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ctus Arteriosus, Patent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18초

Correlation of B-type natriuretic peptide levels and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in preterm infants with patent ductus arteriosus

  • Jeong, Hyun Ah;Shin, Jeonghee;Kim, Eunji;Lee, Eun Hee;Choi, Byung Min;Son, Chang Sung;Lee, Joo W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4호
    • /
    • pp.183-18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according to postnatal age, between plasma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levels and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for the assessment of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in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Methods: We enrolled 42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who underwent serial echocardiographic evaluation with simultaneous plasma BNP measurements until ductal closure. The correlations between BNP levels and the following 4 representative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were studied: diameter of the ductus arteriosus (DA), ratio of the left atrial diameter to the aortic diameter (LA/Ao), ratio of the PDA diameter to the infant's left pulmonary artery diameter (PDA/LPA), and the antegrade diastolic flow of LPA (DFLPA). Results: BNP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magnitude of the ductal shunt, comprising the DA diameter, PDA/LPA ratio, LA/Ao ratio, and antegrade DFLPA for the overall study period. The earliest significant correlation, starting from postnatal day 2, was observed between the LA/Ao ratio and BNP levels. The PDA/LPA ratio and the antegrade DFLPA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NP levels postnatal day 3 onward, and with the DA diameter, postnatal day 5 onward. Conclusion: BNP levels and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ut the significance of the correlations differed according to the postnatal age, especially during the first few days of life.

개방성 동맥관 합병 심실중격결손증 -7례 보고- (Ventricular Septal Defect Associated With Patent Ductus Arteriosus -A Report Of 7 Cases-)

  • 이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2권3호
    • /
    • pp.233-239
    • /
    • 1979
  • Ventricular septal defect associated with patent ductus arteriosus is well known cardiac anomaly that can be treated successfully by operation. This anomaly is found at low frequency. Seven cases of the combined malformation were operated on during the period from 1959 to 1978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ight heart catheterization and retrograde aortogram can diagnose the disease correctly. Staged operation in one case and one-stage operation in 5 patients were done. In all cases of the open heart surgery the closure of the ductus was done by transpulmonary suture of the PDA opening. Among 6 patients of the open heart surgery 2 operative death [33.3%] and one late death [total 50%] were noted. Four type II and one type I and one Type IV VSDs were found. In one case the anomaly was accompanied with aortic insufficiency by herniation of the right coronary cusp through Type I VSD.

  • PDF

액와 소개흉술에 의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Closure of the Patent Ductus Arteriosus in Premature Infants by Axillary Minithoracotomy)

  • 조정수;윤용환;김정택;김광호;홍영진;전영훈;신혜란;백완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2호
    • /
    • pp.837-842
    • /
    • 2007
  • 배경: 미숙아는 흔히 동맥관의 폐쇄가 지연되어 혈역학적으로 의미 있는 좌우단락을 초래함으로 환아의 성장 및 정상 발육에 악영향을 미친다. 저자들은 액와 소개흉술을 통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 폐쇄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4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동맥관 개존증을 동반한 재태기간 37주 미만의 미숙아 중 인도메타신 부적응증 또는 치료 실패 등으로 수술적 교정을 받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 당시 재태기간은 25+3에서 34+6주 사이로 평균 28.8+3.4주이었고, 출생 후 평균 $15.6{\pm}6.3$일째에 수술하였다. 수술 당시의 체중은 680에서 2,100 g 사이로 평균 $1,174{\pm}416\;g$이었는데 이 중 1,500 g 미만은 16명이었고 1,000 g 미만은 9명이었다. 수술은 모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이루어졌는데 측와위에서 왼팔을 현수시킨 자세로 길이 $2{\sim}3\;cm$의 액와 소개흉술을 통하여 접근하였다. 동맥관 크기는 평균 $3.8{\pm}0.3\;mm$로 동맥관의 폐쇄는 주로 클립을 사용하였는데, 2예에서 박리 중 동맥관 파열로 동맥관 분리술(division)을 시행하였다. 결과: 술 전부터 인공호흡기에 의존해 온 환아 12명 중 10명이 술 후 호흡기 증상의 호전과 함께 평균 9.7일 사이에 인공호흡기 이탈이 가능하였다. 수술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사망이나 합병증은 없었으나 병원 내 만기 사망이 2예에서 있었는데 1예는 술 후 41일째 폐렴으로, 나머지 1예는 술 후 131일째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액와 소개흉술을 통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폐쇄는 혈역학적 불안정성을 개선하여 미숙아의 성공적인 성장 및 정상 발달에 도움이 되었다. 수술의 침습도 및 이에 따른 위험성은 매우 적어 조기에 적극적인 외과적 요법이 권장된다.

동맥관개존증에 있어 굽은액와 개흉술의 적용 (Curved Axillary Thoracotomy in Patent Ductus Arteriosus)

  • 신용철;안재범;김인섭;정성철;김우식;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2호
    • /
    • pp.957-959
    • /
    • 2006
  • 근육보존 개흉술은 경감된 술 후 통증, 근력의 보존 및 미용상 이점 때문에 후측방 개흉술의 대안으로 알려져 있으며, 굽은액와 개흉술은 근육보존 개흉술의 일종이다. 2003년 7월부터 2004년 8월 사이에 국립의료원 흉부외과에서 굽은액와 개흉술을 시행 받은 동맥관개존증 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들을 임상기록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시행한 수술은 동맥관 결찰술 4예, 동맥관 분리술 1예였고, 술 후 합병증은 없었다. 굽은액와 개흉술은 근육보존 및 미용 효과의 장점을 가지면서 동맥관개존증 수술에서 응용될 수 있는 개흉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방사성동위원소심혈관조영술상(放射性同位元素心血管造影術上) 관찰(觀察)된 주폐동맥류(主肺動脈瘤)와 동맥관개존증(動脈管開存症)이 병발(竝發)된 1예(例) (A Case of Pulmonary Artery Aneurysm Associated with Patent Ductus Arteriosus: Detection by Radionuclide Cardiac Angiography)

  • 손인;이명철;조보연;고창순;윤용수;홍창의;노준량;연경모;한만청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5-79
    • /
    • 1981
  • A Case of main pulmonary artery aneurysm in a 9-year-old boy with patent ductus arteriosus is presented. In this case presented with a huge mass density on the chest X-ray, radionuclide cardiac angiography showed a vascular lesion, which was confirmed as an aneurysm of the main pulmonary artery at roentgenologic angiogram. The aneurysm appeared following an episode of bacterial endocarditis and pulmonary hypertension. A successful aneurysmectomy with multiple ligation of ductus arteriosus was performed.

  • PDF

원통형 모양 동맥관의 경피적 폐쇄술에서의 Amplatzer Vascular Plug 의 사용 (Use of an Amplatzer Vascular Plug to occlude a tubular typ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 최은영;장소익;김수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9호
    • /
    • pp.1035-1037
    • /
    • 2009
  • 동맥관 개존증은 선천성 심질환 중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크기나 중등도에 상관없이 폐쇄가 필요한 질환이다.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은 개흉술에 비하여 합병증의 위험이 적고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며, 치료 성적도 우수하여 최근에는 표준적인 치료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원통형 모양의 동맥관 개존증은 흔히 사용하는 분리형 코일이나 ADO로 시술하기에는 여러 가지로 어려운 점이 많다. 저자들은 이러한 형태의 동맥관을 폐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추천되는 것보다 큰 크기의 AVP를 이용하여 원통형 동맥관이 메워지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성공적인 동맥관 개존증 폐쇄술을 시행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성인의 동맥관 개존증 결찰술 시행후 심흉비의 변화 -30례 보고- (The Change of Cardiothoracic Ratio after Ligation of Patent Ductus Arteriosus in Adult -Report of 30 cases-)

  • 황상원;이연재;김한용;유병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22-26
    • /
    • 1999
  • 배경: 성인의 동맥관개존증치료에는 폐고혈압, 동맥벽 석회화, 동맥관의 동맥류화와 같은 어려움이 있다. 저자들은 동맥관 결찰후에 심장의 크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마산 삼성 병원에서는 1987년에서부터 1997년 까지 30명의 성인 동맥관 개존 환자를 결찰법으로 수술 했다. 결과: 이들은 남자가 9명 이었으며 여자가 21명이었다. 나이는 16세 에서 44세 였고 평균 26.1세였다. 이들 중 폐동맥 고혈압은 15례에서 있었고 9명의 환자에서 NYHA class III 이상의 운동시 호흡곤란이 있었다. 수술 방법은 모두 테프론을 덧댄 결찰법을 시행 하였고, 수술후 합병증은 3례의 창상 감염과 1례의 일시적인 애성이 있었다. 수술전 심흉 비는 54.7%에서 수술후 51.9%로 변화 되었다. 심흉비의 변화는 울혈성 심부전을 가진 환자들에서 더욱 특징적 이었는데 수술전 64.8%에서 수술후 58.5%로 변화 되었다. 수술과 연관된 사망은 없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에서 성인에서 동맥관을 결찰한 뒤에 심흉비가 감안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