a stream in the downtown Seoul with landscaping, plantings and bridges after the cover concrete and elevated asphalt road were removed. The project has been criticized partly because it is not an ecological restoration but rather the development of an urban park with an unnaturally straight flowing stream, artificial building structures, and artificial water pumping from the Han River. Nevertheless, the public have praised the project and almost 100,000 visitors per day come to see the reeds, catfish, and ducks. The stream restoration project is attractive to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 decision makers because it increases the public concern of landscape amenity. Several projects such as Sanjichon and Kaeumjungchon are on going and proposed. These projects have a common and different respect in scope and procedure. The Chonggyecheon project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nd 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 (PERS) reviewed the environmental impacts before development. Kaeumjungchon in the PERS and Sanjichon without EIA and PERS are reviewed. EIA and PERS systems contribute to checking the ecological sustainability of the restoration projects. A stream restoration project is a very complex task, so an integrated approach from plan to project is needed for ecologically sound restoration.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requires 1) an assessment of the entire stream ecosystem 2) establishing an ecologically sound management system of the stream reflecting not only benefits for people but also flora and fauna; 3) developing the site-specific design criteria and construction techniques including habitat restoration, flood plains conservation, and fluvial management; 4) considering the stream watershed in land use plan, EIA, PERS, and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SEA). Additionally the process needs to develop the methodologies to enhance stakeholder's participation during planning, construction, and monitoring.

낙동강 하구 생태계의 종속영양세균의 군집구조 분석 및 수리학적 분류 (Characterization and Numerical Taxonomy of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y in Naktong Estuarine Ecosystem)

  • 귄오섭;조경제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44-449
    • /
    • 1992
  • 낙동강 하구생태계에 분포한 종속영양세균의 환경 변화에 따른 군집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총 858 균주를 분리하여 수리학적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종의 다양성(H') 은 1.54-3.49 로, 하구언 건설 전의 수치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균등성지수(evenness index)(J') 는 0.31-0.80 으로 감소하였다. Physiological tolerance index 중 수온에 대한 지수(P') 는 수심이 얕은 정점에서, pH 와 염분에 대한 $P_{h}$$P_{s}$ 는 담수와 해수가 교차하는 정점에서 높았다. 우점의 cluster 를 속 (genus) 수준에서 동정한 결과 Aeromonas, Vibrio, Pseudomonas, Acinetobacter-Morexella, Alcaligenes, Flavobacterium, Micrococcaceae, Enterobacteriaceae 등으로 분류되어 하구언 축조 전과 동일한 종류의 세균뷴포를 나타냈으나 그 출현비율은 달랐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하구언 축조 등에 따른 낙동강 하구역의 환경변화는 분포세균의 종류보다는 생리적 특셩에 영양을 미쳐 특정종의 우점을 나타나게 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량.수질 모의치를 이용한 어류 서식 조건 유지에 필요한 적정 유량 산정 (Estimation of Suitable Flow Needs for Maintaining Fish Habitat Conditions Using Water Quantity and Quality Simulation)

  • 김규호;조원철;전병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3-14
    • /
    • 2000
  • 본 연구는 최근 하천유지유량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하천생태계에서 어류 서식처를 보전하고 복원하는데 필요한 적정 유량을 산정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어류 서식처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연과 월갈수량을 산정한다. 이 갈수량을 이용하여 점변 흐름에서 어류 서식처 제공에 필요한 수심과 유속을 모의하고, 또한 수온과 용존산소를 예측한다. 예측된 각 갈수량별 서식 조건과 각 성장단계별 어류 서식처 요구 조건을 도식적으로 비교하다. 이 과정을 남한강의 달철 본류에 위치한 3개 여울 구간에 적용하였다. 달천의 대표어종으로 피라미를 산정하였다. 달천의 피라미(Zacco paltypus)성장단계별 서식처 유지를 위한 적정유량은 수질보다는 수리 조건에 좌우되며, 그 양은 10년 빈도 연갈수량에서 2.33년 빌도 7일 연속갈수량까지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