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Access Control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4초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가상화 관리 융합접근제어 모델 (A Virtualization Management Convergence Access Control Model for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 최은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69-75
    • /
    • 2018
  • 접근제어 목적은 컴퓨팅 자원을 불법적인 사용자로부터 유출, 수정, 파괴와 같은 비합법적인 행위로부터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보호하는데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이 가상화 기술을 활용한 자원공유 서비스로 확장됨에 따라 동적이고 안전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보안 모델과 접근제어 기법이 요구되어진다. 본 가상화 관리 융합접근제어 모델은 역할기반 접근제어 기법에 동적 권한 배정 기능을 적용하여 유연한 사용자 권한 부여 기능을 제공하였다. 또한 보안등급과 규칙에 의거한 접근제어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공유개념의 가상머신 시스템에서 권한충돌 문제 해결과 물리적 자원의 안전성을 보장토록 하였다. 본 모델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화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향후 다단계 특성을 반영한 메카니즘으로 확장될 필요성이 있다.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의료정보 동적접근 시스템 (Medical Information Dynamic Access System in Smart Mobile Environments)

  • 정창원;김우홍;윤권하;주수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7-55
    • /
    • 2015
  • 최근, 병원정보시스템의 환경은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접목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스마트 폰, 테블렛 PC와 같은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의료 정보 시스템에 활용된다. 또한, 이러한 환경은 이기종 센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네트워크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이들 병원 정보 시스템 환경에서, 기존의 접근 제어 방식에 의한 보안 서비스를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된다. 기존 보안 방식의 대부분은 접근제어 리스트 구조를 사용한다. 이는 클라이언트 이름, 서비스 객체 메소드 이름으로 접근 제어 매트릭스에 의해 정의된 접근만을 허용한다.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정적인 접근 방법은 변화되는 상황에 신속하게 적응하지 못한다. 따라서, 우리는 보다 유연하고, 매우 상이한 보안 요구와 다양한 환경에 적용 할 수 있는 새로운 보안 메커니즘을 필요로 한다. 또한, 환자중심의 의료 서비스 형태로 변화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의료정보 동적접근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는 기존 병원정보 시스템의 환경을 기반으로 동적접근 제어 방법으로 의료정보 시스템에 접근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다. 물리적인 환경은 모바일 x-ray 영상 디바이스와 전용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PACS, EMR 서버와 인증 서버로 구성하였다. 소프트웨어 환경은 모바일 X-ray영상기기는 Windows7 OS를 기반으로 동기화 및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해 .Net Framework를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그리고 전용 스마트 디바이스는 Android OS를 기반으로 JSP와 Java SDK를 통한 동적접근 응용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병원의 의료영상정보 서버와 모바일 X-ray영상기기, 전용 스마트 디바이스간의 의료정보는 의료영상정보 표준인 DICOM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EMR 정보는 H7을 기반으로 한다. 동적접근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는 산소포화도, 심박수, 혈압과 체온과 같은 생체 정보의 값에 대한 조건에 의해 환자의 상황을 분류하고, 의료진의 의료정보 접속 인증 방법으로 동적인 접근 방법을 설계했다. 이는 일반 상태와 응급상태로 2부분으로 구분하여 이벤트 추적 다이어그램으로 보였다. 그리고, 인증 정보는 ID/PWD와 위치, 역할, 작업시간 그리고 응급 환자를 위한 응급 코드를 포함하였다. 동적접근 제어 방법의 일반적인 상황은 인증 정보의 값에 의해 의료정보에 접근 할 수 있다. 그러나 응급상황의 경우는 인증 정보 없이 응급 코드에 의해 의료정보에 접근하도록 하였다. 또한, 우리는 의료정보 표준에 따라 환자, 의료진 및 의료 영상 정보로 구성되는 의료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구축했다. 끝으로, 우리는 제안 시스템의 수행 결과를 일반과 응급상황과 같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으로 동적접근 응용 서비스의 유용성을 보였다. 특히, 제안 된 시스템은 동적 액세스 제어 방법에 의해 응급상황에서 스마트 디바이스기반의 효과적인 의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결과, 제안한 시스템이 u-병원 정보 시스템과 서비스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Access Control Mechanism for CouchDB

  • Ashwaq A., Al-otaibi;Reem M., Alotaibi;Nermin, Hamz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2호
    • /
    • pp.107-115
    • /
    • 2022
  • Recently, big data applications need another database different from the Relation database. NoSQL databases are used to save and handle massive amounts of data. NoSQL databases have many advantages over traditional databases like flexibility, efficiently processing data, scalability, and dynamic schemas. Most of the current applications are based on the web, and the size of data is in increasing. NoSQL databases are expected to be used on a more and large scale in the future. However, NoSQL suffers from many security issues, and one of them is access control. Many recent applications need Fine-Grained Access control (FGAC). The integration of the NoSQL databases with FGAC will increase their usability in various fields. It will offer customized data protection levels and enhance security in NoSQL databases. There are different NoSQL database models, and a document-based database is one type of them. In this research, we choose the CouchDB NoSQL document database and develop an access control mechanism that works at a fain-grained level. The proposed mechanism uses role-based access control of CouchDB and restricts read access to work at the document level. The experiment shows that our mechanism effectively works at the document level in CouchDB with good execution time.

Sharing and Privacy in PHRs: Efficient Policy Hiding and Update Attribute-based Encryption

  • Liu, Zhenhua;Ji, Jiaqi;Yin, Fangfang;Wang, Baoc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1호
    • /
    • pp.323-342
    • /
    • 2021
  • Personal health records (PHRs) is an electronic medical system that enables patients to acquire, manage and share their health data. Nevertheless, data confidentiality and user privacy in PHRs have not been handled completely. As a fine-grained access control over health data, ciphertext-policy attribute-based encryption (CP-ABE) has an ability to guarantee data confidentiality. However, existing CP-ABE solutions for PHRs are facing some new challenges in access control, such as policy privacy disclosure and dynamic policy update. In terms of addressing these problems, we propose a privacy protection and dynamic share system (PPADS) based on CP-ABE for PHRs, which supports full policy hiding and flexible access control. In the system, attribute information of access policy is fully hidden by attribute bloom filter. Moreover, data user produces a transforming key for the PHRs Cloud to change access policy dynamically. Furthermore, relied on security analysis, PPADS is selectively secure under standard model. Finally, the performance comparisons and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PPADS is suitable for PHRs.

확장된 과업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의 구현 (Implementation of Extended Task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 임황빈;박동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39권4호
    • /
    • pp.431-43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워크플로우 환경에서 정적 및 동적 의무 분리 요구 사항의 명세에 대한 과업 역할 기반 접근제어 모델과 상충하는 엔티티 관리 패러다임의 통합을 통하여 기업 환경에서 접근제어 시행을 위한 개선된 접근제어 모델을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확장된 과업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은 워크플로우 지향 과업에 대하여 상충하는 엔티티들을 다룰 수 있고 기업의 특성에 따라서 기업 세션의 분류를 통하여 기업 환경에서 과업에 정교한 의무 분리 정책을 지원할 수 있다.

Terminal-Assisted Hybrid MAC Protocol for Differentiated QoS Guarantee in TDMA-Based Broadband Access Networks

  • Hong, Seung-Eun;Kang, Chung-Gu;Kwon, O-Hyung
    • ETRI Journal
    • /
    • 제28권3호
    • /
    • pp.311-319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terminal-assisted frame-based packet reservation multiple access (TAF-PRMA) protocol, which optimizes random access control between heterogeneous traffic aiming at more efficient voice/data integrated services in dynamic reservation TDMA-based broadband access networks. In order to achieve a differentiated quality-of-service (QoS) guarantee for individual service plus maximal system resource utilization, TAF-PRMA independently controls the random access parameters such as the lengths of the access regions dedicated to respective service traffic and the corresponding permission probabilities, on a frame-by-frame basis. In addition, we have adopted a terminal-assisted random access mechanism where the voice terminal readjusts a global permission probability from the central controller in order to handle the 'fair access' issue resulting from distributed queuing problems inherent in the access network. Our extensiv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AF-PRMA achieve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erms of voice capacity, delay, and fairness over most of the existing medium access control (MAC) schemes for integrated services.

  • PDF

동적 프레디킷 : 허포크라테스 XML 데이타베이스를 위한 효율적인 액세스 통제 방법 (Dynamic Predicate: An Efficient Access Control Mechanism for Hippocratic XML Databases)

  • 이재길;한욱신;황규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5호
    • /
    • pp.473-486
    • /
    • 2005
  • 최근에 Agrawal 등이 제안한 히포크라테스 데이타베이스는 관계형 데이타베이스에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을 추가한 데이타베이스 모델이다. 본 논문의 저자들은 히포크라테스 데이타베이스 모델을 XML 데이타베이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한 히포크라테스 XML 데이타베이스 모델[4]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프레디킷(dynamic predicate)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고, 히포크라테스 XML 데이타베이스 모델에서의 액세스 통제에 이 개념을 적용한다. 동적 프레디킷은 권한에 의해 액세스가 허용되는지를 결정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 질의 처리 도중에 동적으로 생성되는 조건을 나타낸다. 동적 프레디킷은 권한 검사를 질의 계획에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액세스가 허용되지 않은 엘리먼트들이 질의 처리 과정에서 일찍 제외될 수 있게 해준다. 합성 데이타와 실제 데이타를 사용하여 기존의 액세스 통제 방법과 질의 처리 시간을 비교하는 다양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액세스 통제 방법은 하향식 액세스 통제 방법에 비하여 최대 219배, 상향식 액세스 통제 방법에 비하여 최대 499배 성능을 향상시킴을 보였다. 본 논문의 주요 공헌은 히포크라테스 XML 데이타베이스 모델 상에서 동적 프레디킷을 사용하여 액세스 통제 방법을 질의 계획에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역할 기반 접근제어에서 발생하는 상황 충돌 (Context Conflicts of Role-Based Access Control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남승좌;박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7-52
    • /
    • 2005
  • 기존의 응용에 따라 보호 객체들에 대한 접근을 역할들로 분류하여 역할을 중심으로 접근제어를 수행하는 역할 기반의 접근제어에 사용자 및 환경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접근제어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중요 정보와 자원에 대하여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환경에 유연하면서 강력한 접근제어의 수행에 관하여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에 대한 정의와 중요한 의미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와 자원, 환경을 고려한 유연한 접근제어 방법을 제시하고, 이때 발생할 수 있는 접근에 대한 충돌을 찾아내고 해결 방안을 제안한다. 상황 정보의 분류와 정의를 이용하여 상창 정보를 접근제어에 적용하는 방법과 상황 정보를 접근제어에 이용하였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분류하여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이 논문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상황 정의와 분류론 이용하여 적절한 사용자가 적절한 객체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사용을 보장하는 보안 정책과 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이다.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의한 객체 접근의 단순 접근제어가 아니라 사용자는 자신의 상황과 연관된 객체, 자원,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CASA 기반의 동적 접근 제어 기법 (A CASA-Based Dynamic Access Control Scheme for Ubiquitous Environments)

  • 김경자;장태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05-211
    • /
    • 2008
  • 기존의 상황 인식 서비스 모델에서는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사용자의 인증으로만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였으나, 사용자의 주변 상황 정보가 빈번하게 변화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상황 변화에 따른 리소스 접근제어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 따라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동적으로 제어하고자 한다. 접근 제어는 기존의 CASA(Context-Aware Security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하지만 현재 서비스를 받고 있는 사용자라 할지라도 리소스 접근 권한을 제한할 수도 있다. 즉, 주위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사하여 주위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접근 권한을 달리 부여하여 기존의 상황 인식 서비스보다 리소스에 대한 강인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

OSGi 기반 동적 RBAC 모델 (Dynamic RBAC Model based on OSGi)

  • 김인태;정경용;임기욱;이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53-60
    • /
    • 2009
  •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인증 및 권한 부여 메커니즘은 사용자의 정보와 편의성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보안 이슈이다. 현재 홈 게이트웨이로써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OSGi 서비스 플랫폼도 이러한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있다. OSGi 제공하는 기존의 권한 부여방식은 기본적인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 모델 기반으로 설계 되어 이는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OSGi기반의 동적 역할 기반 접근 제어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기존 프레임워크를 절대적 롤뿐 아니라 상대적 롤을 지원하도록 확장하고 롤 검사를 서비스 번들에게 위임함으로써 효과적인 접근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AspectJ와 자바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구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