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electin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초

Anti-angiogenic, Anti-cell Adhesion Switch from Halophilic Enterobacteria

  • Lim, Jong Kwon;Seo, Hyo Jin;Kim, Eun Ok;Meydani, Mohsen;Kim, Jong Deog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56-162
    • /
    • 2006
  • The halophilic enterobacteria, Enterobacteria cancerogenus, was isolated from the intestines of the fusiform fish (Trachurus japonicus) to yield a protein-like material termed PLM-f74. PLM-f74 was characterized by strong inhibition ratios to angiogenesis (82.8% at the concentration of $18.5{\mu}g/mL$) and elevated antioxidative capacities with low toxicity. The PLM-f74 is a glycoprotein comprised of saccharides and amino acids. PLM-f74 inhibited non-activated U937 monocytic cell adhesion to HUVECs activated with IL-$1{\beta}$ by 78.0%, and the adherence of U937 cells treated with the PLM-f74 and stimulated with IL-$1{\beta}$ to unstimulated HUVECs decreased by 102%. When both cell types were pretreated with PLM-f74, the adhesion of U937 cells to IL-$1{\beta}$ stimulated HUVECs was completely suppressed by 121% at a concentration of 18.5 ug/mL. PLM-f74 blocked signal pathways from VEGFR2, PI3K, ${\beta}$-catenin and VE-cadherin to NF-kB based on western bolt analysis. And also inhibited IL-1-stimulated HUVEC expression of the adhesion molecules, ICAM-1 by 40%, VCAM-1 by 60%, and E-selectin by 70% at the same concentration noted above. New anti-angiogenic and anti-cell adhesion materials showing elevated antioxidative capacities and non-toxicity may be expected from these results.

  • PDF

Identification of Anti-Angiogenic and Anti-Cell Adhesion Materials from Halophilic Enterobacteria of the Trachurus japonicus

  • Lim, Jong-Kwon;Seo, Hyo-Jin;Kim, Eun-Ok;Meydani, Mohsen;Kim, Jong-Deo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0호
    • /
    • pp.1544-1553
    • /
    • 2006
  • The halophilic enterobacteria, Enterobacteria cancerogenus, was isolated from the intestines of the fusiform fish (Trachurus japonicus) to yield a protein-like material termed PLM-f74. PLM-f74 was characterized by strong inhibition ratios to angiogenesis (82.8% at the concentration of $18.5{\mu}g/ml$) and elevated antioxidative capacities with low toxicity. The PLM-f74 is a glycoprotein comprised of saccharides and amino acids. PLM-f74 inhibited cell adhesion that non-activated U937 monocytic cell adhesion to HUVECs activated with $IL-1{\beta}$ by 78.0%, and the adherence of U937 cells treated with the PLM-f74 and stimulated with $IL-1{\beta}$ to unstimulated HUVECs decreased by 102%. When both cell types were pretreated with PLM-f74, the adhesion of U937 cells to $IL-1{\beta}$-stimulated HUVECs was completely suppressed by 121% at a concentration of $18.5{\mu}g/ml$. PLM-f74 blocked signal pathways from VEGFR2, PI3K, ${\beta}$-catenin, and VE-cadherin to NF-kB, based on western bolt analysis. It also inhibited IL-l-stimulated HUVEC expression of the adhesion molecules, ICAM-l by 40%, VCAM-l by 60%, and E-selectin by 70% at the same concentration noted above. New anti-angiogenic and anti-cell adhesion materials showing elevated antioxidative capacities, and non-toxicity may be expected from these results.

제대혈 CD34+ 세포에서 유래된 지지세포의 분석 (Analysis of Stromal Cells Developed from Cord Blood CD34+ Cells)

  • 유경하;박세진;김경효;서주영;;신희영;안효섭
    • IMMUNE NETWORK
    • /
    • 제1권1호
    • /
    • pp.87-94
    • /
    • 2001
  • 목적 : 제대혈의 조혈모세포 체외확장 시 조혈세포 증폭과 더불어 조혈미세환경의 변화가 일어난다. 이때 제대혈 $CD34^+$ 세포에서 유래되는 지지세포의 계열 분석조혈성장인자 분비능력을 알아보고 지지세포 증식 조건을 확립하여 효과적인 제대혈의 체외증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제대혈부터 $CD34^+$ 세포를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무혈청배지에서 각종 조혈성장인자를 다양한 조합으로 첨가하여 배양하였고 증식정도는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배양용기를 점유한 면적 비율로 계산하였다. 세포외간질 단백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collagen S, fibronectin, laminin 및 poly-L-ly sine를 미리 coating한 용기에 배양하여 분석하였다. 제대혈 $CD34^+$ 세포를 조혈성장인자의 첨가 없이 3주간 액체배양하였다. 배양 시, 1주, 2주 및 3주에 상층액을 얻어 $-80^{\circ}C$에 보관하였다가 한꺼번에 IL-3, IL-6, GM-CSF, IL-$1{\beta}$ 및 TNF-$\alpha$등을 ELISA 방법으로 내부적으로 분비되는 량을 측정하였다. 분화된 지지세포의 계열을 분석하기 위해 E-selectin, VCAM-1, ICAM-1, PECAM-1, vWF, vimentin 및 CD 14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화학염색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 제대혈 $CD34^+$ 세포 체외증폭시키는 과정에서 배양 4일에 지지세포가 출현하기 시작하여 7-10일이 지나면서 증식하기 시작하였고 14-2 1일 경에 서로 뭉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제대혈 $CD34^+$ 세포 배양하면서 내부적으로 분비되는 GM-CSF, IL-6의 측정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되었다. 제대혈 $CD34^+$ 세포 체외확장 시 지지세포의 증식 정도는 TPO+FL+SCF+LIF의 조합의 조혈성장인자가 첨가되었을 때 그리고 세포외간질 단백 성분 중 1% poly-L-lysine으로 처리한 경우 가장 효과적이었다. 결론 : 체외 증폭시 제대혈 $CD34^+$ 세포로부터 지지세포가 나타났으며 적절한 조혈성장인자의 첨가나 세포외간질 단백의 첨가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 PDF

종양괴사인자에 의하여 유도된 혈관내피세포의 Cell Adhesion Molecules 발현을 억제시키는 플라보노이드 선별 (Selection of Flavonoids Inhibiting Expression of Cell Adhesion Molecules Induced by Tumor Necrosis Factor- a in Human Vascular Endothelial Cells)

  • 최정숙;최연정;박성희;이용진;강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34-1141
    • /
    • 2002
  • 염증성 cytokines의 분비 또는 혈관손상으로 인한 백혈구의 adhesion과 transmigration을 통하여 죽상경화과정이 시발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죽상경화의 초기과정에서 플라보노이드가 억제작용을 발휘하는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인 구조가 서로 다른 플라보노이드를 사용하여 화학적인 구조와 항동맥경화작용과의 상관성을 착인하였다. TNF-$\alpha$는 혈관내피세포를 활성화시켜 THP-1 단핵구의 adhesion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여러형태의 플라보노이드를 전처리하고 TNF-$\alpha$를 가하여 혈관내피세포를 활성화 시 켰을 때, flavonols인 quercetin과 flavones의 luteolin과 apigenin은 THP-1 단핵구의 adhesion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catechins과 flavanones의 플라보노이드는 이러한 억제효과를 전혀 보여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adhesion 억제작용을 가지는 플라보노이드는 CAMs 단백질의 발현도 차단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Quercetin, luteolin과 apigenin은 TNF-$\alpha$에 의하여 증가된 VCAM-1, ICAM-1 및 E-selectin의 단백질 발현을 일률적으로 감소 또는 차단시켰다. 그 대신, 단핵구의 adhesion을 차단시키지 못한 (-)epigallo-catechin gallate와 (+)catechin은 TNF-$\alpha$에 의한 이러한 CAMs의 발현을 전혀 억제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quercetin, luteolin과 apigenin의 CAMs단백질 발현 억제작용은 유전자 전사단계에서 mRNA의 down-regulation으로 인하여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quercetin, luteolin, apigen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는 TNF-$\alpha$와 같은 염증성 cytokines에 의한 단핵구의 adhesion을 혈관내피세포의 CAMs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므로서 차단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기서 모든 플라보노이드가 이러한 활성을 다 지니고 있지 않아서 화학적인 구조와 초기 항동맥경화작용에는 서로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또한, 선별된 플라보노이드의 초기 항동맥경화작용은 활성산소를 소거하는 플라보노이드의 항산화능과는 무관한 것 같다고 할 수 있다.

마가목 수피에서 분리한 scopoletin의 EA.hy926 혈관내피세포에서 NF-κB 신호전달을 통한 TNF-α로 유도된 혈관염증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Scopoletin Isolated from Sorbus commixta on TNF-α-Induced Inflammation in Human Vascular Endothelial EA.hy926 Cells through NF-κB Signaling Pathway Suppression)

  • 강혜령;김효정;김보미;김선건;소재현;조수정;권현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3-351
    • /
    • 2020
  • 마가목은 한방에서 기침, 천식, 기관지 질환 등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가목(sorbus commixta) 수피의 chloroform 분획물로부터 3종의 triterpenoid 화합물과 1종의 coumarin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는 MS와 1D-, 2D-NMR분석에 의해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lupeol, β-sitosterol, ursolic acid와 scopoletin으로 구조동정되었다. 분리된 화합물 중 scopoletin은 마가목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이다. Scopoletin은 식물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물질로써 항염증 활성을 가진 기능성 화합물이다. 분리된 화합물들의 혈관 염증 억제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in vitro에서 LDL 산화 억제능을 평가한 결과, 분리된 화합물 중 scopoletin (IC50=10.2 μM)이 강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TNF-α로 활성화된 인체혈관내피세포(EA.hy926)를 이용한 실험에서 scopoletin은 세포부착인자인 ICAM-1, VCAM-1, E-selectin의 발현을 저해하였고, THP-1 단핵구와 EA.hy926 혈관내피세포 간의 부착력도 약화시켰다. 뿐만 아니라, scopoletin은 TNF-α로 유도된 NF-κB 전사인자의 핵내 이동 및 IκBα의 인산화도 저해하였다. 따라서 마가목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scopoletin은 NF-κB 신호전달의 억제를 통해 세포부착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단핵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부착을 억제시켜 혈관내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 scopoletin은 혈관염증 반응으로부터 유도되는 죽상동맥경화증 치료를 위한 후보소재로서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CD62L의 발현 및 싸이토카인의 변화 (Activity of Cytokines and Expression of CD62L in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 송광선;이원연;홍애라;김희선;용석중;신계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1호
    • /
    • pp.90-98
    • /
    • 1998
  • 연구배경: 외인성 천식은 TH2세포에 의한 매개체의 주요 원인중 하나임이 밝혀지고 있다. 연구자 등은 증상 악화로 내원한 기관지천식 환자와 만성기관지염 환자 사이에 T 림프구 아형의 변화와 싸어토카인 (cytokine)들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기관지 천식으로 치료중인 환자 중에서 천식 악화로 내원한 외인성 천식 15예와 만성기관지염 환자 12예, 그리고 정상인 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병력과 임상소견, 피부반응검사, 그리고 특이 IgE 측정을 시행하고 단일항체인 CD62L를 이용하여 flow cytometer로 림프구아형을 분석하고 ELISA kit(Quantikine IL-4, IFN-$\gamma$)를 이용하여 IL-4, IFN-$\gamma$을 측정하였다. 결 과: CD4+ T 림프구는 기관지천식환자에서 $40{\pm}7.2%$ 만성기관지염 환자 $43{\pm}19.8%$, 정상인에서 $41{\pm}14%$로 기관지 천식환자와 다른 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49, p=0.75). CD62L(L-selectin) 양성 T 림프구의 세포 백분율은 기관지천식환자(n=7) 에서 $24.8{\pm}23.6%$였고, 만성기관지염환자(n=5) $17.0{\pm}16.9%$, 정상인(n=5) $16.7{\pm}16.4%$으로 기관지천식환자와 다른 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32, p=0.22). 혈청 IL-4 의 활성도는 기관지천식환자에서 $3.6{\pm}0.9pg/ml$ 만성기관지염 환자 $2.0{\pm}1.2pg/ml$, 정상인에서 $0.7{\pm}1.1pg/ml$로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만성기관지염 환자군에 비하여 증가되어 있었으며 (p=0.02) 정상인보다 증가되어 있었다(p=0.006)(Fig. 4). 혈청 INF-$\gamma$의 활성도는 증가되지 않았다. 결 론: 결론적으로 CD62L 양성 T 림프구의 세포 백분율은 기관지천식환자에서 증가되어 있지 않았으며 혈청 IL-4의 활성도는 기관지천식환자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 PDF

고과당식이 투여 랫드모델에서 홍삼과 상엽 복합투여에 대한 혈관염증 및 지방간염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Combination with Korean Red Gnseng and Morus Alba in High Fructose-induced Vascular Inflammation and Steatohepatitis)

  • 이윤정;윤정주;이소민;고민철;김혜윰;안유미;고정현;이기병;이호섭;최경민;권태오;강대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24-731
    • /
    • 201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lucidate whether combination with Korean red ginseng and Morus alba L. (MPM), traditional treatment for diabetes, ameliorates on high fructose-induced steatohepatitis and vascular inflammation. Anima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receiving tap water, fructose-fed, rosiglitazone-treated fructose-fed rats, and MPM-treated fructose-fed rats both receiving supplemented with 60% fructose (n=10). The MPM or rosiglitazone groups initially received a high-fructose diet alone for 8 weeks, with supplementation with MPM or rosiglitazone, 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agonist, occurring during the final 6 weeks. Treatment with MPM significantly prevented the increase in c-reactive protein (CRP) levels in the high fructose group. MPM suppressed high fructose diet-induced vascular inflammation marker expression such as 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CAM-1), and E-selectin. MPM also reduced intima/media thickness of thoracic aorta. Histologic observation and oil red O staining demonstrated hepatic tissue damage and lipid accumulation were severe in high fructose group. Treatment with MPM ameliorated hepatic tissue morphology with minimized steatosis. In addition, MPM attenuated hepatitis by inhibition of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expression. MPM-fed group showed lower serum GOT and GPT levels comparing with high fructose group. MPM and rosiglitazone (positive contro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ize of epididymal adipocytes. Taken together, the administration of MPM inhibited high fructose-induced steatohepatitis and vascular inflamm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PM is useful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orders such as fatty acid metabolism and vascular homeostasis.

Anti-atherosclerotic Effect of the Methanol Extract of Sorbus commixta Cortex in the High Cholesterol-Diet Rats

  • Kang, Dae-Gill;Sohn, Eun-Jin;Kim, Jin-Sook;Lee, Yun-Jung;Moon, Mi-Kyoung;Lee, An-Sook;An, Jun-Seok;Lee, Ho-Sub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337-1345
    • /
    • 2006
  • Hypercholesterolemia is a pivotal pathogenic factor for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atherosclerosi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whether the methanol extract of Sorbus commixta cortex (MSC) restores vascular dysfun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aortic expressions of proinflarnmatory and adhesion molecules in high cholesterol (HC) diet-rats. Chronic treatment with low (100 mg/kg/day) or high doses (200 mg/kg/day) of MSC lowered the increase in plasma levels of triglyceride (TG) and low-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induced by a cholesterol-enriched diet without affecting on the plasma level of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Vascular tone attenuated in the HC-diet rats was restored by administration with MSC. Treatment with MSC also suppressed the HC-induced increase in the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and nuclear factor-$_K$B (NF-$_K$B) p65 expressions as well as expressions levels of adhesion molecules including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CAM-1), and E-selectin in aorta. The present study also showed that MSC inhibited the HC-mediated induction of ET-1 and ACE expression.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ortic segments in the HC-diet rat revealed thickening intima and media, which were blocked by administration with MSC. Taken together, MSC could suppress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in the HC-diet rat model through the inhibition of the aortic expression levels of pro-inflammatory and adhesion molecules.

생리활성분획 추적방법을 통한 오미자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분석 (Activity-guided Screening of Anti-inflammatory Compounds from the Hexane Extracts of Schisandra chinensis Fruit)

  • 최희정;최영환;백선용;김봉선;안순철;이문수;윤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1-318
    • /
    • 2013
  • 예로부터 한방이나 민간요법에서 다양한 약리효능을 가진 약제로 알려져 있는 오미자 열매로부터 항염증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을 동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오미자의 hexane 추출물로부터 38개의 분획물을 분리한 다음 각 분획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오미자 분획물 중 생리활성이 높은 SCKH1을 선택하여 활성분획 추적방법을 통해 SCKH1PAIBPB을 분리하였다. SCKH1PAIBPB는 VCAM-1, MCP-1, IL-6 및 IL-8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혈관내피세포와 단핵구 사이의 부착능을 억제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오미자 분획물 및 SCKH1PAIBPB의 항염증효과 뿐만 아니라 혈관내피세포 증식 및 생존능 촉진작용을 응용하여, 다양한 허혈성질환 뿐만 아니라 염중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호중구를 매개하는 백서의 급성 폐손상의 병리가전에 있어 기도내로 투여한 히스타민의 역활에 관하여 (The study for the roles of intratracheally administered histamine in the neutrophil-mediated acute lung injury in rats:)

  • 고윤석;;;김미정;이인철;임채만;이상도;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3호
    • /
    • pp.308-322
    • /
    • 1996
  • 연구배경 : 히스타민은 폐혈관주위의 비만 세포내에 풍부하게 분포하니 아직까지 급성 폐손상의 병리기전에 있어 히스타민의 역할에 대해서는 규명되어 있지 않았다. 히스타민은 IL-1 이나 IL-8과 같은 cytokine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고 혈관내피 표면상에 P-selectin의 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건강한 백서의 기도내로 침윤이 증가되며 히스타민과 TNF를 병용 투여서는 TNF 단독 투여사보다 폐장내 호중구의 침윤이 증폭되고 폐손상의 정도가 증가 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방법 : 몸무게 270-370gm인 Sprague-Dawley 쥐를 사용하여 정상군은 생리식염수 0.5mL을, 치료군은 체증 1Kg 당 $1.1{\mu}g$, $11{\mu}g$$55{\mu}g$의 히스타민을 단독 혹은 TNF 500ng과 함께 병용하여 기도로 투여하거나 히스타민 $55{\mu}g$과 IL-1 50ng을 병용투여 한 뒤 5시간 뒤 에 폐조직 내 myeloperoxidase(MPO) 활성도와 폐포액내 호중구 수 및 쥐의 IL-8으로 고려되는 cytokine-induced neutrophil chemoattractant(CINC)의 활성도 그리고 폐혈관내 알부민의 폐조직내로의 누출을 측정하였다. 또한 TNF와 히스타민을 병용투여한 뒤 TNF와 히스타민 병용치료군에 항히스타민제를 경정맥내로 주입한 뒤 동일한 방법으로 각 지표들을 측정하여, 관찰된 상승효과가 차단되는지를 보았다. 곁과 1) TNF치료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폐장내 MPO 활성도, 기관폐포액내 홍중구수 및 폐혈관의 누출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각 p<0.001), 히스타면 투여군은 11 및 $55{\mu}g/kg$ 투여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MPO 활성도만이 높게 나타났다(p<0.05) 2) 폐장내 MPO 활성도는 기도내로 TNF와 병용투여한 히스타민 $1.1{\mu}g$군, $11{\mu}g$군 및 $55{\mu}g$ 군 모두에서 정상군에 비해 증가되어 나타났으며(각 p<0.001) 히스타민 $11{\mu}g/kg$ 병합투여군에서는 TNF 단독치료군에 비해서도 높게 나타났다(p=0.0251). 기관폐포액내 호중구의 수는 히스타민 1.1, 11 및 $55{\mu}g/kg$군 모두에서 정상군(p<0.05)에 비해 증가되어 나타났으며 $1.1{\mu}g/kg$군은 TNF 단독치료군에 비해서도 높았다(p=0.0367). 급성 폐혈관 히스타민 $1.1{\mu}g$군, $11{\mu}g$$55{\mu}g$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나(p<0.001), TNF 치료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3) TNF와 히 스타민 1.1, 11 및 $55{\mu}g/kg$이 병용투여된 군 모두에서 정상군에 비해 폐포 세척액내 CINC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각각 p-값<0.01 및< 0.05) 4) $H_1$ 수용체차단제인 mepyramine과 $H_2$ 수용체차단제인 ranitidine 세척액내 증폭되었던 호중구 수 및 CINC의 활성도를 감소시켰다(각각 p-값>0.05) 5) IL-1과 병용 투여한 히스타민은 정상군에 비해 MPO 활성도 및 급성 폐혈관 누출이 증가되었으나(p<0.05), IL-1 치료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연구의 결과로서 백서의 기도내로 국소적으로 히스타민을 투여시 5시간 이내에 폐조직내 호중구의 침윤이 증가되고 TNF로 유도된 폐조직내 MPO 활성도 및 기관폐포액 내 호중구 수의 증가가 증폭되나 폐혈관내 알부민의 폐장내 누출의 증폭작용이 없고 IL-1으로 유도된 폐손상에도 급성 폐손상의 증폭작용이 관찰되지 않으므로 TNF나 IL-1으로 유도되는 급성 폐손상에 히스타민 병용 투여에 의한 폐손상의 증폭작용은 없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