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Transmission Error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6초

풍력단지 제어를 위한 생산가능 출력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Available Power of a Wind Turbine for Wind Farm Control)

  • 오용운;백인수;남윤수;라요한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1-7
    • /
    • 2014
  • A study on the available power of a wind turbine to be used for wind farm control was performed in this study, To accurately estimate the available power it is important to obtain a suitable wind which represents the three dimensional wind that the wind turbine rotor faces and also used to calculate the power. For this, two different models, the equivalent wind and the wind speed estimator were constructed and used for dynamic simulation using matlab simulink. From the comparison of the simulation result with that from a commercial code based on multi-body dynamics, it was found that using the hub height wind to estimate available power from a turbine results in high frequency components in the power prediction which is, in reality, filtered out by the rotor inertia. It was also found that the wind speed estimator yielded less error than the equivalent wind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 from the commercial code.

신뢰적 멀티캐스트를 위한 타이머 기반 버퍼 관리 (Timer-based Buffer Management for Reliable Multicast)

  • 안상현;김영민;권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4호
    • /
    • pp.513-519
    • /
    • 2003
  •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효율적 전달을 위해서는 멀티캐스트 라우팅과 신뢰성 있는 전송 방식이 요구된다. 신뢰성 있는 전송은 손실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 전송된 패킷은 재전송 버퍼에 저장되어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재전송 버퍼의 관리 문제가 중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재전송 버퍼에 얼마나 많은 패킷을 저장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룬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인 TBM(Timer based Buffer Management)은 멀티캐스트 트리 상의 응답자와 수신자들 사이의 NAK를 이용해서 얻어진 타이머 값을 기준으로 적정량의 버퍼를 유지하며, 동적인 네트워크 상황에 적응한다. 실험을 통해 TBM이 오류 상황이나 네트워크의 크기 등에 상관없이 버퍼를 능동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보인다.

10 Gb/s 급 광통신용 1.55$\mu$m SI-PBH DFB-LD의 제작 및 특성연구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1.55$\mu$m SI-PBH DFB-LD for 10 Gbps optical fiber communications)

  • 김형문;김정수;오대곤;주흥로;박성수;송민규;곽봉신;김홍만;편광의
    • 한국광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27-332
    • /
    • 1997
  • 2단계 메사 식각 공정과 유기 금속 화학 증착방법으로 높은 비저항을 갖는 Fe-도핑된 반절연 InP층의 전류 차단층을 갖는 10 Gb/s 광통신용 초고속 1.55.mu.m 궤환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DFB-LD의 특성은 발진 임계전류~15 mA, slope efficiency ~0.13 mW/mA, 동 저항 ~6.0.OMEGA.이었고, 발진 파장은 1.546 .mu.m이며, 6 Ith까지의 전류에도 인접 모우드 억압비, SMSR>40dB 이상 (CW상태)으로써 안정된 단일 모우드 동작을 보였다. DFB-LD의 소신호 주파수 특성으로 27 mA의 작은 구동전류에서 이미 -3dB 대역폭이 10 GHz에 도달하였음을 보여주었고, 또한 최대 -3dB 대역폭으로 구동전류 90 mA에서 ~18 GHz까지 얻는 우수한 소신호 주파수 특성을 보여주었다. 10 Gb/s DFB-LD 모듈 전송시험에 있어서, 1.55.mu.m 파장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로 일반 단일모우드 광섬유와 분산천이 광섬유에 대해서 전송시험한 결과 에러평탄면(error floor)없이 각각 10 km, 80 km를 전송할 수 있었다.

  • PDF

안정적 Wi-Fi 방송 서비스를 위한 무선 랜 전송 특성 분석 (Analysis of IEEE 802.11 Broadcast for Reliable Wi-Fi Broadcast)

  • 정재현;김동현;김종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8B호
    • /
    • pp.954-961
    • /
    • 2011
  • 무선 랜 기술을 방송 분야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IEEE 802.11 방송 패킷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현재 IEEE 802.11 방송 패킷 전송 기술은 Unicast 패킷 전송 기술에 비해 컨텐츠 전달의 신뢰성을 보장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무선 랜 방송 기술의 손실률 제어를 위한 기법으로 FEC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무선 랜 방송 기술에 FEC 기법을 활용함에 있어서 핵심은 복구를 위한 여분의 패킷 양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먼저 다중 무선 랜 전송률-(1-54Mbps) 이 지원되는 방송 테스트베드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방송 패킷의 길이, 무선랜 전송률, 주변 환경에 따른 손실률을 구하고 손실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인자들의 값을 도출 하였다. 나아가 구해진 손실률을 이용하여 FEC 여분 패킷 양을 결정하였다.

DTD 자동 생성 기법을 이용한 USN 미들웨어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N Middleware using DTD GenerationTechnique)

  • 남시병;권기현;유명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1-50
    • /
    • 2012
  • 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빈번히 발생되는 데이터 구조 변경에 따른 코드 재생산에 확장성 및 오류 복구능력 향상을 위하여 DTD(Document Type Definition)자동 생성 기법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DTD자동 생성 기법은 센서 데이터 구조가 수정되어도 서버 측에서 동적 서버사이드 스크립트(Dynamic Server-side Script)로 DTD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기 때문에 데이터 손실과 오류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며,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를 이용한 XML데이터 파싱(Parsing)을 구성하여 대단위 데이터 전송이나 다양한 모니터링 시스템 분야에 데이터 손실이나 손상 확인 등의 예외처리 및 데이터 구조의 확장과 축소가 용이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일시적인 데이터 깨짐 상황에서 정상화 복구에 필요한 평균시간이 기존의 XML을 이용한 방법보다 약 44.8ms감소되어 오류 복구처리 속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DASH시스템을 위한 유효 대역폭 측정 기법 (Effective Bandwidth Measurement for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 김동현;정종민;허준환;김종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2-52
    • /
    • 2017
  • DASH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고 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적응형 스트리밍 기술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사용자에게 최선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가용 대역폭 측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TCP의 전송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DASH는 이전 미디어 세그먼트 크기에 따라 측정된 가용 대역폭이 다르고 때문에 사용자에게 QoE를 보장하기 어렵다. 본 논문은 TCP Slow start구간을 가용 대역폭 측정에서 배제하여 가용대역폭 측정 오류를 줄이는 새로운 dash대역폭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이전 세그먼트 크기에 따라 가용 대역폭 측정의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우리가 제안하는 가용 대역폭 측정 방법을 오픈 소스 기반 DASH시스템에서 구현하여 기존 대역폭 측정 방법과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 제안 방법은 기존 대역폭 측정 방법에 비해 정확도가 20% 향상되었다. 또 평균 세그먼트 서비스 품질, 세그먼트 품질 변경 횟수 등의 측면에서 사용자 QoE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비대칭 망에서 동적 세그먼트 크기 조정을 통한 상향링크 혼잡제어 (Uplink Congestion Control over Asymmetric Networks using Dynamic Segment Size Control)

  • 제정광;이지현;임경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4권6호
    • /
    • pp.466-474
    • /
    • 2007
  •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대역폭 차이가 은 비대칭 망 환경에서 범용 TCP를 사용하는 경우, 상향링크의 혼잡으로 인해 TCP의 성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향 링크 상의 데이타 세그먼트를 망 환경에 최적화된 크기로 전송함으로써 수신단에서 생성되는 응답 패킷의 수를 감소시켜 상향링크의 혼잡을 완화시키는 동적 세그먼트 조정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범용 TCP의 단대단 의미구조를 유지하고 송수신단의 TCP 수정 없이 망 환경에 따라 세그먼트의 크기를 최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상향링크의 혼잡을 완화시킨다. 제안된 기법은 송수신단 사이에 위치한 게이트웨이에 적용되어 상향링크의 혼잡을 감지하고 동적으로 망의 비대칭율과 패킷 손실율을 측정한다. 그리하여 게이트웨이는 상향링크 혼잡 발생 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미리 도출되어진 세그먼트 조정계수 값을 참조하고 패킷을 재조립한 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즉, 망의 비대칭율이 큰 경우 송신단에서 전송되어지는 세그먼트의 크기를 조절하여 응답패킷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상향링크의 혼잡을 완화시킨다. 또한 조정된 크기를 갖는 세그먼트에서 전송 도중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빠른 복구를 위해 SACK를 사용하고 혼잡 제어 구간에서는 제안된 기법을 적용하지 않도록 하여 줄어든 응답 패킷의 수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이를 통해 제안된 기법을 비대칭 망의 한 종류인 GEO 위성망 환경에 적용하여 상향링크의 혼잡 발생 시 성능저하의 방지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조도 감지기를 이용한 절전형 간판 자동 전원 제어기 (The Energy-Efficient Automatic Power Controller of The Signboard using Illuminance Detector)

  • 라승탁;임송환;이승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88-19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조도 감지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조도량에 따라 점등되는 방식의 절전형 간판 자동 전원 제어기를 제안한다. 조도량 설정 방식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감안하여 조도량 단위별 구간 분류 알고리즘을 통해 설정 과정이 누구나 쉽게 조작이 가능한 가변저항 방식을 제안한다. 자동 점등의 기준이 되는 조도량의 데이터는 조도 감지기가 측정한 조도량을 무선 통신을 통해 간판 자동 전원 제어기에 보내어 간판의 점등을 제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조도 감지기를 이용한 절전형 간판 자동 전원 제어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공인 시험기관에서 외부의 빛이 모두 차단된 상태에서 시험한 결과, 각 구간별로 오차율이 ${\pm}3%$ 이하로 측정되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고속열차용 전기기계식 제동장치의 동력전달 기구물에 대한 구조해석 (Structural Analysis of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of Electro-Mechanical Brake Device for High Speed Train)

  • 오혁근;백승구;전창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37-246
    • /
    • 2019
  • 전기기계식 제동장치(EMB : Electro Mechanical Brake)는 자동차 및 철도차량의 차세대 제동장치로서 현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의 고속열차용 제동장치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제동 압부력을 발생시키나 전기기계식 제동장치 (EMB)에서는 전기 모터 및 기어와의 조합을 통하여 압부력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고압부력 발생이 가능한 EMB 구동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해당 메커니즘을 만드는 기구장치 중 핵심부품인 기어 및 샤프트 부품들에 대한 구조 및 진동해석을 수행하였다. 한편 모델에 대한 동적 진동해석 결과 압부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외부가진이 주어졌을 때 부재의 최대 응력이 항복강도 이내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구조해석 결과 모터샤프트의 축 직경을 최대한 크게하는 설계가 강도 상 유리함을 확인하였으며, 기어와 편심샤프트를 고정하는 볼트에서 큰 전단응력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해석모델의 메커니즘을 재현할 수 있는 시험장치를 제작하여 가장 취약한 부위인 고정 볼트부의 변형률을 구동 토크가 가해진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변형률 측정결과는 해석결과와 오차가 10% 이내로서, 해석모델의 정확도를 검증할 수 있었다.

Digora$\textregistered$에서 노출시간의 변화가 근관치료용 file의 첨부식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arious exposure times in the detectability on the tips of the endodontic files in Digora$\textregistered$)

  • 고지영;박창서
    • 치과방사선
    • /
    • 제27권1호
    • /
    • pp.55-71
    • /
    • 1997
  • Digora/sup (R)/ an intraoral digital radiography system utilizing image plate (IP) - has a dynamic range of exposure time which allows it to decrease the patient's exposure time and to increase diagnostic ability through image processing, transmission and stor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gora/sup (R)/ system by assessing the effects of various exposure times on the detectability on the tip of the endodontic file. Examining the root canals of 45 extracted sound premolars, K -files No. 10, 15, and 20 were placed at slightly varying distances from the apex. The teeth were glued onto resin-plaster blocks. Five exposure times varying between 0.01 seconds and 0.25 seconds were used. Four observers were asked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of the file and a reduction of crown portion, and obtained mean errors (subtracting true file length from the measured file length), comparing Digora/sup (R)/ monitors with E-plus films, which were both obtained under the same geometrical posi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Comparing E-plus film with Digora/sup (R)/ at 0.01 seconds, the mean errors in E-plus film showed -4.453 nun, -4.497 nun, and -3.857 nun, while the mean errors in Digora/sup (R)/ showed 0.065 nun, 0.607 nun, and 0.719 mm according to the file groups. Theref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plus film and Digora/sup (R)/(p<0.05). 2. By comparison of mean errors according to the various exposure times in the Digora/sup (R)/ system, the mean error at 0.01 second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at 0.12 and 0.25 seconds in the No. 10 file group(p<0.05).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the highest at 0.01 seconds. 3. Comparing E-plus film at 0.25 seconds with the Digora/sup (R)/ system, the mean err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plus film at 0.25 seconds and the Digora/sup (R)/ system at 0.25 seconds in No. 10 and 20 file groups(p<0.05). 4. Comparing E -plus film at 0.25 seconds with other exposure times, the mean err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plus film at 0.25 seconds and E-plus film at 0 .. 01 and 0.03 seconds in 10 file group(p<0.05). In the No. 15 and 20 file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plus film at 0.25 seconds and E-plus film at 0.01 seconds(p<0.05). In conclusion, Digora/sup (R)/ was better than E-plus film in detectability on the tip of the file at the exposure time of 0.01 seconds in all file groups. And we concluded that Digora/sup (R)/ can shorten exposure times up to 4% of 0.25 seconds (0.01 sec), which is adequate exposure time for premolar in E-plus film using No. 15 and 20 fi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