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ing Well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3초

간호대학생에 대한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Well-dying Program on Nursing Students)

  • 문현정;차선경;정성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3호
    • /
    • pp.188-195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죽음준비와 죽음 및 웰다잉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였다. 대상자는 간호대학생으로서 실험군 32명, 대조군 36명이었다.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은 1회에 90~150분씩, 프로그램 소개와 죽음의 의미 탐색, 사망전 정리해야 할 일, 장례준비, 유언장 작성 등 5회에 걸쳐 워크숍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chi}^2$ test, paired t-test와 ANC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중재 전 후에 실험군의 죽음준비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2.61, P=0.014), 중재 후 실험군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154.15, P<0.001). 그러나 웰다잉 인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죽음에 대한 체험을 바탕으로 한 워크숍 형태의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웰다잉 인식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죽음준비인식과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죽음과 관련된 인식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되는 중재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간호대학생의 웰다잉에 대한 인식과 연명치료중단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Well-dying,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ttitude toward Euthanasia)

  • 김미자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51-59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웰다잉에 대한 인식과 연명치료중단의 태도 및 안락사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기간은 2018년 4월 1일부터 5월 6일까지로 D광역시에 소재한 간호학과의 288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웰다잉에 대한 인식은 연명치료중단의 태도와 적극적 안락사, 소극적 안락사와 정(+)의 상관관계로, 연명치료중단의 태도는 적극적 안락사, 소극적 안락사와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연명치료과정에서 많은 윤리적 갈등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간호대학생 시기에 웰다잉에 대한 인식, 생명윤리교육을 받는 것이 필요하고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평가가 요구된다.

죽음준비교육이 간호학생들의 생의 의미, 죽음과 웰다잉,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Meaning of Life, Death and Well-dying and Hospice)

  • 변도화;박미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69-176
    • /
    • 2017
  •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여 간호대학생들의 생의 의미, 죽음과 웰다잉,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 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A시의 C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8명을 실험군으로, P시의 P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6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2월 29일부터 4월 20일까지 주 1회 90분씩 8회기에 걸쳐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x^2-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죽음준비교육은 죽음교육의 중심적인 4가지 영역인 인지적, 정서적, 실천적, 가치 영역의 구분에 맞추어 생의 의미를 부여하고 죽음과 웰다잉,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에 중점을 두면서 내용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죽음준비교육은 간호학생들의 생의 의미, 웰다잉 인식,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학생들 자신의 생이라는 의미 부여와 함께 올바른 삶의 가치관 정립에 도움을 주며 긍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고, 웰다잉과 호스피스에 대한 올바른 인식 함양을 돕는 유용한 교육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죽음에 대한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죽음에 대한 인식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반복 연구와 적용기간에 따라 웰다잉 인식 변화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환자의 임종간호 관찰경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웰다잉에 대한 인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태도 비교 (A Comparison of Awareness to Well-dying,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erminal care Experience)

  • 서연희;이현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430-1440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종간호 관찰경험 여부에 따른 웰다잉에 대한 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태도와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소재의 4년제 간호학과 대학생 32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중 임종간호 관찰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이 관찰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3.011, p<.003). 임종간호 관찰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웰다잉에 대한 인식(r=.194, p=.008)과 사전연명의료의 향서 지식(r=.201, p=.006)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태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임종간호 관찰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태도와 웰다잉에 대한 인식(r=.189, p=.029)에서만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질 수 있도록 표준화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유튜브 동영상 속 죽음과 삶을 통한 웰다잉(well-dying)과 웰에이징(well-aging) 연구 (A study of well-dying and well-aging through death and life in YouTube videos)

  • 권온;강경희;송현동;구진희;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99-309
    • /
    • 2022
  • 유튜브 동영상은 해당 분야의 최신 트렌드를 확보하고 있으며 시청자의 선호도와 비선호도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최근 죽음 관련 유튜브 동영상을 조사하고 삶, 웰다잉, 웰에이징 등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여 한국인의 건강한 삶 구축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한다. 조사 기간 및 대상은 2019년~2021년에 업로드 된 동영상 13편이다. 조사 결과 의사를 포함한 25인의 화자를 확보하였다. 동영상 화자들은 전문가의 입장에서 죽음 논의를 다채롭게 전개하였는데 핵심 사항으로는 삶의 진정한 가치, 두려워할 필요 없는 죽음, 희망의 소중함, 죽음의 자연스러움 등이 있었다. 삶, 죽음, 웰에이징, 웰다잉 등 4가지 기준에 의거하여 11개의 전문가 관점을 4가지 유형으로 재구성하였다. 특정 시기에 추출한 13편을 연구하였다는 제한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유튜브 동영상이 자유로운 소통의 장(場)임을 밝혔다. 그것은 향후 우리 삶의 건강 유지와 향상, 융복합 연구 응용 등에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다.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웰다잉 인식, 노인에 대한 태도변화 및 삶의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Well-dying, Change to Attitude toward the Old and Meaning of life through Hospice Education Program of Care Worker Trainees)

  • 한상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471-4477
    • /
    • 2012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웰다잉 인식과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의미의 변화를 검정하여 교육 효과를 확인하는 유사 실험 설계 중 단일군 사전 사후설계이다. 연구기간은 2011년 9월11일부터 10월21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자는 요양보호사 교육원의 교육생 총 80명으로 본 프로그램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희망하는 자로 호스피스 교육 16시간을 이수한 자이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교육을 실시하기 전 보다 실시한 후가 웰다잉 인식과 삶의 의미, 노인에 대한 태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질적으로 우수한 노인요양보호의 전문 인력이 되기 위해서 노인들에게 필요한 교육내용과 호스피스 프로그램 개발의 질적 관리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학생의 웰 다잉에 대한 인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Well-dying and Knowledge for Advanced Directives)

  • 전경자;정소현;안희지;홍예경;이윤진;김윤아;조수연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well-dying and knowledge for Advanced Directives. Methods: 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and a survey was carried out during March and April, 2019. A total of 133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x^2$ test with SPSS statistics 21.0.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ean score for perception of well dying was $3.00{\pm}0.31$, and knowledge for Advance Directives was $9.05{\pm}2.20$. Perception of well-dy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rade group. Knowledge for Advance Directiv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pre-education experience.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nursing students' knowledge for advanced directiv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and provide them through the total school years.

웰다잉 인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관련 지역약국 상담서비스 이용 의향 (A Survey on Willingness to Accept Community Pharmacist's Consultation Service Regarding Well-dying)

  • 신기웅;손현순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5-152
    • /
    • 2021
  • Background: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has allowed anyone aged 19 or older to sign an Advance Directive not to receive life-sustaining treatment when they are in the 'death process'. Recently, the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nounced to raise awareness of the Advance Directive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community pharmacies across the countr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ublic's willingness to accept pharmacist's consultation regarding the Advance Directive and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to pharmacist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tudy using 16-items was conducted in adults, Study subjects were recrui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uring August 5-15, 2020. Results: Of 460 respondents, 51.7% were younger than 30-year-old and 58.7% were not in the healthcare field in terms of job or major. 60.2% knew about the Advance Directive and 81.7% agreed the necessity to sign when healthy. 50.0% had the willingness to consult with pharmacists on the Advance Directive for well-dying and 80.4% preferred verbal explanation together with written information.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pharmacists or satisfaction with pharmacist's communication and willingness to use pharmacist' consultation on the Advance Directive (1-point increases in values measured on a five-point scale are associated with 0.464 and 0.486 increases,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harmacists need to improve the public's trust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to satisfy with public's demands on well-dying service.

천연염료가 갖는 웰빙효과에 대한 고찰 (The Consideration about Well-being Effects Having Natural Dyestuff)

  • 배은미;박옥미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1-41
    • /
    • 2006
  • As chemistry dyes has considerably developed with industrial society, natural dyeing has gone out of people's head for a long time. But the serious problems from environmental pollutions and ecological damages make people look far Well-being. Natural dyeing also has concentrated again and the interests about it are growing larger and larger. Well-being that a modern person pursues and a Natural dyeing walk along a same string of connection. That is, people want their life to change from quantity matters into qualities. The relations of the natural dying which has the color of nature and Well-being phenomenons are analyzed through dissertations and references. The study about the correlations between natural dying and well-being shows that many advantages of natural dyestuff and the effects of dyestuff are definitely needed to people living in modern times. Also for the protection of an ecosystem, rapid popular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new design is completely requi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