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 coli O157:H7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3초

화분발효물을 함유한 Gelidium corneum - 젤라틴 혼합필름의 항균활성과 돈육의 포장재 적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a Gelidium corneum - Gelatin Blend Film Containing Fermented Pollen Extract and Its Application in the Packaging of Pork Loins)

  • 홍윤희;임금옥;송경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1-395
    • /
    • 2009
  • 화분발효물(FPE)을 함유하는 Gelidium corneum - 젤라틴(GCG) 필름을 제조하여 돈육의 포장재로 사용하였다. FPE를 첨가한 GCG필름의 투습계수는 대조구 필름 보다 향상되었고 FPE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Escherichia coli O157:H7와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효과는 증가하였다. 특히, 0.15% FPE 첨가는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에 대해 대조구 대비 각각 2.98 and 3.68 Log CFU/g 감소시켰다. 또한 돈육 시료를 E. coli O157:H7 와 L. monocytogenes로 접종시킨 후 GCG 필름으로 포장한 후 저장 중 미생물 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0.15% 화분발효물이 첨가한 GCG 필름으로 포장 시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 숫자가 저장 4일 후 대조구 대비 각각 1.49, 1.01 Log CFU/g 더 감소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0.15% 화분발효물이 첨가한 GCG 필름으로 포장한 돈육의 유통기한이 증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병원성 대장균(炳原性 大腸菌) O157:H7에 대한 유산균발효유(乳酸菌醱酵乳)의 발육억제효과(發育抑制效果)에 관한 실험적 연구(實驗的 硏究) (An Observative Study on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Fermented Milk to the Pathogenic Escherichia coli 0157:H7 in Vitro)

  • 김지란;유제현;이낙형;이윤호;이원창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1-20
    • /
    • 1997
  • 병원성 대장균(炳原性 大腸菌) O157:H7에 대(對)한 유산균 발효유(乳酸菌 醱酵乳)의 발육억제효과(發育抑制效果)에 관한 실험(實驗)을 시도(試圖)하여, 標準 유산균(標準 乳酸菌)의 균주(菌株)로는 Lactobacillus bulgaricus, L. acidophilus 그리고 L. cormatus를 이용하여 BL broth에 각각(各各)의 유산균주(乳酸菌株)와 대장균(大腸菌) O157:H7의 수(數)(10$^5$/ml)를 동일(同一)하게 접종(接種)하고 시간별(時間別)로 관찰(觀察)한바 배양(培養)된지 대략(大略) 18시간 전후(時間 前後)하여 대장균(大腸菌)의 발육(發育)이 억제(抑制)되었고, 시판유산균 발효유(市販乳酸菌 醱酵乳) 3종(種)에 접종(接種)된 병원성 대장균(炳原性 大腸菌) O157:H7 (10$^8$/ml)은 접종(接種)된지 대략(大略) 140${\sim}$200분내(分內)에 발육(發育)이 억제(抑制)되었음이 관찰(觀察)되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미루어 보아 유산균 발효유(乳酸菌 醱酵乳)는 병원성 대장균(炳原性 大腸菌)O157:H7에 대(對)하여 생성(生成)된 산(酸)에 의(依)한 억제작용(抑制作用)과 일부 미지(一部 未知)의 항균물질(抗菌物質)에 依(依)한 부가작용(附加作用)이 있었을 것으로 믿어 계속적(繼續的)인 추구(追究)가 요망(要望)된다.

  • PDF

Escherichia coli O157 : H7, Staphyloccus aureus 및 Candida albicans에 대한 키토산의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Chitosans on Escherichia coli 0157 : H7, Staphyloccus aureus and Candida of albicans)

  • 오세욱;홍상필;김현정;최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18-224
    • /
    • 2000
  • 분자량이 상이한 세 종류의 키토산의 항균활성을 E. coli O157 : H7, S. aureus 및 C. albicans 균주를 이용하여 측정, 분석하였다. E. coli O157 : H7와 S. aureus에 대해서는 분자량 10,000인 키토산이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C. albicans에 대해서는 6량체의 키토산 올리고당이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키토산 첨가농도는 E. coil O157 : H7와 S. aureus의 경우 0.1 mg/mL의 농도에서, C. albicans의 경우는 chitohexaose 1 mg/mL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다. 모든 키토산 처리구에서 미생물 사멸 속도는 키토산 처리 1시간 이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로는 점차 낮은 속도를 보였다. 사멸되었거나 파손된 미생물 세포로부터 유래되는 단백질, 핵산물질 및 $Ca^{2+}$ 량은 키토산 처리 시간 이내에 가장 많았으며 ${\beta}-galactosidase$ 활성도 같은 시간대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중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 aureus에 대한 세포막 손상 정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전체 미생물균체중 약 10%에 상당하는 균수가 막손상을 가져 왔다. 따라서, 키토산은 고유의 양이온성 성질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세포벽과 세포막에 결합하여 그 결과로 세포 내 물질의 세포 외로의 유출내지는 세포막 대사의 저해 등의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Chitosan-oligosaccharides가 병원성 대장균의 소수성(疎水性)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oligosaccharides on hydrophobicity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 최현성;한호재;김희경;김희선;강문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554-55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 of chitosan-oligosaccharides (CHIOL) on hydrophobicity of pathogenic E coli including a field isolate from suckling piglet with diarrhea, E coli-O157 : H7, and E coli-O149 : K88ac. E coli field isolate appeared adhesion of 100% to n-hexadecane between 0.00125% and 0.05% CHIOL. E coli-O157 : H7 occurred adhesion of 69% and 64% under the level of 0.00125% and 0.025% CHIOL, respectively. E coli-O149 : K88ac showed adhesion of 100% in higher than 0.025% CHIOL. For cationic action, the adhesion of E coli isolate and E coli-O149 : K88ac to n-hexadecane were inhibited at level of higher than 10mM $Ca^{2+}$ but did not induce any difference among the concentrations used(p < 0.01). However, the adhesion of E coli-O157 : H7 to n-hexadecane was inhibited at level of higher than 50mM $Ca^{2+}$. In a field trial, control piglets showed average mortality of up to 58% during 3 days after the onset of diarrhea. In contrast, the prevalence of E coli-induced diarrhea in CHIOL-treated groups without mortality was dropped down to average 34% on the 1st day after the treatment of CHIOL, and average 2% on the 4th day. After then, piglets with diarrhea was not present. In conclusion, the low concentrations of CHIOL were most likely to associate with the enhancement of hydrophobicity to pathogenic E coli. Calcium inhibited the hydrophobicity of E coli by CHIO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IOL could be played an efficient and reliable role in treating enteric colibacillosis of piglets.

  • PDF

Effect of Chlorine Dioxide and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on Inhibiting Foodborne Pathogens and on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hemically Injured Cells on Radish Sprouts

  • Choi, Mi-Ran;Kang, Dong-Hyun;Heu, Sung-Gi;Lee, Sun-Young
    • Food Quality and Culture
    • /
    • 제3권1호
    • /
    • pp.34-39
    • /
    • 2009
  • This study assessed the efficacy of aqueous chlorine dioxide ($ClO_2$) and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in terms of its ability to eliminate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 and Escherichia coli O157:H7 on radish sprouts (Raphanus sativus L.). Radish sprouts were inoculated with a cocktail containing one each of three strains of three different foodborne pathogens, then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control) or chemical sanitizers (100 ppm commercial chlorine, and 50, 100, 200 ppm $C1O_2$) for 1, 5, and 10 min at room temperature ($22{\pm}2^{\circ}C$). Populations of S. Typhimurium,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counted at 4.64, 6.05, and 4.29 log CFU/g, respectively, after inoculation. Treatment with water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levels of any of the three foodborne pathogens. The levels of all three pathogens were reduced by treatment with chemical sanitizers; however, the observed levels of reduction of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not significant as compared with the controls. The levels of the three pathogens were reduced most profoundly when treated for 10 min with 200 ppm of $C1O_2$, and the reduction levels of S. Typhimurium,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1.17, 1.63, and 0.96 log CFU/g, respectively. When chemically injured cells were investigated using SPRAB for E. coli O157 :H7 and by selective overlay methods for S. Typhimurium and L. monocytogenes, respectively, it was noted that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generated more numbers of injured pathogens than did $C1O_2$. These data indicate that $C1O_2$ treatment may prove useful in reducing the numbers of pathogenic bacteria in radish sprouts.

  • PDF

로메인 상추에서 병원성미생물의 생존 및 증식 특성 (Surviv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Foodborne Pathogen in Romaine Lettuce)

  • 김나예슬;김채린;김다운;정명인;오광교;김보은;류재기;정지은;전익성;류경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81-487
    • /
    • 2021
  • 본 연구는 로메인 상추에서 병원성미생물이 생존과 생육의 특성을 분석하여 안전관리 정보를 확보하고자 실시하였다. 로메인 상추에서 분무 접종한 E. coli O157:H7은 72시간 배양 후 초기균수 보다 2.0 log CFU/g 수준으로 증가하여 생존 및 증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추 잎의 상처 유무에 따른 E. coli O157:H7은 배양 72시간 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상추 잎에 인위적인 상처에 내어 E. coli O157:H7을 접종하고 병원균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상처가 없는 상추는 표면이 매끄러워 균이 부착하지 못하거나 균수가 매우 낮았고, 상처가 있는 상추 잎은 거친 표면에 균이 밀집되어 상처를 통해 상추 내부로 침입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병원성미생물의 상추 추출물 이용 여부는 10-100% 농도에서 배양 24시간 이후에 E. coli O157:H7 8.9 log CFU/mL, L. monocytogenes 8.6 log CFU/mL, P. carotovorum 8.8 log CFU/mL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성미생물과 식물병원균이 유사한 4 log CFU/g 이상의 증가율을 나타내어 미생물이 상추 추출물을 영양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추 추출물 0.1%에서 초기 접종 농도와 비교하여 E. coli O157:H7 2.7, L. monocytogenes 1.3, P. carotovorum 2.9 log CFU/mL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병원성 미생물의 최소생육농도는 0.1%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고, 상처를 통해 지속적으로 0.1% 수준의 상추 추출물이 병원성미생물에 제공되면 상추 내부에서도 생존 및 증식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산화염소수와 전해수를 이용한 식중독균의 살균효과 (Bactericidal Effects of Food-borne Bacteria using Chlorine Dioxide and Electrolyzed Water)

  • 이혜린;김수진;방우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2-23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병원균인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그리고 Escherichia coli O157:H7을 이산화염소수와 전해수에 0분, 2분, 4분, 6분, 8분 및 10분간 반응시켜 이산화염소수와 전해수의 살균 효과를 확인하고, 그람 양성균(B. cereus, S. aureus)과 그람 음성균(S. Typhimurium, E. coli O157:H7)의 민감성 비교를 실시하였다. B. cereus, S. aureus, S. Typhimurium 그리고 E. coli O157:H7의 이산화염소수에서의 D값은 1.85±0.64, 2.06±0.85, 2.26±0.89 그리고 2.59±0.40분으로 나타났고 전해수의 경우 각각 2.13±0.32, 1.64±0.64, 1.71±0.32 그리고 1.86±0.36분으로 나타났다. 각 용액에 처리한 10분 간 모든 균주에서 꾸준한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으며 각 용액에서 각 균주의 D값은 서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05). 이산화염소수와 전해수의 살균력을 비교한 결과 D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pH와 유효염소농도 모두 이산화염소가 전해수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살균·소독을 실시할 대상의 pH에 대한 민감성과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살균제를 선택하고, 최적의 농도를 결정하여 식품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동물(젖소)건강 Monitoring System 모델 개발 V. 유우의 사육규모에 따른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및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리 빈도 (Development of a Model for Animal Health Monitoring System V. Iso1ation Frequence Of Salmonella spp., Escherichia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from Dairy Cow with different herd size)

  • 김용환;김종수;김곤섭;최민철;이은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16-320
    • /
    • 2000
  • The present study conducted to evaluate the isolation frequency of Salmonella sap., Escherichia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fecal samples collected form 33 dairy cow feedlots in West Gyeong-nam province from tan. 179\ulcorner to Feb. 1999. Salmonella spp. were isolated from 8.7% of fecal samples and 57.5% of dairy cow feedlots participaiting in this study had at least one positive fecal 7ample. The isolation rates of Salmonella spp. in each herd size were 42.9% in ln less than 125 heads, 63.6% in 25% to 50 heads and 75% in more than 50 heads. Of the positive sample, the most common serogroup recovered was Bl(31.5%), followed by C1 and D(22.9%), C2(16.2%), A(4.2%) and E(2.1%), in order. However, E.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et detected in the fecal samples collected from all feedlots.

  • PDF

국내산 무화과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

  • 정미란;차정단;이영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사단법인 창립총회
    • /
    • pp.96-96
    • /
    • 2003
  • 무화과의 성숙정도에 따른 항균활성을 검색하고자 메탄올과 용매계통분획물에 대하여 8종의 식중독균(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Yersinia enterocolitica,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를 검색하였다. 미숙, I, II기 및 성숙 무화과의 메탄올추출물은 10mg/mLshd도에서 L. monocytogenes, V. parahaemolyticus, E. coli O157:H7과 E. coli에 대해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중략)

  • PDF

우유내의 LP system의 생리기능 및 항균성에 관한여구 1.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 (Studies on the Biological Func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Lactoperoxidase System in Milk)

  • 정충일;남은숙;김대원;전형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
    • /
    • 1998
  • 본 연구는 E. coli O157:H7에 대한 LP system(lactoperoxidae/thiocyanate/hydrogen peroxide)의 항균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초기 접종수준($10^{2},\;10^{4},\;10^{7}cfu/ml$), LP의 농도 (10ppm, 20ppm, 30ppm), 배지종류 (TSB, UHT milk, raw milk), 배양온도 ($5^{\circ}C,\;10^{\circ}C,\;15^{\circ}C$) 등에 따라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 비교한 결과, 초기 접종수준을 $10^2/ml$으로 하였을 때와 LP의 농도를 10ppm 및 $5^{\circ}C$ 배양에서 항균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