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 erythropteru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7초

아산호와 충주호의 삼각망에서 채집된 어류 종 조성 및 강준치 (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개체군의 전장-체중 관계 분석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Fyke Net and Length-Weigth Relationships of Skygager (Erythroculter erythropterus) in Asan Lake and Chungju Lake)

  • 허민아;안희춘;박민수;양영준;이완옥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7-296
    • /
    • 2021
  • 아산호와 충주호에서 2021년 6~9월 사이에 삼각망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 조성과 강준치(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개체군의 전장 - 체중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아산호에서는 6과 13종 4,977개체, 충주호에서는 8과 18종 2,436개체가 채집되었다. 아산호의 우점종은 생체량 및 개체수에서 모두 강준치로 각각 498,424 g (84.5%), 4,470 (89.8%)이었으며, 충주호의 우점종 또한 강준치로, 생체량 301,818 g (77.5%), 개체수 1,327 (54.5%)이었다. 우점종인 강준치의 전장분포도 분석을 통해 연령구조를 추정하였으며, 아산호에서는 만 1~2년생의 출현비율이 높아 개체군의 성장 가능성이 크고, 충주호에서는 만 2년생 이상의 고 연령군의 출현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비교적 개체군의 성장이 억제될 것으로 사료된다. 강준치 개체군의 전장-체중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아산호와 충주호에서의 b 값은 각각 3.06, 3.04, 비만도(K) 기울기 값은 각각 0.000128, 0.000051로 모두 양의 생육상태를 보였다. 조사시기별 비만도 기울기 값은, 6월이 가장 높았고 산란으로 인해 7월에는 낮아졌으며 9월까지도 영양 상태를 회복되지 못하고 음의 기울기가 나타났다.

청평호의 어류군집 (The Ichthyofauna in Lake Cheongpyeong Korea)

  • 김치홍;이완옥;이종관;홍관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3-130
    • /
    • 2005
  • 2003년 4월에서 2004년 11월까지 청평호에서 시기별로 9회에 걸쳐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채집된 어류는 모두 9과 31종으로 분류되었다. Cyprinidae 어류가 21종 (67.7%)으로 상대 비율이 높았고 H. labeo (29.9%)가 조사수역 내의 우점종이었으며, A. gracilis (22.8%)가 아우점종, 다음으로는 E. erythropterus (14.6%), C. auratus (6.3%) 순으로 우세하였다. 한반도 고유종의 구성비는 29.0%로 A. yamatsutae 등 3과 9종이 서식하였다. 외래도입 육식어종인 M. salmoides는 총 개체수의 1.7%가 출현하여 장차 개체군의 증감 여부가 주목된다. H. labeo 와 E. erythropterus는 청평호에서 생체량이 가장 많은 어종으로 1년생 보다는 2~4년생이 주로 서식하였으며 개체군의 변동추세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한국산 강준치아과(Cultrinae) 2종의 핵형분석 (Karyotypes of Two Species of Cultrinae (Cyprinidae) from Korea)

  • 송호복;박갑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3-256
    • /
    • 2007
  • 한국산 강준치아과 (Cultrinae)의 백조어와 강준치 2종의 염색체 수 및 핵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백조어와 강준치의 염색체 수 및 핵형은 2n=48 (7M+10SM+7ST), FN=96 그리고 2n=48 (6M+10SM+8ST), FN=96으로 밝혀졌다. 염색체의 크기는 백조어에서 가장 큰 염색체 쌍과 가장 작은 염색체 쌍은 각각 $5.4{\mu}m$$2.2{\mu}m$였으며, 강준치의 경우 $6.1{\mu}m$$2.3{\mu}m$를 보였다.

팔당호의 어류군집 동태 (Study on the Dynamics of Fish Community in the Lake Paldang)

  • 손영목;송호복;변화근;최재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1-152
    • /
    • 1997
  • 1995년 9월부터 1996년 8월까지 팔당호의 어류군집 동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집된 어류는 총 11과 42종, 9,101개체였으며 우점종은 Erythroculter erythropterus(상대풍부도 : 27.96%), 아우점종은 Lepomis macrochirus(20.69%)였고 우세종은 Squalidus japonicus coreunus(19.25%), Opsariichthys bidens(4.07%), Hemibarbus labeo(3.42%), Acheilognathus yamatsutae(2.68%), Micropterus salmoides(2.68%) 등이었다. 계절별 우점종은 춘계에는 L. macrochirus(23.75%)였고 하계에는 S. japonicus coreanus(33.88%), 추계에는 L. macrochirus(41.59%)였으며 E. erythropterus가 전 계절에 걸쳐 아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댐 축조 후 팔당호의 어류상은 정수성으로 변화하였으며, 한국 고유종은 10종으로 전체 채집 어종의 23.8%를 차지하였다. 외래 도입 어종은 4종이었으며 개체수에 대한 상대풍부도는 24.75%에 달하였다. 각 지점별 군집분석 결과 족대와 투망 채집에서 우점도는 지점 2가 0.78로 가장 높았으며 종다양도는 지점 5가 2.52, 종풍부도는 지점 4가 3.66, 균등도는 지점 5가 0.9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치망 채집에서 우점도는 지점 8이 0.87, 종다양도는 지점 14가 1.91, 종풍부도는 지점 7이 2.80, 균등도는 지점 14가 0.7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세종의 개체군 연령 구조 분석 결과 E. erythropterus의 연령 구조는 매우 안정되어 있었으며 L. macrochirus는 3~4년생의 개체군이 주로 채집되었다.

  • PDF

Mass Death of Predatory Carp, Chanodichthys erythropterus, Induced by Plerocercoid Larvae of Ligula intestinalis (Cestoda: Diphyllobothriidae)

  • Sohn, Woon-Mok;Na, Byoung-Kuk;Jung, Soo Gun;Kim, Koo Hwa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3호
    • /
    • pp.363-368
    • /
    • 2016
  • We describe here the mass death of predatory carp, Chanodichthys erythropterus, in Korea induced by plerocercoid larvae of Ligula intestinalis as a result of host manipulation. The carcasses of fish with ligulid larvae were first found in the river-edge areas of Chilgok-bo in Nakdong-gang (River), Korea at early February 2016. This ecological phenomena also occurred in the adjacent areas of 3 dams of Nakdong-gang, i.e., Gangjeong-bo, Dalseong-bo, and Hapcheon-Changnyeong-bo. Total 1,173 fish carcasses were collected from the 4 regions. To examine the cause of death, we captured 10 wondering carp in the river-edge areas of Hapcheon-Changnyeong-bo with a landing net. They were 24.0-28.5 cm in length and 147-257 g in weight, and had 2-11 plerocercoid larvae in the abdominal cavity. Their digestive organs were slender and empty, and reproductive organs were not observed at all. The plerocercoid larvae occupied almost all spaces of the abdominal cavity under the air bladders. The proportion of larvae per fish was 14.6-32.1% of body weight. The larvae were ivory-white, 21.5-63.0 cm long, and 6.0-13.8 g in weight. We suggest that the preference for the river-edge in infected fish during winter is a modified behavioral response by host manipulation of the tapeworm larvae. The life cycle of this tapeworm seems to be successfully continued as the infected fish can be easily eaten by avian definitive hosts.

충주호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Lake Chungju, Korea)

  • 김치홍;이완옥;홍관의;전형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4-270
    • /
    • 2005
  • 2004년 4월부터 10월까지 충주호 내의 3개 지점에서 어류상을 조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모두 12과 32종이었고, 우점종은 H. labeo로 전체 개체수 비는 23.2%였으며 아우점종은 E. erythropterus (12.1%), 다음으로는 S. scherzeri (9.2%), P. esocinus (8.6%) 순으로 우세하였다. 한반도 고유종은 A. yamatsutae 등 6과 9종이었고 전체 종 수에 대한 구성비는 28.1%였다. 단양수역은 10과 28종이 출현하였고, 제천수역은 6과 17종이었으며 두 지역의 우점종은 H. labeo이었다. 충주수역은 6과 15종이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은 E. erythropterus이었다. 우점도는 충주수역이 0.670으로 가장 높았고, 종 다양도는 단양수역이 2.442로 가장 높았다. 생체량은 5월에 가장 많았고, 단양수역이 다른 수역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H. labeo를 비롯한 생체량이 많은 종들의 개체군 변동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팔당호의 어류상과 군집동태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Lake Paldang and its Inflows)

  • 변명섭;박혜경;이완옥;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6-213
    • /
    • 2008
  •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at 2003, 2004 and 2006 in Lake Paldang and its inflows. In this survey, we collected 54 species belong to 14 families. Family Cyprinidae take 51.9% (28 species), Cobitidae and Gobiidae occupied 7.4% (each 4 species), respectively. E. erythropterus (11.8%) was dominant species and L. macrochirus (10.2%), designated as an ecosystem-invasive alien fish species by Ministry of Environment, M. yaluensis (9.1%), Z. platypus (7.7%) and R. brunneus (6.7%) were dominated in turn. H. molitrix, C. lutheri, P. altivelis, S. microdorsalis, L. costata. S. gracilis majimae, A. rivularis, P. koreanus. S. scherzeri and O. platycephala were rare species (less than 0.1% in relative abundance). In-lake area, 36 species of fishes belonging to 11 families were collected, and 48 species of 13 families were from inflows. The number of Korean endemic species were 19 species (35.2%), and 4 kinds of exotic species (7.4%), that is, C. cuvieri, H. molitrix, L. macrochirus and M. salmoides were found at this survey area. It was revealed by the analysis of fish community that diversity and richness indices were prominent at tributaries, and dominance index was high at the main body of Lake Paldang. Fish fauna showed rapid decline after dam construction which make the mid-Han river systems to lentic ecosystem, so many of meander-riffle fishes were disappeared dramatically. But after 1990s when installation of small scale wastewater treatment plants started in watershed, the water quality of small tributaries was improved. And also, expansion of the natural macrophytic vegetation of littoral zone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verse fish fauna in Lake Paldang.

청평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Fish Fauna and Community in Cheongpyeong Reservoir)

  • 최재석
    • 생태와환경
    • /
    • 제38권1호통권110호
    • /
    • pp.63-72
    • /
    • 2005
  • 2003년 8월부터 2004년 4월까지 청평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류는 총10과 43종 4,591개체이었다. 한국 고유종은 18종 (41.86%) 이었다. 우점종은 가시납지리 (A. gracilis)로 17.43%고, 피라미 (Z. platypus) 14.59% , 줄납자루 (A. yamatsutae) 13.16%, 누치 (H. labeo) 11.85%, 밀어 (R. brunneus) 11.68%, 갈겨니 (Z. temmicki) 3.0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채집된 어종들의 생체량을 살펴보면 총 71,979.8 g이 채집되었고 강준치 (E. erythropterus) 15,071.9 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누치 (H. labeo) 13,205.3 g, 떡붕어 (C. cuvierj) 6,469.7 g, 가시납지리 (A. gracilis) 6,051.2 g, 피라미 (Z, platypus) 4,705.8 g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청평호에서 확인된 도입종은 뱀장어 (A. japonica), 꾹저구 (C. urotaenius), 민물검정망둑 (T. brevispinis), 떡붕어 (C. cuvieri), 파랑볼우럭 (L. macrochirus), 큰입우럭 (M, salmoides) 등 6종이었다. 이 중 떡붕어 (C. cuvieri,), 파랑볼우럭 (L. macrochirus), 큰입우럭 (M. salmoides)은 국외종이며 뱀장어 (A. japonica), 꾹저구 (C. urotaenius), 민물검정망둑 (T. brevispinis)는 국내 다른 수계로부터 도입된 종이다.

낙동강 중.하류 구간에서 수중 음향측정방식을 이용한 강준치의 이동성 평가 (Evaluation of Movement Pattern of Erythroculter erythropterus Inhabit in the Mid-lower Part of Nakdong River Using Acoustic Telemetry)

  • 윤주덕;김정희;인동수;유재정;허문석;장광현;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45권4호
    • /
    • pp.403-411
    • /
    • 2012
  • 수중음향측정 방식은 어류이동에 대한 연속적인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대형하천이나 하구에서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에 용이하게 활용된다. 낙동강은 남한에서 가장 긴 하천으로 연속적인 보의 설치로 인하여 하천의 변형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서식하는 잉어과 어류인 강준치를 대상으로 하여 수중음향측정방식을 적용, 서식처범위(home range)와 이동거리, 이동패턴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행하였다. 연구는 낙동강 하구둑부터 창녕함안보까지의 약 80 km 구간을 대상으로 총 14개체의 강준치를 3지점에 방류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하구둑(N02)에서 방류한 8개체들은 방류지점으로부터 15.9 km 상류지점까지를 서식처 범위로 하여 이동하였고, 삼랑진(N07)에서 방류한 4개체들은 신호가 사라진 E12개체를 제외하고 하류로 이동하였으며, 9.7 km 구간을 서식처 범위로 활용하였다. 2개체가 방류된 창녕함안보(N10)에는 모두가 하류로 이동 하였으며, 이 중 E14개체는 32일 동안 가장 긴 누적감지거리(36.7 km)를 이동하였다. 강준치의 체장과 누적감지거리, 서식처 범위와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Spearman rank correlation, p>0.05). 비록 본 연구 방식이 담수어류의 이동에 유용하지만 좀 더 자세한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신기의 수와 적용하는 발신기의 수를 증가시킬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