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e-enhance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Antihistamine Effects of Triprolidine from the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the TPX Matrix in Rats

  • Shin Sang-Chul;Choi Jun-Shi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111-114
    • /
    • 2005
  • The antihistamine effects of the triprolidine were studied in rats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thei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from the poly (4-methyl-1-pentene) (TPX) matrix system containing penetration enhancer and plasticizer. The antihistamine effects were determined by the Evans blue dye procedure by comparing the changes in vascular permeability increase following the transdermal administration. The vascular permeability increas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the triprolidine-TPX system containing triethyl citrate (TEC) and polyoxyethylene-2-oleyl ether (POE). Both the plasticizer and penetration enhanc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kin permeation of triprolidine and increased the antihistamine effe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triprolidine-TPX matrix system containing plasticizer and penetration enhancer could be a transdermal delivery system providing the increased antihistamine effects.

레이저 형광과 광활성제를 이용한 초기 우식증의 진단 (DIAGNOSIS OF EARLY CARIES WITH DYE-ENHANCED LASER FLUORESCENCE)

  • 이상호;한국재;이창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
    • /
    • 2003
  • 초기 우식병소와 건전한 치질은 광학적 특성이 다르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치과 치료용으로 개발된 가시광선 영역의 레이저의 형광현상과 광활성재를 이용하여 우식 치질과 건전한 치질간의 광학적 특성의 차이를 색조의 차이로 유도 전환함으로써 초기 우식 병소를 조기에 시각적으로 탐지하여 진단하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소의 치아를 이용하여 여러 단계 깊이의 인공우식병소를 유발하고 우식병소의 표면에서 아르곤 레이저를 조사하여 건전 치질과 우식 치질 사이의 반사된 형광강도의 차이를 컴퓨터 영상분석프로그램을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광활성재를 병소의 표면에 도포하여 형광현상의 색조대비 증진효과를 평가하였다. 실제 조직학적 병소와 레이저 형광법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레이저 형광법에 의한 우식 치질은 건전 치질보다 어둡게, 그리고 광활성재를 도포한후 레이저 형광법으로 관찰한 우식 병소는 건전 치질 보다 밝게 관찰 되었으며 광활성재를 이용한 레이저 형광법이 탈회의 초기단계에서는 레이저 형광법에 비해 진단학적 민감도가 컸다.

  • PDF

3T3-L1 전지방세포에서 연잎-연근 혼합 발효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Effects of Fermented Lotus Extracts on the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 이신지;;이수진;정지은;구병수;김동일;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4-83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rmented lotus extracts on the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Methods: Extracts of lotus leaf and lotus root were fermented using 4 different probiotics separately, including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hamnosus, Bifidobacterium breve, and Bifidobacterium longum. Inhibition of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examined by Oil red O dye staining. Expressions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C/$EBP{\alpha}$) and 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were analyzed by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ting analysis. Results: Fermented lotus extracts inhibited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by inhibiting preadipocytes differentiation. All of the groups fermented by 4 kinds of probiotics showed reduction in Oil Red O dye staining. Bifidobacterium breve showed the most effective inhibition of C/$EBP{\alpha}$. Bifidobacterium breve and Bifidobacterium longum showed the best downregulation of $PPAR{\gamma}$ expressions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the unfermented lotus group. Conclusions: Fermented lotus extrac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inhibition of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showing correlation with insulin sensitivity and lipid metabolism related with obesity.

3T3-L1 전지방세포에서 발효 삼정환의 지방 분화 억제 효과 (Effect of Probiotics-Fermented Samjunghwan on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 송미영;;김호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3T3-L1 전지방세포를 이용하여 발효 삼정환의 지방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삼정환을 5가지 주요 유산균으로 각각 발효시킨 후, Oil Red O 염색법으로 지방세포 분화 억제 여부를 알아보고, 이의 기전을 알기 위해서 지방생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transcription factor 및 지질 조절 효소의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하여 보았다. Oil Red O 염색 분석에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 Enterococcus faecium으로 발효한 삼정환에서 지방구 수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ranscription factor로 $C/EPB{\alpha}$, $PPAR{\gamma}$, UCP-2 및 콜레스테롤 조절과 관련된 효소인 HMG-CoA reductase의 4가지 유전자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는데, 발효시키지 않은 삼정환의 경우 농도가 $100{\mu}L/mL$ 이상일 때 네 가지 항목에서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발효시켰을 때는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 효과 억제효과가 있었는데,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이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은 동일 농도의 발효하지 않은 삼정환과 비교했을 때, Oil Red O 실험에서 염색된 지방구 수가 더욱 감소하였으며, $PPAR{\gamma}$, UCP-2, HMG-CoA reductase의 경우 농도가 $200{\mu}L/mL$일 때 각각 35%, 57%, 54%로 5가지 발효 삼정환 중 가장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에 지방분화 억제 효과를 가진 삼정환을 발효시키면 그 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은 $PPAR{\gamma}$, UCP-2, HMG-CoA reductase의 유전자 발현조절을 통해 지방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발효 삼정환은 항비만 혹은 항고지혈증 약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