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st reduction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7초

도시의 산업특성이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Cities on Fine Dust Levels)

  • 음정인;김형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45-455
    • /
    • 2020
  • Fine dust is one of the most critical environmental issues in Korea, and the government recognizes the need to establish customized reduction policie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Several studies on air pollutants investigate whether factories affect the distribution of fine dust in a particular region. However,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he entire industry sector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impacts of industrial characteristics on fine dust levels of 141 municipalities across Korea in 2016. A total of 23 variables were used, of which 12 referred to industries and 11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ch city. Due to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partial least squares (PLS)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he analysis identified 14 significant variables for PM10 and 13 for PM2.5.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local industrial characteristics can significantly influence fine dust level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customized reduction policies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LDA 기법을 이용한 미세먼지 이슈의 토픽모델링 분석 (Topic Modeling on Fine Dust Issues Using LDA Analysis)

  • 윤순욱;김민철
    • 에너지공학
    • /
    • 제29권2호
    • /
    • pp.23-2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의 미세먼지 관련 뉴스 데이터를 수집하여 LDA 분석을 통해 최적 토픽을 도출하였다. 최적 토픽으로 선별된 80개의 이슈를 미세먼지 정책의 시각에서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온과 같은 날씨와 관련된 정보와 미세먼지 농도가 관련되어서 이슈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다음으로 미세먼지 저감 대책의 일환으로 노후경유차 운행 제한 제도와 저감 장치 부착과 같은 이슈의 빈도수가 높았다. 국민에 대한 제도 변경 안내를 포함하여 시민과 운수업자와의 갈등도 주요한 토픽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수소차 보급과 같은 대안도 주요 토픽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미세먼지 관련 공기청정기 등 제품 관련 주제, 취약계층을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하는 정책과 관련된 주제, 연구개발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 관련 주제가 주요 화두로 제기되었다. 미세먼지 대책은 사회 이슈로 정부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토픽 상에서는 거시적인 정부정책 자체보다는 시민의 안전, 시혜적인 정책이나 이해관계자간의 갈등이 정부정책 변화와 연동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로 더스트의 고체탄소에 의한 환원반응속도 (Reduction Rate of Electric Arc Furnace Dust with Solid Carbon)

  • 박병구;이광학;김영홍;신형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7권1호
    • /
    • pp.34-4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고체탄소 첨가량에 의한 전기로 더스트의 환원반응속도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930~1080^{\circ}C$의 반응온도에서 환원 반응 속도식을 얻었으며, 반응시간에 따른 전기로 더스트의 아연제거율과 산화철의 금속화율을 구하였다. 또한 XRD 분석결과, 슬래그 잔재는 Akermanite[${Ca}_{2}{MgSi}_{2}{O}_{7}$]의 혼합물과 $SiO_2$가 잔존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도시 미세먼지 저감 식재를 위한 수종 선정 기준의 우선순위 도출 (Prioritization of Species Selection Criteria for Urban Fine Dust Reduction Planting)

  • 조동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72-480
    • /
    • 2019
  • 도심지 내 미세먼지 저감 식재를 위한 식물 소재 선정 시에는 식물의 흡착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식물의 잎 모양, 질감, 수피의 형태 등 형태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식물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에 대한 연구는 식물의 흡착 기능보다 흡수 기능에 대한 연구가, 실외식물보다 실내식물인 관엽식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다. 특히, 미세먼지 저감 수종 선정 기준이 구체적이지 않아 미세먼지 저감 식재를 위한 식물 소재 선정 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퍼지다기준 의사결정법(Fuzzy MCDM)을 활용하여 미세먼지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8가지 지표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도심 내 미세먼지 저감 식재를 위한 수종 선정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세먼지 관련 분야 전공자와 미세먼지 관련 연구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분석 결과, 미세먼지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 항목 중 잎 면적과 수종의 종류가 가장 높은 순위를 나타냈다. 그리고 잎 표면의 거칠기, 수고, 성장 속도, 잎의 복잡성, 잎 가장자리 형태, 수피 특징 순서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잎 표면이 거친 수종을 선정할 경우에는 잎에 털이 있고, 광택이 나며, 왁스층이 있는 수종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는 것이 좋다. 잎의 형태를 고려할 경우, 단일 잎보다 3종 혹은 2종 잎과 손바닥 형태의 잎을 선정하고, 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한 모양보다는 톱니 모양의 잎을 선별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잎의 표면에 흡착되는 표면적 비율을 높아지게 할 필요가 있다. 수피의 특성을 고려할 경우에는 피목이나 무늬종보다는 코르크층이 있고 껍질이탈이나 갈라짐이 관찰되거나, 앞으로 관찰될 가능성이 높은 수종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도심 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식재계획 시 식물의 미세먼지 흡착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식물의 형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식물 소재 선정 기준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도심지 내 수목 식재 계획을 위한 수종 선정 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탄소에 의한 전기로 분진 중 Zn, Pb, Cl, Fe, Cu 및 Cd화합물의 환원반응 (Reduction behavior of Zn, Pb, Cl, Fe, Cu and Cd compounds in EAF dust with carbon)

  • 이재운;김영진;서성규;이광학;김영홍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4호
    • /
    • pp.3-15
    • /
    • 2000
  • 전기로 더스트 중에 함유된 Zn, Pb, Cl, Fe, Cu 및 Cd의 건식 환원반응기구를 규몽하고자 탄소뿔 첨가한 더스트 Briquette를 제조하여 Ar 가스 분위기 하의 $800^{\circ}C$ ~ $1100^{\circ}C$반응온도에서 실험을 행하였다. 탄소에 의한 Zn 화합물으 환원반응은 온도상승에 따라 민감하게 나타났으며 반응초기에는 화학반응에 의한 음속단계로 활성화에너지 값은 약 120.6 kl/mole이었다. 한편, Pb와 Cl은 $PbCl_2$의 형태로 휘발되었으며 이들의 휘발제거율은 거의 일치하였다. 또한, 환원제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가 환원제 첨가시 보다 휘발제거율이 빨라 Pb의 대부분은 염화휘발에 의해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Cu는 염화휘발에 의해 최대 약 30% 제거되고 나머지 대부분은 Fe와 함께 더스트 중에 잔존하여 Cd은 $1000^{\circ}C$에서 15분만에 거의 100%의 휘발제거율을 나타내었다.

  • PDF

천연 다당류 먼지포집제를 이용한 지하철 터널 내 PM10 제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M10 Control in Subway Tunnels Using Natural Polysaccharide Dust Collecting Agent)

  • 이한섭;황수진;황현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2-129
    • /
    • 2017
  • Objectives: Most of the $PM_{10}$ in subway stations is spread by the train-induced wind from the tunnel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air quality in subway stations, it is important to remove the $PM_{10}$ from the tunnels. After the installation of PSD (platform screen doors), the influence of train-induced wind and $PM_{10}$ at the platform has decreased, but is estimated to have increased in subway tunne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rol of $PM_{10}$ in subway tunnels by applying a 500-fold diluted solution mixed with a humectant using a natural polymer. Methods: For this purpose, we tested the dust reduction effect in a laboratory and corrosion test and water pollution using fish and aquatic plants for the natural dust collecting agent. In the tunnel of a subway station, we used the natural dust collecting agent over 15 days.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PM_{10}$ control during operation, which accounts for more than 70% of subway dust. Results: As results, the natural dust collecting agent exhibited an excellent dust control effect, and it was safe for water quality and soil. It showed the effect of controlling $PM_{10}$ in the subway tunnel by 49.5- 64.7% over 15 days. The use of the dust collecting agent for the control of $PM_{10}$ could be confirmed in the subway.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learly explain the major portions of chemical components contained in $PM_{10}$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PM_{10}$ and to develop effective reduction measures to decrease the adverse effects of $PM_{10}$ in the subway.

EAF Dust Recycling Technology in Japan

  • Sasamoto, Hirohiko;Furukawa, Takeshi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Th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ast Asian Resources Recycling Technology
    • /
    • pp.9-18
    • /
    • 2001
  • 1. EAF Dust in Japan - Generation and Characteristics. The quantity of dust generated from EAF shops in Japan was estimated to be 520,000 tons/year in 1999. Extremely fine dust (or fume) is formed in the EAF by metal vaporization. Its characteristics such as chemical compositions, phases, particle size, leaching of heavy metal are mentioned. 2. EAF Dust Treatment Methods in Japan. In 1999, 61% of EAF dust was treated by regional zinc recovery processing routes, 25% went to landfill disposal, 4% was reused as cement material, and 10% was treated by on-site processing routes. The problems of EAF dust treatment methods in Japan are: (1) very high treatment cost, and (2) heavy environmental load (leaching of heavy metal, emission of dioxins, depletion of disposal sites, etc). It has been much hoped for that new dust management technology would be developed. 3. New technology of EAF dust treatment in Japan. In Japan, some new technologies of EAF dust treatment have been developed, and some others are in the developing stages. Following five processes are mentioned:. (1) Smelting reduction process by Kawasaki Steel, (2) DSM process by Daido Steel, (3) VHR process by Aichi Steel, (4) On-site dust direct recycling technology, and (5) Process technology of direct separation and recovery of iron and zinc metals contained in high temperature EAF off gas by the Japan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ur Metals.

  • PDF

지하역사 내 승하차 인원에 따른 식생바이오필터의 미세먼지 저감효과와 운전전략 (The Fine Dust Reduction Effect and Operational Strategy of Vegetation Biofilters Based on Subway Station Passenger Volume)

  • 이재영;김예진;김미주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3-18
    • /
    • 2023
  • A subway station is a prominent multi-purpose facility where the quantitative management of fine dust, generated by various factors, is conducted. Recently, eco-friendly air purification methods using air-purifying plants are being discussed, with the focus on biofiltration through vegetation. Previous research in this field has confirmed the reduction effects of transition metals such as Fe, which have been identified as harmful to human health.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ources of fine dust dispersion within subway stations and derive an efficient operational strategy for air-purifying plants that takes into account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fine dust within multi-purpose facilities. The experiment monitored regional fine dust levels through IAQ stations established based on prior research. Also,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time-series and correlation analyses by linking it with passenger counts at subway stations and the frequency of train stops. Furthermore, to consider energy efficiency, we conducted component-specific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derive the optimal operational strategy for air-purifying plants based on time-series comprehensive analysis data and confirm significant energy efficiency.

  • PDF

UV 화염감지기의 감지성능에 대한 분진분위기의 영향 (Influence of Dust Environment on the Detection Capability of Ultraviolet Flame Detector)

  • 김홍;호예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3-119
    • /
    • 1997
  • UV 화염감기의 분진분위기에서의 성능저하를 고찰하기 위하여 세제분말, 탄진 및 분말 소화약제의 분진운을 형성하였고 LPG 및 가솔린 화염을 사용하여 UV 화염감지기의 감지성능을 고찰하였다. 분진 분위기 하에서의 UV 화염감지기의 성능을 분진의 농도와 분진층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뚜렷한 증가를 보였으며, 분진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에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UV 화염감지기를 분진 분위기에서 사용한 경우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

전국 시도별 비산먼지 배출량 산정 (2001년도) (Estimation of Fugitive Dust Emiss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s)

  • 김현구;정용원;홍지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63-276
    • /
    • 2004
  • According to the annual emission estimates of U.S.A., fugitive dust, the particulate matter entrained in the ambient air which is caused from man-made or natural activities such as movement of soil, vehicles, equipments and windblown dust, contributes 90% of PM$_{10}$ emission. In spite of an importance of fugitive dust emission in PM$_{10}$ estimation, it is excluded in the national emission inventory of Korea so far. In this paper, an emission inventory of fugitive dust for each region and in major cities throughout the country, which is the first time in Korea these values have been compiled, is presented. Sources of fugitive dust emission have been classified into paved/unpaved roads, construction operations, agricultural operations, and natural sources. The emission factors of the existing fugitive dust emission were reassessed in a way that significantly improved the reliability of the estimated result. The Korea's first national emission inventory of fugitive dust by administrative districts proposed in this paper would provide scientific reference data for establishing an reduction strategy of PM$_{10}$ and preparing effective control measures, and would contribute to academic achievement in the atmospheric environments field and the establishment of CAPSS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