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ing constant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5초

시클로덱스트린과의 포접에 의한 케토코나졸의 용해성 및 용출 증가 (Improvement of Solubility and Dissolution of Ketoconazole by Inclusion with Cyclodextrin)

  • 박기배;안홍직;장영수;서보연;이광표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4권2호
    • /
    • pp.85-94
    • /
    • 1994
  • Inclusion complexes of ketoconazole (KT) with ${\alpha}-$, ${\beta}-cyclodextrin$ (CD) and dimethyl-${\beta}-cyclodextrin$ $(DM{\beta}CD)$ in a molar ratio of 1:2 were prepared by freeze-drying and solvent evaporation methods. The interactions of KT with ${\alpha}-CD$, ${\beta}-CD$ and $DM{\beta}CD$ in aqueous solution and in solid state were investigated by solubility study, infrared (lR) spectroscopy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 stability constant of $KT-DM{\beta}CD$ inclusion complex (lC) was found to be the largest among three inclusion complexes. Clear differences in IR spectra and DSC curves were observed between inclusion complexes and physical mixtures (PM) of KT-CDs. It was also shown by IR spectra and DSC curves that solvent evaporation method might be. superior to the freeze-drying method in preparing the inclusion complexes of KT-CDs. The dissolution rate of KT was markedly increased by inclusion complex formation with CDs in the buffer solution at pH 4.0 and pH 6.8. The mean dissolution time (MDT,min), which represents the rapidity of dissolution, was in the order of $KT-DM{\beta}CD$ IC (3.20) < $KT-{\beta}-CD$ IC (4.36) < $KT-{\alpha}-CD$ IC (6.99) < $KT-{\alpha}-CD$ PM (17.46)< $KT-{\beta}-CD$ PM (19.36) < $KT-{\beta}-CD$ PM (28.53). The dissolution rates of KT-CD ICsprepared by solvent evaporation method were faster than those of KT-CD ICs prepared by freeze-drying method.

  • PDF

상주 전통곶감의 제조과정 중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angju Traditional Dried Persimmons during Drying Process)

  • 강우원;김종국;오상룡;김준한;한진희;양진무;최종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86-391
    • /
    • 2004
  • 상주 전통곶감의 고품질화를 위하여 곶감의 제조과정 중이 화학적인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건조기간 중 수분함량은 7∼14일 경에 감소 또는 완만하여 이 시기에 2차 표피의 형성을 예측할 수 있고, 이 표피가 곶감의 품질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건시의 수분함량을 45∼55%로 본다면 건조시작으로부터 25일 경에 반건시 제품이 완성됨을 알 수 있었다. 수분활성도 변화는 수분의 감소가 둔화되는 시기에 저하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2차 표피의 형성이 수분활성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량변화는 21일경 가지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는 완만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곶감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남장동 및 복룡동 곶감에서는 2차 표피가 형성되는 7∼14일 경 이후에는 표피의 경화현상에 의하여 수분증발 억제효과가 있어 중량감소가 완만하였다. 당도변화는 초기 감의 당도가 18∼27%이었으나, 건조7∼14일경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건조 21일경에는 40∼50%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경도는 곶감의 품질을 결정하는 물리적 인자중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건조시작 후 7∼14일경에 감과육의 수분감소에 따라 경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건조일수의 증가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감소되기 시작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곶감의 색, 단맛 및 조직감은 남장동곶감제품이 가장 좋은 점수를 얻었고, 떫은맛, 시큼한 맛 및 곰팡이 취는 복룡동 곶감제품이 가장 높았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남장동에서 제조한 곶감제품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제2인산(第2燐酸)암모늄 처리합판(處理合板)의 약제흡수(藥劑吸收) 및 열판건조(熱板乾燥)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ess Drying and the Chemical Absorption of the Plywood Treated with Diammonium Phosphate)

  • 김종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39-45
    • /
    • 1995
  • The plywoods commonly used as decorative interior materials for the construction are inflammable and so it is a causative factor for making fire accidents, resulting in the destruction of human life and personal properties. Indeed, it is, therefore, required to produce fire-retardant plywoods. In this study, a special grade of defect-free, Kapur plywood was used. Specimens were cut into 3- by 20cm dimensions from 120- by 240- by 0.33-cm panels(thin panel) or 120- by 240- by 0.5-cm panels(thick panel). Some specimens were treated with diammonium phosphate(DAP), but some were not treated with diammonium phosphate to use as control panels. Chemical absorption, drying curves, drying rates and dynamic Young's modulu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summaries as follows; 1. The specimens were soaked into 19% diammonium phosphate solution by a full cell pressure process and the diammonium phosphate retained in the thin and thick plywoods was 1.409kg/$(30cm)^3$, 1.487kg/$(30cm)^3$, respectively. 2. Diammonium phosphate-treated plywoods were redried with press-drying process at one of either condition dried on the platen($115^{\circ}C$) for a period of time or dried on the platen($50^{\circ}C$) for 3 hrs plus in a dry-oven($30^{\circ}C$) for 24 hrs. or dried on the platen($60^{\circ}C$) for 2 hrs plus in a dry-oven($30^{\circ}C$) for 24 hrs. The drying rate of treated thin specimens dried at $60^{\circ}C$ plus $30^{\circ}C$ and $115^{\circ}C$ only was found to be 0.04 %/min. and 8.53 %/min. Similarly, the drying rate of treated thick specimens were 0.03 %/min. and 6.77 %/min. respectively. 3. It was evident that highly-significantly different drying rate of treated plywoods was observed between plywood thicknesses and platen temperatures and the rate was increased by elevating the platen temperature up to $115^{\circ}C$. Based on the two-way variance analysis, highly significant drying rate was observed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plywood thicknesses and platen temperatures. 4. After redrying, the specimens were weighed and reconditioned to a constant weight in a facility maintained temperature ($20^{\circ}C$) and relative humidity(65%) prior to test dynamic Young's modulus. The test revealed that the thin specimens dried at the platen temperature of $50^{\circ}C$, $60^{\circ}C$, $115^{\circ}C$ and untreated specimens showed 1.070E+09 dyne/$cm^2$, 1.156E+09 dyne/$cm^2$, 1.243E+09 dyne/$cm^2$, and 1.052E+09 dyne/$cm^2$, respectively. Likewise, the thick specimens revealed 5.647E+09 dyne/$cm^2$ 5.670E+09 dyne/$cm^2$, 6.395E+09 dyne/$cm^2$ and 5.415E+09 dyne/$cm^2$, respectively. 5. It was evident that significantly different dynamic Young's modulus was observed between the plywood thickness and the platen temperature, but not in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the plywood thickness${\times}$the platen temperature.

  • PDF

산채의 건조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Wild Vegetables)

  • 임종환;황금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58-364
    • /
    • 1995
  • 건조산채의 안전저장 수분함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네 가지 채소 즉, 호박고지, 고구마줄기, 토란대, 및 도라지의 건조특성과 등온흡습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채소의 건조곡선은 초기의 평형조절기간과 항률건조기 및 감률건조기간의 3단계로 뚜렷하게 구분이 되었으며, 감출건조기는 종류에 따라 다시 $2{\sim}3$단계로 구분되었다. 감률건조곡선은 섬유질상 식품의 건조 특징인 위로 볼록한 형태를 보였으며, 임계수분함량은 호박고지가 $8.29{\sim}9.75$, 고구마줄기가 $10.40{\sim}15.08$ 토란대가 $9.51{\sim}14.52$, 도라지가 $3.29{\sim}3.56g\;H_2O/g$ dry solids였다. 감률건조기간 중의 건조속도에 대한 활성화에너지값은 호박고지가 2.30, 고구마줄기가 2.11, 토란대가 4.97, 도라지가 2.80 kcal/mol이었다. 각 채소의 단분자층 수분함량값은 건조시의 임계수분함량값과 유사하였는데, 호박고지가 $10.05{\sim}13.59$, 고구마줄기가 $9.49{\sim}12.69$, 토란대가 $9.50{\sim}16.48$, 도라지가 $5.01{\sim}5.44g\;H_2O/g$ dry solids였다. 결과적으로 이들 채소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해서는 수분함량을 단분자층 수분함량 이하로 또는 임계수분함량 이하로 건조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잘게 저민 생선의 드럼건조기에 의한 건조특성 (Drying Characteristics of Minced Fish on Drum Dryers)

  • 김공환;와차린피아랏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51-356
    • /
    • 1986
  • 단(單)원통형 및 원통형 드럼건조기를 이용하여 잘게 저민 생선으로부터 플레이크를 성공적으로 만들 수 있었다. 생선의 높은 지방함량으로 인해 저민 생선이 드럼에 잘 들러붙지 않는 문제점은 타피오카가루의 형태로 2.5%의 전분을 저민 생선에 첨가함으로서 건조양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해결될 수 있었다. 제품의 수분함량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경우 건고형분(乾固形分)의 생산속도는 드럼간의 간격을 최소로 줄였을때 최고에 도달하였다. 건고형분(乾固形分)의 생산속도는 드럼의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제품의 품질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스팀의 압력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총괄 열전달계수는 드럼의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 반면에 드럼간의 간격이 커짐에 따라 증가하지는 않았다. $MR\;=\;A\;\exp(\;-k{\theta})$로 표시되는 가장 보편적인 건조 모델식이 드럼건조에도 적용될 수 있었다.

  • PDF

침엽수 제재두께별 가열판 압체식 진공건조의 소요 에너지 (Energy Consumption in Vacuum-Press Drying of Some Softwood Lumbers of Different Thicknesses)

  • 정희석;이준호;강욱;이남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9-15
    • /
    • 2001
  • 침엽수 4수종(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웨스턴 햄록)의 가열판 압체식 진공건조에서 소요되는 비에너지 곡선은 함수율 감소에 따라 서서히 증가, 거의 일정, 급속 증가 등 3단계의 증가 패턴을 나타내었고, 제재두께별 계산된 비에너지는 3cm 제재 0.483, 5cm 제재 0.649, 7cm 제재 0.814, 9cm 제재 0.977 및 11cm 제재 1.138kWh/kg로서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강한 건조스케줄을 적용한 비에너지는 약한 건조스케줄의 것보다 적었으며, 가열판 진공건조의 평균 비에너지는 0.712kWh/kg으로서 다른 건조법의 것보다 적었다.

  • PDF

Effects of Drying Temperature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Tomato Powder and Storage Stability of Pork Patties

  • Kim, Hyeong Sang;Chin, Koo B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1-60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oven-dried tomato powder (OTP) as affected by drying temperature and the effect of OTP on the product quality of pork patties. Three OTP products were obtained by drying of fresh tomato at 60, 80 and 100℃ oven until constant weight was obtained. Total phenolic content of three kinds of OTPs ranged from 1.95 to 5.94 g/100 g. The highest amount of total phenolic compound was observed in OTP dried at 100℃. Antioxidant activity of three kinds of OTPs was measured by 1,1-diphenyl-2-pycrylhydrazyl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iron chelating ability, reducing power and measurement of lipid peroxide in linoleic acid emulsion system. In all parameters, OTP at 100℃ showed the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other temperatures (p<0.05). Based on the model stud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rk patties containing 1% OTP were measured. Redness of pork patties were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OTPs (p<0.05).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of raw pork patties containing OTPs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CTL) until 7 d of storage, regardless of drying temperatures (p<0.05). Peroxide values of pork patties made with OTP (1%) were lower than those of CTL until the end of storage time (p<0.05). However, no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observed among the treatments (p>0.05). Therefore, OTPs could be used as a natural antioxidant in meat products.

사과의 건조조건(乾燥條件)에 따른 건조특성(乾燥特性)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Apples at Various Drying Conditions)

  • 정신교;최용희;손태화;최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1-65
    • /
    • 1986
  • 홍옥(紅玉)을 시료(試料)로 하여 건조조건(乾燥條件)을 다르게하여 건조특성(乾燥特性), 수분이동현상(水分移動現像), 건조중(乾燥中) 시료온도(試料溫度) 및 내부수분(內部水分)의 분포(分布)를 조사하였다. 사과의 수분확산계수(水分擴散係數)는 $1.1470{\sim}2.2148{\times}10^{-5}cm^2/sec$, 확산활성화(擴散活性化)에너지는 6.6 kcal/g mole 이었으며 Fick's law에서 아래의 식을 유도할 수 있었다. $${\In}\;{\Delta}t=In\;{\Delta}to-{\frac{D{\pi}^2{\theta}}{4d^2}}$$ 건조중(乾燥中) 내부수분분포(內部水分分布)의 이론치(理論値)와 실측치(實測値)는 거의 일치하였다.

  • PDF

유동층(流動層)에 의한 고체식품(固體食品)의 건조(乾燥) (Dehydration of Solid Food Material Immersed in Fluidized-Bed)

  • 유주현;이신영;변유량;양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98-403
    • /
    • 1978
  • 고체입자를 열매체로 유동화시킨 유동층내에서 오징어를 고정시켜 건조시킬 때 유동화입자, grid로 부터의 오징어 고정위치, 온도가 오징어의 건조속도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또한 감율건조기간중 수분의 이동 메카니즘을 추론하였다. 1) 유동화입자로는 식염이 가장 바람직했고 풍속 3.8 m/sec에서 최적 유동화상태를 얻었다. 2) 유동층내에서의 균일온도 분포는 grid로 부터 4 cm 이상거리에서 얻었으며 따라서 오징어의 고정위치는 이 거리 이상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3) 풍속 3.8m/sec, grid로부터 4 cm 이상되는 오징어의 고정위치에서 건조속도에 대한 최적온도는 $35^{\circ}C$에서 얻었으며 이 조건에서 초기수분 80.8%로 부터 최종수분 $18{\sim}22%$까지 건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8.5시 간 이었다. 4) 건조자료는 측정된 수분함량범위에서 비정상상태의 확산방정식 $ln{\frac{(W-We}{(Wc-We)}=-m{\theta}$의 경험식에 따랐으며 m의 값은 $0.32hr^{-1}$로 계산되었다. 또 이들 결과는 감율 건조기간중 수분의 이동이 액체확산에 의한 것임을 시사했다. 5) 오징어의 건조는 초기 짧은 시간 동안만 항율건조되고 그 이후는 감율건조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온도에서 동일잔존수분까지 건조시키는 데 소요되는 유동층건조에 대한 통기 열풍건조의 건조시간비율은 1 : 1.4였다. 6) 유동충건조된 오징어 제품은 시판 천일건조 오징어 제품과 비교하여 품질상 유의차가 없었다.

  • PDF

식품보장과 수분활성에 관한 연구 3. 어육의 건조 및 저장중의 품질 (Studies on Food Preservation by Controlling Water Activity III. Quality Changes of Fish Meat during Drying and Storage)

  • 한봉호;이종갑;배태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1-189
    • /
    • 1983
  • 말쥐치육을 시료로하여, 건조중과 건어육 저장중의 갈변과 미생물조성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40^{\circ}C,\;50^{\circ}C$에서의 강제송풍식건조중에는 지방산화가 Maillard반응보다 갈기색소물질의 형성에 다소 깊이 관여하였다. 건조중의 지방산화는 감속건조기에서의 말쥐치 건조표면의 수분활성에 영향을 받아서, 공기의 상대습도가 $30\%$일 때 지방산화가 가장 늦었고, 상대습도가 $20\%,\;10\%$로 낮아지거나 $40\%,\;50\%$로 높아질수록 지방산화가 촉진되었다. 건제품을 $30^{\circ}C$에 저장하였을 때에도 갈변색소물질의 형성에는 지방산화가 Maillard 반응보다 다소 깊이 관여하였다. 수분활성 $0.12{\sim}0.76$의 범위에서 지방산화가 가장 늦었던 것은 수분활성 0.33부근이었다. $6\%$의 sucrose, $1.5\%$의 D-sorbitol을 첨가하였던 건어육을 $30^{\circ}C$에 저장하였을때 지방산화가 가장 늦은 수분활성은 0.33보다 다소 낮아졌으며, 평형수분함량의 증가에 따른 이동성(mobility)의 증대로 인한듯한 수용성갈변색소물질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건조직후의 말쥐치육의 미생물조성은 구균 $30\%$, 간균 $65\%$, 곰팡이와 효모가 $5\%$정도였다. 저장중에는 전체 미생물중 구균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였고, 비포자 Gram 음성간균은 감소하였으며, 비포자 Gram 장성균과 포자형성균 및 곰팡이, 효모가 차지하는 비율은 거의 일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