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G electrod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1초

ECG신호의 피치변동해석 및 Hilbert변환에 의한 후두기능의 평가 (Assessment of Laryngeal Function by Pitch Perturbation Analysis and Hilbert Transform of EGG Signal)

  • 송철규;이명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5-100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발성기관인 후두(glottis)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후두신호의 주파수 변동과 진폭변동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정상인의 EGG(electroglottograph)신호는 매개변수 방법을 이용하여 최적의 차수가 9차인 자귀회귀형 모델로 설명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전달함수를 결정함으로써 해석이 가능하다. EGG신호의 진푹과 주파수의 변동은 변복조방식의 4전극 EGG 시스템으로 얻어지며, 후두기능 상태식별을 목적으로 개발하였다. EGG를 이용하여 후두의 닫힘구간과 열림구간을 계산함으로써 비정상 EGG신호는 비주기적이며 불안정한 상태라는 것을 구별할 수 있었다. 정상과 비정상의 피검자들을 구분할 수 있는 파라미터인 주파수 변동은 정상인의 m$\pm$0.5*sd이고, 진폭변동은 m$\pm$2*sd가 각각 되었다. 또한 EGG신호를 Hillbert 변환함으로써 얻어진 궤적의 패턴을 이용하여 정상과 비정상의 후두기능상태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 PDF

Propofol이 개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pofol on Electroencephalogram in Dogs)

  • 장환수;장광호;채형규;권은주;김정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59-367
    • /
    • 200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pofol on cortical electroencephalogram (EEG) in seven dogs. Propofol infusion was accomplished from low concentration to high concentration in series, and each concentration was infused for 20 minutes (M0: 0, M0.5: 0.5, M1.0:1.0, and M1.5: 1.5 mg/kg/min of infusion rate). EEG was recorded via needle electrode placed at Cz, which was applied to International 10-20 system. Arterial blood pressure. blood gas analysis and ECG were also measured. Hoemodynamics, Pa$CO_2$, PaO$_2$, heart rate and respiratory rate were variable, but were net significant(p>0.05). The power spectra of EEG in every concentration was compared wish those of control (MO). The powers at a1l frequencies at M1.0 and Ml.5 were decreased. Especially, the powers of the frequencies over 20 Hz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O5). Powers at frequencies between 8 and 15Hz at MO.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response to the painful stimuli. It was inferred that they may reflect activity of the brain which is consciously processing the external Stimuli. Like the Power spectra, al1 the band powers of He EEG ($\delta$ 1-4, $\theta$4-8, $\alpha$ 8-13, $\beta$L13-21. $\beta$H 21-30, \ulcorner 30-50, and total 1-5OHz) were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infusion rate at M1 .0 and M1.5. Especially, decrease of $\beta$H and ${\gamma}$ were significant(p<0.01). At M0.5, $\alpha$ band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5) among all the bands. Seizure activities which were concide with occurrence of spike wave were shown in all dogs at Ml .0 and M1.5.

  • PDF

정상 성인의 직교유도체제와 피라미드유도체제에 의한 신호 가산 평균심전도의 비교 (Comparision of Signal-Averaged Electrocardiography (SAECG) Determined by Flank Lead System (FLS) and Pyramidal Lead System (PLS) in Healthy Young Adults)

  • 장병익;강승호;김형일;신동구;김영조;심봉섭;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79-189
    • /
    • 1993
  • 고전적인 직교 유도체제를 이용하여 고해상신호가산 심전도의 95% 신뢰구간을 구하고 His 분절 활성을 잘 기록할 수 있는 피라미드 유도체제와 비교함으로써 피라미드 유도체제가 미연전이를 발견할 수 있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 영남대학 의과대학에 재학중인 젊은 정상 지원자 31명을 대상으로 고해상 신호가산 평균심전도를 측정하였다. 젊은 성인에 있어 직교 유도체제를 이용한 고해상 신호가산 심정도의 여과된 총 QRS 지속시간과 고빈도 저전위 신호 지속시간은 각각 25-250 Hz 주파수 여파에서는 129.6과 22.5 msec, 40-250 Hz 주파수 여과에서는 114.4와 31.9 msec, 80-250 Hz 주파수 여과에서는 110.4와 38.4 msec 이상을 비정상 범위로 잡을수 있고, QRS 말기 40 msec의 평균전위와 RMS 전위는 각각 25-250 Hz 주파수 여과에서는 49와 68.6 uV, 40-250 Hz 주파수 여과에서는 27.9와 58.8 uV. 80-250 Hz 주파수 여과에서는 10.6와 16.3 uV 이하를 비정상 범위로 잡을 수 있었다. 피라미드 유도체제도 미연전위를 기록하는데 유용하리라 사료되지만 40-250 Hz 주파수 여과에서 고빈도 저전위 신호 지속시간과 RMS 전위는 직교 유도체제와 달라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전기자재에 대한 역돔의 심전도 (Response of Electrocardiogram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to Electric Stimulus)

  • 한규환;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4호
    • /
    • pp.278-283
    • /
    • 2002
  • 전기자극에 대한 역돔, Oreochromis niloticus[Linnaeus]의 심전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어체내에 전극을 삽입하여 3 가지 전기자극원(20, 30, 40 Vp ; 10 msec)으로 실험어에 자극을 가하였을 때의 심전도를 서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60분간 조사한 심박수와 생체전위를 자극 전(마취상태, 안정상태)과 자극 후(자극-회복상태, 회복상태)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역돔은 마취 후 3 분 뒤에 안정상태에 도달하였고, 안정상태에서의 평균상심박수는 서간에 45.8 beat/min, 야간에 45.0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서간에 1.76 $\mu\textrm{V}$, 야간에 1.75 $\mu\textrm{V}$였다. 2. 자극별 평균심박수는 \circled1 자극-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34.9 beat/min, 야간에 33.4 beat/min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36.8 beat/min, 야간에 36.0 beat/min였으며, 40Vp인 경우 서간에 38.0 beat/min, 야간에 36.4 beat/min로 나타났다. \circled2 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45.5 beat/min, 야간에 45.1 beat/min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47.9 beat/min, 야간에 49.0 beat/min 였으며, 40 Vp인 경우, 서간에 51.4 beat/min, 야간에 50.7 beat/min로 나타났다. 3. 자극별 평균생체전위는 \circled1 자극-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Vp인 경우, 서간에 2.54$\mu\textrm{V}$ 야간에 2.39$\mu\textrm{V}$였고,30Vp인 경우, 서간에 3.30$\mu\textrm{V}$, 야간에 2.30 $\mu\textrm{V}$였으며, 40Vp 인 경우 서간에 6.05 $\mu\textrm{V}$, 야간에 3.23 $\mu\textrm{V}$로 나타났다. \circled2 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1.92 $\mu\textrm{V}$, 야간에 1.95 $\mu\textrm{V}$ 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2.78 $\mu\textrm{V}$, 야간에 2.21 $\mu\textrm{V}$ 였으며, 40 Vp인 경우 서간에 3.60$\mu\textrm{V}$ 야간에 2.98$\mu\textrm{V}$로 나타났다.

광자극에 대한 역돔의 심전도 (Response of Electrocardiogram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to Light Stimuli)

  • 김영기;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3호
    • /
    • pp.217-225
    • /
    • 2002
  • 광자극에 대한 역돔, Oreochromis niloticus[Linnaeus]의 심전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16~18$^{\circ}C$ 수온에서 어체내에 전극을 삽입하여 3가지 광자극 (10, 100, 400 lu$\chi$)에 대한 심전도를 서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60분간 연속적으로 조사한 심전도를 상태별로 분석한 심박수와 생체전위는 다음과 같다. 1. 역돔은 마취 후 3분 뒤에 안정상태에 도달하였고, 안정상태에서 평균심박수는 서간에 47.6 beat/min, 야간에 45.1 beat/min였고, 평균생체 전위는 서간에 1.04 $\mu\textrm{V}$, 야간에 1.24 $\mu\textrm{V}$로 나타났다. 2 자극별 평균심박수는 \circled1 자극상태에서, 10 lu$\chi$인 경우 서간에 39.7 beat/min, 야간에 38.2 beat/min였고, 100 lu$\chi$인 경우 서간에 38.7 beat/min, 야간에 36.9 beat/min였으며, 400 lu$\chi$인 경우 서간에 36.8 beat/min, 야간에 35.8 beat/min로 나타났고, \circled2 회복상태에서, 10 lu$\chi$인 경우 서간에 47.1 beat/min, 야간에 46.0 beat/min였고, 100 lu$\chi$인 경우 서간에 47.2 beat/min, 야간에 45.6 beat/min였으며, 400 lu$\chi$인 경우 서간에 48.1 beat/min, 야간에 46.6 beat/min로 나타났다. 3. 자극별 평균생체전위는 \circled1 자극상태에서, 10 lu$\chi$인 경우 서간에 1.22 $\mu\textrm{V}$, 야간에 0.71$\mu\textrm{V}$였고, 100 lu$\chi$인 경우 서간에 0.63 $\mu\textrm{V}$, 야간에 0.90 $\mu\textrm{V}$였으며, 400 lu$\chi$ 인 경우 서간에 1.39 $\mu\textrm{V}$, 야간에 1.63 $\mu\textrm{V}$로 나타났고, \circled2 회복상태에서, 10 lu$\chi$인 경우 서간에 1.26 $\mu\textrm{V}$, 야간에 1.59 $\mu\textrm{V}$였고, 100 lu$\chi$인 경우 서간에 2.63 $\mu\textrm{V}$ 야간에 3.65 $\mu\textrm{V}$였으며, 400 lu$\chi$인 경우 서간에 2.52 $\mu\textrm{V}$, 야간에 3.67 $\mu\textrm{V}$로 나타났다.

광 자극에 대한 향어의 심전도 (Response of Electrocardiogram of Mirror Carp, Cyprinus carpio to Light Stimuli)

  • 양용림;김영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2호
    • /
    • pp.124-132
    • /
    • 2001
  • 광 자극에 대한 향어, Cyprinus carpio [Linnaeus]의 심전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어체내에 전극을 삽입하여 3가지 광 자극 (10,100,400 lux)에 대하여 심전도를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60분간 연속적으로 조사한 심전도를 현황별로 분석한 심전수와 생체전위는 다음과 같다. 1. 향어는 마취후 5분 뒤에 안정상태에 도달하였고, 안정상태에서 평균심전수는 주간에 64.9 beat/min, 야간에 65.3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주간에 36.9 nV, 야간에 32.9nV로 나타났다. 2. 자극별 평균 심박수는 1) 자극상태에서, 10 lux인 경우 주간에 68.7 beat/min, 야간에 46.0 beat/min였고, 100 lux인 경우 주간에 53.4 beat/min, 야간에 44.1 beat/min였으며, 400 lux인 경우 주간에 53.2 beat/min, 야간에 40.1 beat/min로 나타났고, 2) 회복상태에서, 10 lux인 경우 주간에 67.9 beat/min, 야간에 57.2 beat/min였고, 100 lux인 경우 주간에 68.8 beat/min, 야간에 61.0 beat/min였으며, 400 lux인 경우 주간에 69.6 beat/min, 야간에 63.6 beat/min로 나타났다. 3. 자극별 평균생체전위는 1) 자극상태에서, 10lux인 경우 주간에 59.1 nV, 야간에 24.0 nV였고, 100 lux인 경우 주간에 26.8 nV, 야간에 45.6 nV였으며, 400 lux인 경우 주간에 71.7 nV, 야간에 14.4 nV로 나타났고, 2) 회복상태에서, 10 lux인 경우 주간에 38.8 nV, 야간에 27.3 nV였고, 100 lux인 경우 주간에 29.0 nV, 야간에 39.3 nV였으며, 400 lux인 경우 주간에 66.1 nV, 야간에 21.4 nV로 나타났다.

  • PDF

체장에 따른 향어, Cyprinus carpio의 심전도 (Response of Electrocardiogram to Mirror carp, Cyprinus carpio of Body Length)

  • 김영기;양용림;안영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4호
    • /
    • pp.284-288
    • /
    • 2002
  • 향어, Cyprinus carpio [Linnaeus]의 체장에 따른 심전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어체내에 전극을 삽입하여 3가지 체장 범위 (10~15, 15~20, 20~25cm)에서의 심전도를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16~18$^{\circ}C$ 수온에서 30분간 조사한 심박수와 생체전위를 마취상태와 안정상태로 구분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장이 10~15 cm인 경우, 마비상태 (0~9분)에서의 평균심박수는 주간에 43.4 beat/min, 야간에 45.9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주간에 4.38 $\mu\textrm{V}$, 야간에 3.64 $\mu\textrm{V}$로 나타났으며, 안정상태 (9~30분)에서의 평균심박수는 주간에 69.4 beat/min, 야간에 67.4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주간에 3.82 $\mu\textrm{V}$, 야간에 3.50 $\mu\textrm{V}$로 나타났다. 2 체장이 15~20cm인 경우, 마비상태 (0~5분)에서의 평균심박수는 주간에 42.2 beat/min, 야간에 45.4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주간에 4.13 $\mu\textrm{V}$, 야간에 3.95 $\mu\textrm{V}$로 나타났으며, 안정상태(5~30분)에서의 평균심박수는 주간에 67.6 beat/min, 야간에 65.3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주간에 4.58 $\mu\textrm{V}$, 야간에 4.61 $\mu\textrm{V}$로 나타났다. 3. 체장이 20~25 cm인 경우, 마비상태(0~4분)에서의 평균심박수는 주간에 47.5 beat/min, 야간에 47.5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주간에 4.81 $\mu\textrm{V}$, 야간에 4.20 $\mu\textrm{V}$로 나타났으며, 안정상태(4~30분)에서의 평균심박수는 주간에 67.5 beat/min, 야간에 64.8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주간에 5.31 $\mu\textrm{V}$, 야간에 4.90 $\mu\textrm{V}$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