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Segmentation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초

Accurate Segmentation Algorithm of Video Dynamic Background Image Based on Improved Wavelet Transform

  • Ming, Mi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8권5호
    • /
    • pp.711-718
    • /
    • 2022
  • In this paper, an accurate segmentation algorithm of video dynamic background image (VDBI) based on improved wavelet transform is proposed. Based on the smooth processing of VDBI, the traditional wavelet transform process is improved, and the two-layer decomposition of dynamic image is realized by using two-dimensional wavelet transform. On the basis of decomposition results and information enhancement processing, image features are detected, feature points are extracted, and quantum ant colony algorithm is adopted to complete accurate segmentation of the image. The maximum SNR of the output results of the proposed algorithm can reach 73.67 dB, the maximum time of the segmentation process is only 7 seconds, the segmentation accuracy shows a trend of decreasing first and then increasing, and the global maximum value can reach 97%, indicating that the proposed algorithm effectively achieves the design expectation.

모양공간 모델을 이용한 영상분할 알고리즘 (An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using the Shape Space Model)

  • 김대희;안충현;호요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2호
    • /
    • pp.41-50
    • /
    • 2004
  • MPEG-4 표준에서는 객체 단위의 부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자연영상으로부터 비디오 객체를 분리하는 영상분할(segmentation) 기술이 필요하다. 영상분할 방법은 크게 자동 영상분할(automatic segmentation)과 반자동 영상분할(semi-automatic segmentation)의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자동 영상분할 방법은 비디오 객체의 명확한 수학적인 모델을 제시하기 곤란하며 한 화면에서 개별 객체를 추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 성능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active contour 알고리즘을 이용한 반자동 영상분할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초기 곡선으로부터 변화 가능한 모든 곡선의 집합을 모양공간으로 정의하고 그 공간을 선형공간이라고 가정하면, 모양공간(shape space)은 모양 행렬에 의해 행(column) 공간과 남은 빈(left null) 공간으로 나뉘어진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행공간의 모양공간 벡터를 이용하여 초기 곡선으로부터 영상의 특징점까지의 변화를 기술하고 동적 그래프 검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객체의 세밀한 부분을 묘사한다. 모양 행렬과 객체의 윤곽을 추정하기 위한 SUSAN 연산자의 사용으로 제안한 알고리즘은 저수준 영상처리로부터 생성되는 불필요한 특징점을 무시할 수 있다. 또한, 모양 행렬의 사용으로 생긴 제약은 동적 그래프 검색 알고리즘으로 보상한다.

동적 배경에서의 고밀도 광류 기반 이동 객체 검출 (Dense Optical flow based Moving Object Detection at Dynamic Scenes)

  • 임효진;최연규;구엔 칵 쿵;정호열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77-285
    • /
    • 2016
  • Moving object detection system has been an emerging research field in variou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ADAS) and surveillance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optical flow based moving object detection methods at dynamic scenes. Both proposed methods consist of three successive steps; pre-processing, foreground segmentation, and post-processing steps. Two proposed methods have the same pre-processing and post-processing steps, but different foreground segmentation step. Pre-processing calculates mainly optical flow map of which each pixel has the amplitude of motion vector. Dense optical flows are estimated by using Farneback technique, and the amplitude of the motion normalized into the range from 0 to 255 is assigned to each pixel of optical flow map. In the foreground segmentation step, moving object and background are classified by using the optical flow map. Here, we proposed two algorithms. One is Gaussian mixture model (GMM) based background subtraction, which is applied on optical map. Another is adaptive thresholding based foreground segmentation, which classifies each pixel into object and background by updating threshold value column by column. Through the simulations, we show that both optical flow based methods can achieve good enough object detection performances in dynamic scenes.

영상 분할을 이용한 다이내믹 프로그래밍 기반의 스테레오 정합 (Dynamic Programming-based Stereo Matching Using Image Segmentation)

  • 서용석;유지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8C호
    • /
    • pp.680-68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영상 분할(image segmentation)을 이용한 다이내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DP) 기반의 스테레오 정합 (stereo matching)기법을 제안한다. 다이내믹 프로그래밍은 스테레오 정합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컴퓨터 비젼 문제들의 고전적이고 인기가 있는 최적화 방법이다. 그러나 스테레오 정합 문제에 적용될 때 스캔라인들 사이의 수직 상호 관계가 적절하게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DP의 성능은 만족스럽지 않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에서는 영상을 분할하여 정확한 경계정보를 획득한 다음 경계 정보에 의거하여 변이의 불연속과 폐색영역을 고려한다. Middlebury 스테레오 영상에 적용한 실험 결과들은 제안된 알고리즘이 이전의 다이내믹 기반 알고리즘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입증해준다.

Dynamic Segmentation을 이용한 오수 관거 데이터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ilding Sewerage Data using Dynamic Segmentation Method)

  • 박정우;윤정미;이성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19
    • /
    • 2006
  • 하수관망은 인간의 삶을 증진시키거나 홍수와 같은 재해를 예방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하수처리시설에 대하여 관심을 가질 뿐, 관로에 대한 관리는 지도(map)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선형 객체의 경우 한 개의 선형에 단일 속성만 존재한다. 이 한계로 인하여 하수관거와 같은 선형 속성은 관리하기 힘들고, 선형의 부분적인(point type, line type) 속성 변화는 처리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속성 변화를 적용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적용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Dynamic Segmentation을 이용하였다. DS는 선형객체 상의 정확한 위치에 속성값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하수관거 주위의 다양한 환경 변화를 적용 시킬 수 있었다. 또한 관거별 최대하수량을 정밀하게 계산할 수 있었다.

  • PDF

동적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움직이는 객체 추출 (An effective background subtraction in dynamic scene.)

  • 한재혁;김용진;유세운;이상화;박종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631-636
    • /
    • 2009
  •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전경을 추출하기 위한 영역 분할(segmentation)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특히, 전경이 배제된 배경 영상과 현재 프레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경을 추출하는 배경 차분(background subtraction) 방법은 요구하는 계산량에 비해 우수한 품질의 전경 추출이 가능하므로 실시간 처리가 필요한 비전 시스템에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배경 차분 방법만을 이용하여서는 배경이 동적으로 변하는 환경에서 정확한 전경을 추출해 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적인 배경과 동적인 배경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영역 분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정적인 배경 영역에 대해서는 기존의 배경 차분 방법을 이용하여 전경을 추출하고, 동적인 배경 영역에 대해서는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전경을 추출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사용한다. 정적인 배경에 동적인 영상을 프로젝터로 투영하는 환경에서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

Cross Mask와 에지 정보를 사용한 동영상 분할 (Dynamic Scene Segmentation Algorithm Using a Cross Mask and Edge Information)

  • 강정숙;박래홍;이상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247-1256
    • /
    • 1989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ynamic scene segmentation algorithm using a cross mask and edge information. This method, a combination of the conventioanl feature-based and pixel-based approaches, uses edges as features and determines moving pixels, with a cross mask centered on each edge pixel, by computing similarity measure between two consecutive image frames. With simple calcualtion the proposed method works well for image consisting of complex background or several moving objects. Also this method works satisfactorily in case of rotaitional motion.

  • PDF

조명과 배경에 강인한 동적 임계값 기반 손 영상 분할 기법 (An Illumination and Background-Robust Hand Image Segmentation Method Based on the Dynamic Threshold Values)

  • 나민영;김현정;김태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07-61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조명과 배경에 강인한 동적임계값을 이용한 손 영상 분할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시간단위 입력 차영상을 구하여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손의 실루엣을 추출한다 그 후, 추출된 손 실루엣에 해당하는 영상의 R,G,B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하여 R,G,B 각각에 대한 임계구간을 동적으로 구한다. 마지막으로 획득된 동적 임계값을 이용하여 영상에서 손영역을 분할한 다음 모폴로지, 연결요소 분석, 플러드필 연산을 이용한 잡음 제거를 수행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기법은 기존의 비전 기술을 통한 손 인식 기법들과 비교하여 별도의 고정임계값을 두지 않고 실행시간에 정확한 임계값을 추출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배경과 조명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손을 분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은 혼합 현실 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될 수 있다.

밝기 보존을 위한 동적 영역 분할을 이용한 적응형 명암비 향상기법 (An Adaptive Contrast Enhancement Method using Dynamic Range Segmentation for Brightness Preservation)

  • 박규희;조화현;이승준;윤종호;최명렬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7권1호
    • /
    • pp.14-21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ive contrast enhancement method using dynamic range segmentation. Histogram Equalization (HE) method is widely used for contrast enhancement. However, histogram equalization method is not suitable for commercial display because it may cause undesirable artifacts due to the significant change in brightness. The proposed algorithm segments the dynamic range of the histogram and redistributes the pixel intensities by the segment area ratio. The proposed method may cause over compressed effect when intensity distribution of an original image is concentrated in specific narrow reg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we introduce an adaptive scale facto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suppresses the significant change in brightness and provides wide histogram distribution compared with histogram equ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