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st reduction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7초

팽창흑연을 혼입한 시멘트 경화체의 흡착 특성 (Fine Dust Adsorption Properties of Cement Matrix Mixed with Expanded Graphite)

  • 이진원;이창우;황우준;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5-106
    • /
    • 2022
  • Now, the world is increasingly anxious about fine dust due to abnormal temperatures caused by global warming and increased yellow dust caused by desertification,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ointed out that more than 99% of the world's population is exposed to fine dust. In this situation, the reduction rate of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of the matrix was tested by using expanded graphite, an eco-friendly and porous material, to improve air quality. As a result of the test, since expanded graphite is a material that expands between layers compared to conventional graphite, the reduction rate of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decreases as the replacement rate of expanded graphite increases.

  • PDF

액상 첨가제 살포 방법에 의한 밀폐형 돈사에서의 분진 저감 평가 (Assessment of Dust Reduction in the Enclosed Pig Building by Spraying Method with Liquid Additives)

  • 김기연;고한종;김치년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7-104
    • /
    • 2008
  • 본 연구는 지금까지 활용되었거나 새로이 제안된 액상 첨가제를 돈사에 살포하여 분진 농도의 경시적 변화를 관찰하여 제거 효과에 대해 객관적으로 비교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들을 도출했다. 1. 살포 전 밀폐형 돈사내 분진 농도는 다른 연구자의 결과와 비교시 전반적으로 낮았다. 2. 온도의 경우는 살포 후 24시간까지 돈사 내부와 외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상대습도는 살포 후 1시간까지 증가하여 외부와 약 10% 가량의 차이를 보였다. 3. 평가대상 모든 액상 첨가제들의 살포직후 분진 평균 저감율은 살포 전 농도 대비 약 30%로 나타났다(p<0.05). 4. 살포 3시간 이후부터는 콩기름을 제외하고 다른 액상 첨가제들의 분진 농도에 대한 경시적 저감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5. 평가대상 모든 액상 첨가제들 중 콩기름의 살포가 제거 효율성 및 안전성 측면 모두 돈사 분진 제어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첨가제였다.

  • PDF

The Direct Recycling of Electric Arc Furnace Stainless Steelmaking Dust

  • Zhang, Chuanfu;Peng, Bing;Peng, Ji;Lobel, Jonathan;Kozinski, Janusz A.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Th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ast Asian Resources Recycling Technology
    • /
    • pp.404-408
    • /
    • 2001
  • This paper focuses on the pilot-scale investigation of direct recycling of electric arc furnace (EAF) stainless steelmaking dust. The direct recycling of EAF dust is to make pellets with the mixture of the dust and the reducing agent carbon, then introduce the pellets to the EAF. The valuable metals in the dust are reduced and get into the steel as the alloying elements. Experiments simulating direct recycling in an EAF were performed using an induction furnace. But it seems difficult to reduce all metal oxides in the dust so that some metal reducing agents added in the late stage of reduction process. The valuable metals in the dust were reduced partly by carbon and partly by metal reducing agent for the economical concern. The recovery of iron, chromium and nickel from the flue dust and the amount of metal oxides in the slag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recycling of EAF stainless steelmaking dust is practicable. It wes also found that direct recycling of flue EAF stainless steelmaking dusts does not affect the chemistry and quality of stainless steel produced in the EAF. It is benefit not only for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but also for the recovery of valuable metal resources in this way.

  • PDF

기상조건별 비산먼지 관리체계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Fugitive Dust Control System for Meteorological Conditions)

  • 김현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73-583
    • /
    • 2005
  • Fugitive dust, which is emitted in the ambient air without first passing through a stack or duct designed to control flow, is frequently generated by means of wind erosion from storage yards at Pohang Steel Wokrs. The size distribution of fugitive dust is mostly in the range of coarse particulate which is deposited as soon as emitted and less harm to human health; however $20\%$ of fugitive dust contains PM 10 known as one of most harmful airborne pollutant. Consequently, effective control and reduction of fugitive dust is strongly requested by the local society, but it is not easy so far because the generation and dispersion of fugitive dust highly depends on meteorological conditions, and it being occurred for irregularity. This research presented a fugitive dust control system for each meteorological condition by providing statistical prediction data obtained from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probability of generating the threshold velocity at which the fugitive dust begins to occur, and the frequency occurring by season and by time of the wind direction that can generate atmospheric pollution when the dispersed dust spreads to adjacent residential areas. The research also built a fugitive dust detection system which monitors the weather conditions surrounding storage yards and the changes in air quality on a real-time basis and issues a warning message by identifying a situation where the fugitive dust disperses outside the site boundary line so that appropriate measures can be taken on a timely basis. Furthermore, in respect to the spraying of water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fugitive dust from the storage piles at the storage yard, an advanced statistical meteorological analysis on the weather conditions in Pohang area and a case study of fugitive dust dispersion toward outside of working field during $2002\∼2003$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decide an optimal water-spraying time and the number of spraying that can prevent the origin of fugitive dust emis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create extremely significant effects in improving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actual reduction of the fugitive dust produced from the storage yard of Pohang Steel Works by providing a high-tech warning system capable of constantly monitoring the leakage of fugitive dust and water-spray guidance that can maximize the water-spraying effects.

탄소에 의한 전기로 분진의 환원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Electric Arc Furnace Dust with Carbon)

  • 진영주;김영진;박병구;이광학;김영홍;이재운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7권3호
    • /
    • pp.27-35
    • /
    • 1998
  • 전기로 제강업체에서 생성되는 분진을 매립할 경우 토양 및 수질오염등의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지만 적절한 처리공정을 거치게 되면 고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는 Fe, Zn, Pb, Cd 등의 원소들이 함유되어 있다. 이에 국내외 제강업체에서는 폐자원의 재자원화 측면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억제 차원에서 이러한 전기로 분진중 유가금속의 회수를 위한 처리공정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으나, 현재 전기로 분진의 대부분은 재활용 처리되지 않고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로 분진에 함유된 산화철을 Fe로 회수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제 전기로 분진의 화학적 조성과 유사한 시료를 제조하여 $1500^{\circ}C$ Ar 분위기 하에서 탄소첨가량 및 연기도의 변화가 슬래그내의 $Fe_2O$ 회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합성시료의 고온용융특성 조사에서 탄소환원당량 대비 탄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연화점 및 용융점이 증가하였으며 슬래그중 $Fe_2O$의 환원속도는 탄소환원당량대비 탄소첨가량이 100%, 염기도 1.7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Fe_2O$의 환원반응차수는 거의 1차반응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회귀분석과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의 실효성 및 국민청원 분석 (An Analysis of Effects of Emergency Fine Dust Reduction Measures and National Petition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Text Mining)

  • 김애니;정소희;최현빈;김현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7권11호
    • /
    • pp.427-434
    • /
    • 2018
  • 최근 서울시에서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로 '대중교통 무료' 정책과 '시민 참여형 차량 2부제'를 시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두 교통정책에 대한 실효성을 파악한 뒤, 향후 미세먼지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교통이 미세먼지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으로, 두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과 향후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은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은 대부분 부정적이었고 국외 요인이 미세먼지의 주된 원인이라는 시민들의 생각과 달리 국내 요인의 영향도 상당하였다. 또 국민청원을 통해 시민들이 원하는 구체적인 정책의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위 결과를 토대로 향후 미세먼지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스마트건설에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감시드론 및 Water Fog 분사 드론을 활용하기 위한 사전 요건 분석 (Analysis of Prerequisites for Using Surveillance Drones and Water Fog Spraying Drones for Fine Dust Reduction in Smart Construction)

  • 김영현;한재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49-250
    • /
    • 2021
  • The use of smart equipment such as drones is increasing in construction sites. In particular, there are frequent cases where two or more drones must be used at the same time. This leads to different considerations than when operating a single uni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quirements to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the operation of drones that monitor fine dust and drones that reduce fine dust in order to reduce fine dust generated in construction sites.

  • PDF

전기로 분진중 아금산화물의 환원속도 (Reduction Kinetics of Zinc Oxide in EAF Dust)

  • 문석민;김태욱;민동준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1권4호
    • /
    • pp.37-43
    • /
    • 2002
  • 전기로 분진의 유해성을 제거하고 인공자원으로써의 가치를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되고 있는 고온용융법을 이용한 전기로 분진의 처리공정에 있어서 유가금속 특히 아연의 환원 거동에 관한 연구를 속도론적인 측면에서 수행하였다. 전기로 분진의 구성 성분인 ZnO와 Franklinte의 환원 반응이 CO gas의 분압에 대하여 1차 반응인 chemical reaction에 의해 지배를 받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ZnO와 Franklinite의 CO 가스에 의한 환원 반응에 있어서 활성화 에너지는 각각 44.95 kcal/mol, 4.9546 kcal/mol로 나타나 화학반응 단계가 전체 반응의 율속 단계임을 알 수 있었다.

배연탈질을 위한 저온 SCR 기술 도입에 따른 시나리오별 경제성 분석 (A Study on the Economic Analysis of Low-Temperature SCR Technology for NOx Reduction by Scenarios)

  • 홍성준;이유아;정순관
    • 에너지공학
    • /
    • 제29권2호
    • /
    • pp.10-22
    • /
    • 2020
  • 미세먼지 문제 해결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정부에서는 강도 높은 미세먼지 관련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 미세먼지의 전구체 중에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배연탈질기술로서 선택적 촉매환원법(SCR)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관련 정부정책과 시장 및 기술개발 현황을 조사하고, SCR 기술이 산업체에 적용되는 경우를 Case별로 구분하여 시나리오별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나리오별 경제성 분석의 결과는 NPV로 산출하였으며, 탈질설비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기업(Case 1)이 일반 SCR 기술을 신규로 도입하는 경우(Scenario 1-1)와 저온 SCR 기술을 신규로 도입하는 경우(Scenario 1-2)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탈질설비가 이미 구축되어 있는 기업(Case 2)이 일반 SCR 기술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Scenario 2-1)와 저온 SCR 기술로 대체하는 경우(Scenario 2-2)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시나리오별 NPV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Dust accumulation effect on solar thermal energy systems performance

  • Alsaad, Mohammad A.
    • Advances in Energy Research
    • /
    • 제3권3호
    • /
    • pp.157-165
    • /
    • 2015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natural dust accumulation on the glass cover of solar thermal energy conversion systems. Four similar, locally manufactured, flat plate solar collectors are used. All collectors are South oriented with tilt angle of $40^{\circ}$. The glass cover of one collector is kept clean of dust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hile the second collector is cleaned at the beginning of each month. The third collector is cleaned every two months while the fourth collector is kept un-cleane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of four months. The calculated parameters are the solar heat gain rates and the corresponding values of the thermal efficiency. The result of the present work indicates that the percentage of fractional reduction of the useful heat gain rate due to dust accumulation during a period of one and two months is 11.4% and 17.0%, respectively. The percentage decrease of thermal efficiency during the same duration periods is 4.0% and 6.1%,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fractional reduction of the useful heat gain rate due to dust accumulation during a period of three and four months is 27.8% and 31.9%, respectively. The percentage decrease of monthly thermal efficiency during the same duration period is 10.2% and 11.3%,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