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ctile shear zon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19초

영광(靈光) 부근(附近) 연성전단대(延性剪斷帶)(전주전단대(全州剪斷帶))의 성질(性質)과 교차양상(交叉樣相)에 관(關)하여 (On the Properties and Intersection Feature of the Ductile Shear Zone (Chonju shear zone) near Yongkwang-Eub)

  • 전경석;장태우;이병주
    • 자원환경지질
    • /
    • 제24권4호
    • /
    • pp.435-446
    • /
    • 1991
  • Ductile shear zones developed in Jurassic granites in the Yonggwang area show NE trend at the eastern part and nearly EW trend at the western part, respectively. Judged from shear sense indicators, they have resulted from dextral strike-slip movement. The intersection of both trends is thought to be due to the truncation and offset of NE shear zone Chonju Shear zone by the brittle Yonggwang fault which runs in near EW direction with sinistral movement sense. The simple shear deformation was predominate through the deformation in this ductile shear zone. Based on this deformation mechanism, the shear strain (${\gamma}$) estimated in domain 1 increases from 0.14 at the shear zone margin to 9.41 toward the center of shear zone. Total displacement obtained only from this measured section(JK 59 to JK14) appecars to be 1434.5 meters. The sequential development of microstructure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weakly-foliated, well-foliated and banded-foliated stages. In the weakly-foliated stage dislocation glide mechanism might be predominant. In the well-foliated stage grain boundary migration and progressive misorientation of subgrains was remarkable during dynamic recovery and recrystallization. In the banded-foliated stage grain boundary sliding and microfracturing mechanisms accompanied with crushing and cracking were marked. According to strain analysis from quartzites of the metasedimentary rocks, strain intensity (${\gamma}$) of the samples within the ductile shear zone ranges from 2.7 to 5.7, while that of the samples out of the ductile shear zone appears to be about 1.7.

  • PDF

Impact of shear wall design on performance and cost of RC buildings in moderate seismic regions

  • Mahmoud, Sayed;Salman, Alaa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1권5호
    • /
    • pp.489-503
    • /
    • 2021
  •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seismic response of RC shear wall buildings of 5-, 6-, 7-, 8-, 9-, and 10-story designed as conventional and ductile and located in moderate seismic zone in Saudi Arabia in accordance with the seismic provisions of the American code ASCE-7-16. Dynamic analysis is conducted using the developed models in ETABS and the design spectra of the selected zone. The seismic responses of a number of design variations are evaluated in terms of story displacements, drift, shear and moments of both conventional and ductile building models as performance measures and presented comparatively. In addition, pushover analysis is also performed for the lowest and highest building models. Cost estimate of ductile and conventional walls is evaluat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in terms of weight of reinforcement bars. In addition, due to the complexity of design and installation of ductile shear walls, sensitivity analysis is performed as well. It is observed that conventional design considerably increases induced seismic responses as well as cost compared to ductile one.

지리산 일대의 연성전단변형 (Ductile Shear Deformation around Jirisan Area, Korea)

  • 류충렬;강희철;이상원
    • 암석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3-69
    • /
    • 2019
  • 영남육괴 남서부인 지리산지구의 편마암복합체에 발달하는 연성전단변형의 기하학적 및 운동학적 특성과 연성전단변형을 받은 우백질편마암에 대해 SHRIMP 저어콘 U-Pb 연대측정을 수행하고 연성전단변형의 시기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편마암의 엽리를 연성변형에 의해 생성된 전단엽리들이 절단하고 있으며, 광역적인 분포를 나타내고 있어 이 지역의 편마암은 두 번 이상의 강력한 연성변형을 겪었음을 지시한다. 전단엽리면에 발달한 신장선구조는 북동 방향에 완만한 침강각을 보여 주향이동성 전단운동의 존재를 지시하며, 신장선구조를 포함하고 전단엽리면에 직교하는 단면에서는 우향의 전단감각이 우세하게 발달한다. 연성변형전단의 공간적 분포는 남북 내지 북북동 방향이 우세한 우향의 전단대가 중앙부 및 동부에서 대상 분포로 발달된 특성을 보이며, 서쪽부에서는 호남전단대의 일반적인 방향성인 북동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다. 강한 전단변형을 받은 우백질편마암의 2개의 시료에서 구한 U-Pb 일치연령은 각각 $1,868{\pm}3.8Ma$$1,867{\pm}4.0Ma$로 연구지역 일원에서 보고된 편마암류들의 U-Pb 연대측정 결과와 일치한다. 연구지역에서 분포하는 전단변형을 받은 편마암류, 편마암류를 관입한 변형된 염기성 암맥과 화강암류 그리고 변형 특성이 관찰되지 않는 화성암류들의 관입 시기를 고려할 때, 연성전단 변형작용은 약 260 Ma-230 Ma 동안 섭입작용과 관련된 화강암질 화성활동 이후인 약 230~220 Ma에 한반도 충돌조산운동과 관련되어 발생하였다.

변형된 청산 화강암의 압쇄암화작용시의 변형온도 - 변형된 청산 화강암의 구조 해석 - (The temperature condition for the mylonitization of the Cheongsan granite, Korea)

휨항복 후 전단 파괴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성능 저하에 관한 연구 (Shear Deterioration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Failing in Shear after Flexural Yielding)

  • 이정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466-475
    • /
    • 2001
  • 휨항복 후 전단 파괴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 성능 저하가 예측되었다. 휨항복 후 철근콘크리트 보에는 소성 힌지 구간이 형성되며 축방향 변형률이 급격히 증가한다. 축방향 변형률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콘크리트 유효 압축 강도가 감소하며 철근콘크리트 보의 잠재 전단 강도는 감소한다. 제안된 전단 성능 저하 예측법은 이와 같은 휨항복 후 전단 파괴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 파괴 특성을 고려한 트러스 모델에 기본을 두고 있다. 해석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실제 부재 축방향 변형률 $\varepsilon$x 값을 RA-STM에 대입하여 고정한 후에 그 부재의 잠재 전단 강도를 구하였다. 주어진 $\varepsilon$x값의 증가에 의하여 보의 잠재 전단 강도가 휨항복 시의 전단력에 도달할 때의 부재 변형 능력을 그 부재의 최대 연성 능력으로 하였다. 예측된 부재 변형 능력은 보통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시험체의 부재 변형 능력을 최대 35% 과소 평가하였지만, 그 차이는 전단보강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시험체에 대하여 예측된 부재 변형 능력은 실제 부재 변형 능력을 최대 20% 과대 평가하였다.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 변형 능력의 예측은 콘크리트의 유효 압축 강도νf ck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보의 전단 변형 능력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사인장 균열과 직각 되는 방향의 변형률 $\varepsilon$$_1$가 큰 경우의 νf ck 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경상북도 북후면-평은면 지역에 발달된 예천전단대의 구조적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Yecheon Shear Zone in the Pukhumyeon-Pyeongeunmyeon area, Gyeongsangbukdo, Korea)

강원도(江原道) 임계지역(臨溪地域)의 지질구조(地質構造)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Imgye Area, Kangweondo, Korea)

  • 김정환;기원서
    • 자원환경지질
    • /
    • 제24권1호
    • /
    • pp.43-55
    • /
    • 1991
  • The Imgye area, in the NE Taebaegsan Region, consists of Precambrian granites and schist complex at the base and Paleozoic sedimentary rocks and amphibolite at cover. The granites in the area were previously thought to be Paleozoic in age, but recent geochronological data yields isotopic age ranging from $1837{\pm}82Ma$ to $2108{\pm}82Ma$ by Rb-Sr whole rock method. Therefore, basement-cover relations in the area should be reexamined. During the study, mylonite zone recognized along the contact boundary between Precambrian granites and Cambrian Jangsan Quartzite Formation. Mylonite zone has 150 - 250 m in width. Mylonitic rocks can divide into two groups; quartz mylonite derived from Jangsan Formation and mylonitic granites from Precambrian granites. Intensity of mylonitic foliation decreased toward the north. Amphibolite occurs as an intrusive sills within mylonite zone. Mineral fabrics and small scale shear zones are commonly seen in amphibolite. It indicates that intrusive age of amphibolite is synchronous to the formation of mylonite zone. Mylonite zone was reactivated as ductile thrust faults and forms the hinterland dipping imbricate zone during the Cretaceous Bulkuksa Orogeny. The near parallelism of mineral stretching lineation and long axis of strain ellipes indicates that the area is affected by a homogeneous pure shear flattening together with the variable components of simple shear.

  • PDF

강진 인근 쥬라기 엽리상 화강암류의 CHIME 모나자이트 연대측정 (CHIME Monazite Ages of Jurassic Foliated Granites in the Vicinity of the Gangjin Area, Korea)

  • 조등룡;기원서
    • 암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01-115
    • /
    • 2007
  • 순창전단대의 남쪽 연장이라 여겨지는 강진 인근에 분포하는 우수향 연성전단대의 엽리상 화강암류 2시료에 대한 CHIME 모나자이트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중립질 흑운모 화강암과 조립질 흑운모 화강암의 관입시기에 해당하는 $183.6{\pm}2.2Ma$(MSWD=0.21)와 $171.7{\pm}4.0Ma$(MSWD=0.57)를 각각 얻었다. 이 연구의 엽리상 화강암에서 관찰되는 석영과 장석의 미구조적 특징은 순창전단대의 임실-남원 지역 쥬라기(약 180 Ma) 엽리상 화강암류에서 보고된 것과 대단히 흡사하며, 우수향의 연성전단작용이 $300{\sim}550^{\circ}C$의 온도조건에서 일어났음을 제한한다. 이 연구의 엽리상 화강암이 임실-남원 지역의 쥬라기 엽리상 화강암류와 유사한 냉각과정을 거쳤다고 가정하면 강진 지역의 우수향 전단작용의 시기는 172 Ma와 150 Ma사이에 일어났을 것이고, 이는 기존의 CHIME 모나자이트 연령에 근거한 추정보다 약 10 Ma 후기이다.

영주지역 압쇄암의 공학적 특성 연구 (Engineering Properties of Mylonite in the Youngju Area)

  • 김성욱;최은경;양태선;이규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0호
    • /
    • pp.35-43
    • /
    • 2011
  •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영주댐 건설로 인해 이설되는 중앙선 철도 건설 예정지로 수 km에 걸쳐 연성전단작용에 의한 습곡과 압쇄암이 분포한다. 연성전단대는 지질시대 동안 작용한 단층작용으로 변형되어 복잡한 지질구조를 보인다. 연성전단대는 고온고압의 지하십부(>8km)에서 작용한 변형에 의한 광물의 재결정 작용으로 엽편상의 유동조직을 가지는 압쇄암이 발달하며, 이로 인해 지표부근(<2km)의 변형으로 형성된 단층대와 구별되는 공학적 특성을 가진다. 압쇄암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편으로 제작된 암석을 대상으로 변형률과 변형에 수반된 압축구조의 모양을 분석하였다. 단층대의 변형된 모양은 엽리상의 편원(oblate)한 모양이 우세한 반면 압쇄대는 광물의 신장에 의한 편장(prolate)한 형태가 우세하다. 변형률은 변형이전 상태를 기준으로 단층대가 1.2배미만의 변형을 보이는 것에 비해 압쇄대는 최대 2.5배의 변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연속면을 기준으로 적용한 암반분류에서 경암의 일축압축강도는 연암정도의 강도를 보였으며, 일정 시간 수침 후에 강도의 변화가 관찰 되었다. 본 연구결과 조사된 암석들의 공학적 특성은 광물조성과 화학 조성에 기초한 풍화저항력이 비교적 높은 것을 고려할 때 압쇄작용에 수반된 미세균열구조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압쇄암이 넓게 분포하는 지역에서 터널굴착을 하는 경우, 미세균열에 의한 팽창과 지하수 유입에 의한 강도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공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장방형 철근 콘크리트 전단벽의 연성 보강 (Ductility Confinement of RC Rectangular Shear Wall)

  • 강수민;박홍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530-539
    • /
    • 2002
  • 전단벽의 연성도 확보를 위한 단부횡보강 설계에 있어서, 현재 설계기준들은 경험적이며 강제적이다. 즉, 현재 설계기준은 연성도 요구량에 관계없이 단부횡보강영역과 상세를 정해 놓고 있으며, 따라서 성능기초설계에 부적합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능기초설계에 적합한 전단벽의 연성도 설계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단부횡보강영역에 따른 전단벽의 연성도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압축대를 모델링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횡보강영역을 갖는 시험체에 편심축하중을 가력하였다. 실험연구를 통하여 횡보강된 벽체 압축대의 강도, 연성도, 파괴모드 등을 연구하였으며, 벽체 단면 전체에서 단부 횡보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연성도 및 파괴시점을 조사하기 위하여 비선형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과 해석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전단벽의 연성도 설계방법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설계방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연성도 요구량에 맞게 단부횡보강영역과 횡보강량을 정확히 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벽체의 연성거동을 보장하는 동시에 경제적인 벽체설계가 가능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