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matter(DM) yield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32초

액상구비의 시용시기가 오차드그라스의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pplication Times of Cattle Slurry on Dry Matter Yield in Orchardgrass)

  • 조익환;전하준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9-108
    • /
    • 1997
  • The aim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plying times of cattle slurry on dry matter yield of Orchardgrass, when cattle slurry applied at rates of 30m3(average mineral nitrogen fertilizer equivalent to 120kg) per ㏊ in different dressing times, such as S1(1st and 2nd growth), S2(1st and 3rd growth), S3(1st and 4th growth), S4(2nd and 3rd growth), S5(2nd and 4th growth) and S6(application for 3rd and 4th grow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nnual yields of dry matter were produced 6.36~7.42 ton per ㏊ in 1995~1997 when cattle slurry applied at rates of 30m3(average mineral nitrogen fertilizer equivalent to 120kg) per ㏊ in different dressing times, especially these tendency were shown higher annual dry matter in S4 plot9application for 2nd and 3rd growth). Those were higher 2.48~3.54 tons or 1.22~2.28 tons per ㏊ than the yields from non-fertilizing or phosphrous and potassium fertilizing. 2. Relative yields of annual dry matter in cattle slurry application plots were 164(S2 plot)~191(S4 plot)% in comparing with non-fertilizing plot. 3. Dry matter yields according to cutting frequency were highest at the 2nd cut(1.50 ton) and were in the order 3rd cut(0.95 ton)>4th cut(0.75 ton)>1st cut(0.69 ton/㏊). Also, those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plot per ㏊ were in the order 2nd cut(2.02~2.73 tons)>3rd cut(1.56~2.08 tons)>4th cut(1.07~1.68 tons)>1st cut(1.11~1.45 tons/㏊). 4. Relative yields of annual dry matter in cattle slurry application plots were 164~219, 161~210, 143~212 and 135~182% at the 3rd, 1st, 4th and 2nd cut, respectively in comparing with non-fertilizing plot. 5. The efficiencies of nitrogen on dry matter yield(kg DM/kg N) were 18.1, 21.3 and 34.5kg DM/kg N when cattle slurry applied to Orchardgrass at rates of 30m3 (average mineral fertilizer equivalent to 120 kg) per ㏊ in 1993, 1994 and 1995, respectively, especially these tendency were shown higher efficiencies in S4 plot(application for 2nd 3rd growth). On the other hand, those of the same level fertilization of mineral nitrogen were 43.8, 19.2 and 13.4 kg DM/kg N in 1993, 1994 and 1995, respectively.

  • PDF

초지형과 파종상 정지방법이 유거수량 , 토양 유실량 , 목초의 식생구성 , 건물수량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asture Types and the Leveling Methods of Seedbed on the Runoff , Soil Loss , Botanical Composition , Dry Matter Yield of Forage and Economical value)

  • 이종경;임영철;윤세형;김맹중;박근제;양종성;최선식;이성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60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asture types and the leveling methods of winding slope land for seedbed on the runoff, soil loss, botanical composition, dry matter yield of forage and economical value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Suweon, from 1994 to 1995.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unoff of the improved lan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improved land in the top grass and bottom grass. 2. Soil loss of the improved lan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improved land in the top and bottom grasses in the first year. However, it was slightly higher in the unimproved land, and all of it were greatly decreased in the second year. 3. The percentage of grasses coverage was increased with the improved land in the first year, and it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improved land and unimproved land in the second year. Also, it was slightly increased in the bottom grasses. 4. Dry matter yield of grasses was increased with improved land at the top and bottom grasses. DM yield of grasses was increased in the top grasses in the first year and bottom grasses in the second year, respectively. 5. The establishment cost of grasses was decreased with wages decrement, and the management cost was saved about 1,116,000 won per ha with improved la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lthough soil loss was increased by leveling methods of improved land irrespective of pasture types in the first year, it was decreased with time little by little. Also, improved land was very good for grasses coverage, dry matter(DM) yield and economical value.

  • PDF

대전지역에서 호밀과 보리의 파종비율이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Blending Rates Between Rye and Barley on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in Daejon Area)

  • 이인덕;이형석;신연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89-294
    • /
    • 2008
  • 본 시험은 호밀과 보리의 혼파에 의해 수량성과 품질이 높은 조사료 생산방법을 강구하고자 2004년 9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시험 재료는 청예용 호밀인 Koolgrazer와 대면보리였으며, 시험구 배치는 호밀 100%, 호밀 60+보리 40%, 호밀 50+보리 50% 및 호밀 40+보리 60% 등 호밀과 보리의 혼파비율을 4수준으로 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3년 평균 ha당 건물수량은 호밀 100%구가 9,282 kg으로 가장 높았고 보리의 파종비율이 높아질수록 건물수량은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p<0.05). 식생비율은 보리의 파종비율이 각각 40%, 50% 및 60%로 높아짐에 따라 보리의 식생비율은 각각 30%, 41% 및 47%로 높아졌으나 파종비율 대비 보리의 식생비율은 그리 높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 조단백질 함량과 건물소화율은 호밀 100%구에 비하여 보리의 파종비율이 높아질수록 높아졌던 반면에 NDF, ADF, cellulose 및 liglin 함량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p<0.05). ha당 조단백질 수량과 가소화건물 수량은 호밀 100%구에 비하여 보리를 혼파한 모든 처리 구에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따라서 대전지역에서 호밀과 보리를 혼파하여 이용할 경우, 청예용 보리의 다수확품종 보급이 선행되지 않고는 건물수량과 CPDM 및 DDM수량을 높이는 데는 어려움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

도입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 I. 지역별 생육특성 및 생산성 (Comparison of Agronomic Performance of Introduced Corn Hybrid for Silage Production I. Performance of hybrids in different regions)

  • 김동암;조무환;권찬호;한건준;김종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61-172
    • /
    • 1992
  • The agronomic performance of four introduced corn(Zea mays L.) hybrids and a domestic hybrid Suwon 19(control) was compared for silage production in the Middle Northwestern Coast(MNWC). Middle Southwestern Coast(MSWC) and Middle Northern Inland(MN1) regions of Korea, 1988 to 19 90. In the MNWC region, DK713 and P3144W were recorded as more resistant corn hybrids to rice black streaked dwarf virus(RBSDV) than other hybrids. P3144W, P3352 and DK689 hybrids produced higher dry matter(DM)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TDN) than the control hybrid Suwon 19 and DK 713. In the MSWC region, P3144W and DK689 tended to yield more DM and TDN than other hybrids and a severe infection of RBSDV was observed during 3 years of experiment. In the MNI region, P3144W and P3352 corn hybrids showed higher ear and dry matter percentage and gave the highest DM and TDN yield compared with other hybrids. The RBSDV infection of the hybrids in the MNI region was moderate level compared with the two regions, but rate of stay green was the lowest. In the three regions, the control hybrid Suwon 19 gave the highest RBSDV infection, followed by P 3352, DK689, and P3144W, while DK713 was the lowest. P3144W and P3352 hybrids gave higher DM and ear percentages than all other hybrids at harvest. During 3 years of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regional and year differences in RBSDV infection, forage DM yield, DM percentage and ear ratio to total DM yield of the corn hybrids.

  • PDF

유휴 논 토양에서 액상 우분뇨의 시용이 톨 페스큐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on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s of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in Uncultivated Rice Paddy)

  • 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20
    • /
    • 2007
  • 본 실험은 유휴 논토양에 톨 페스큐를 재배하였을 때, 액상우분뇨를 물로 희석하거나 희석하지 않고 시기를 다르게 시용하여 계절별 및 연간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조사하고 화학비료 시비에 따른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도 비교하여 액상우분뇨의 적정 시용 시기와 희석수준을 결정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액상우분뇨를 물로 희석하지 않거나 희석하여 시용하였을 때 연간 건물수량이 ha당 각각 $10.57{\sim}12.51$ 톤(평균 11.50 ton DM/ha)과 $11.31{\sim}14.81$ 톤 (평균 13.13 ton DM/ha)으로 무시비구의 ha당 9.21톤 보다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는데(Table 2), 액상우분뇨를 이른봄과 여름철 시용한 구(SA구)와 이른 봄, 늦봄 및 여름철 분할 시용한 구(SUA구) 그리고 액상우분뇨를 물로 희석하여 봄철에 전량 시용한 구(DS구), 이른봄과 여름철에 시용한 구(DSA 구) 및 이른 봄, 늦봄 및 여름철에 분할 시용한 구(DSUA구) 등에서 무시비구 보다 유의하게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다(p<0.05). 2) 질소와 인산 및 칼리를 시비한 구에서는 ha당 15.38 톤의 연간 건물수량을 나타내어 무시비구와 인산과 칼리 시비한 구(10.68 톤/ha) 보다도 유의하게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인산과 칼리 시용구의 연간 건물수량은 액상우분뇨 시용구의 평균 연간 건물 수량보다도 낮았다. 3) 화학비료구에서 무기태 질소의 건물생산 효율은 연 평균 31.3kg DM/kg N이었으며, 예취 시기별로 보면 2번초>1번초>3번초 순으로 낮아졌지만 액상우분뇨 질소의 연간 건물생산 효율은 무 희석구와 희석구가 각각 15.3과 26.1kg DM/kg N을 나타내었고 2번초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무기태 질소 대비 액상우분뇨 질소의 건물생산효율은 무희석구와 희석구가 각각 48.9와 83.4%에 도달하였다. 4) 톨 페스큐의 연간 평균 조단백질 함량은 액상우분뇨 시용구에서 $9.9{\sim}11.6%$로 무시비구의 9.5%와 화학비료 구의 $9.0{\sim}9.8%$ 보다 유의하게 높았지만(p<0.05), 연간 평균 NDF와 ADF 함량은 무시비구가 가장 낮았고 무시비구의 상대 사료가치(RFV)와 TDN 함량은 모든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5) 액상우분뇨 시용과 희석시용으로 톨 페스큐의 연간 조단백질 수량과 가소화 양분수량은 무시비구 및 인산과 칼리를 시용한 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는데(p<0.05), 이러한 경향은 액상우분뇨를 희석하여 이른 봄, 늦봄 및 여름철에 분할 시용한 구(DSUA구)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제주지역에서 건물 함량이 다른 돈분 액비 시용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호밀 및 귀리의 수량, 사료가치 및 토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y Matter Content of Liquid Swine Manure on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Italian Ryegrass, Rye and Oat, an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in Jeju)

  • 송상택;김문철;황경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59-170
    • /
    • 2006
  • 본 연구는 제주도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돈분 액비의 건물수준을 달리하여 동계작물에 시용 했을시 사초의 생산성과 사료가치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려고 수행되었다. 처리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호밀 및 귀리에 무비구(TO), 화학비료구(T1) 그리고 2개 건물수준을 가진 돈분 액비구(DM 2.7 %=T2, DM 5.9%=T3)를 분할구배치법으로 하였다. 5.9%의 건물이 함유된 돈분 액비의 시용은 다른 처리에 비하여 세 작물 모두에서 가장 높은 건물 생산성을 보였다(p<0.01). 조단백질 함량(%)과 조단백질 생산량(kg/ha)은 다른 초종에 비하여 호밀에서 가장 높았다(p<0.01), K와 Mg 함량은 다른 초종에서보다 호밀에서 더 높았다(p<0.01). 반면 Na 함량은 다른 초종에서 보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서 더 높았다(p<0.01). 호밀의 Mg 함량은 다른 초종 보다는 더 높았으며(p<0.01), 특히 2.7% 건물이 함유된 돈분 액비 시용구에서 타 초종보다 높았다(p<0.05). 토양 중 $NO_3-N$ 함량은 다른 작물보다 호밀에서 더 낮았으며(p<0.05), 비료 종류별로는 화학비료구가 더 높았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나 귀리보다 겨울철 생육이 좋고 비료 의 이용성이 좋은 호밀이 통계작물로는 좋았다. 그리고 비료는 DM 5.9%의 돈분액비가 DM 2.7%의 돈분액비에 비해 모든 작물의 생산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NO_3-N$의 토양 내 함량도 DM 2.7% 돈분액비나 화학비료 표준구보다 낮았다. 그러나 양돈농가에서는 돈사 청소를 위해 물의 사용을 제한하여 액비중의 건물함량을 높여야 하고, 이러한 방법은 환경오염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s}20cm$에 대해 $0.941{\pm}0.008,\;1.032{\pm}0.004,\;1.049{\pm}0.014$이다. 치료 계획용 시스템과 수 계산에 의한 MU값의 계산 비교결과 7개 기관의 값이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났다. 쐐기를 제외한 8가지 조건에서 계산된 평균 MU값들은 SAD 조건으로 출력 교정된 장비가 SSD 조건으로 교정된 장비에 비해 6 MV 광자선은 3 MU, 10 MV 광자선은 5 MU 정도 더 높았다. 쐐기를 사용할 경우 MU값은 Varian사 장비와 Siemens사의 장비에 따라 다르고 동일 각의 쐐기를 사용할 경우 Siemens사의 쐐기를 사용할 때 MU값이 크다. 결론: 수집된 광자선 빔 데이터를 분석하여 빔데이터의 정확성과 치료계획용 시스템의 계산 정확성을 대략적으로 점검 할 수 있는 기준 값을 제시하였다.동결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 이용된 OPS 동결 방법이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며 이 때가 최상의 교배 적기로 사료되며, 혈장 progesterone농도가 4.0 ng/ml 이상으로 증가한 날(Bay 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부터 CI는 혈장 estradiol-$17{\beta}$ peak 후 1일째인 최고치를 나타내었고, CI peak 후 1일째인 Day 0에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최초로 4.0 ng/ml 이상으로 증가하여 CI가 90% 이상으로 지속된 시기가 최상의 교배 적기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혈장 progesterone농도 측정으로 정확한 배란 시기 및 교배 적기를 판정할 수 있으나, 시설비가 저렴하고 검사 방법이 간단한 질 세포 검사가 Shih-tzu 견에서 발정 주기, 교배 적기 및 배란 시기의 판정에 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사료된다.골계가 높은

초지에 대한 질소 및 가리비료의 시용에 관한 연구 I. 질소 및 가리비료의 분시방법이 목초의 수량 및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Application of the Nitrogen and Potassium Fertilizer in Grassland I. Effect of the N and K2o-fertilizer distribution on dry matter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grassland)

  • 박근제;이필상;신재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2-157
    • /
    • 1990
  • To find out the effect of different patterns of nitrogen and potassium distribution on dry matter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temperate pastures,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6 treatments replicated 3 time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It was lasted from September, 1986 to October, 1989 at the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in Suwe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early spring, winter hardiness, growth vigour, cold damage and coverage of grasses with 30% dressing of the total amount of N and K20 fertilizer in spring and at the 4th cutting time respectively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s. 2. Average dry matter yield for 3 years with heavy dressing in spring and at the 1st cutting time(l1, 187 kg DM/ha) was much more increased by 9% than that of the equally fertilized treatment(l0,24lkg DM/ha). 3. Changes in the botanical composition showed, in general, the same tendency for all treatments except equal N and K20 distribution. However, grassland vegetation with heavy dressing in spring and at the 1st cutting time was changed into relatively good botanical composition with 76.7% grasses, 22.3% legumes and 1.0% herb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4. By DM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treatment 3(40-30-15-0-1570) seemed to be an optimal nitrogen and potassium distribution pattern in a temperate pasture.

  • PDF

수확시기가 사료용 벼의 초장, 건물수량 및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 (Plant Height, Dry Matter Yield and Forge Quality at Different Maturity of Whole Crop Rice)

  • 성경일;홍석만;김병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3-60
    • /
    • 2004
  •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tendency to use whole crop rice for feeds as there is an increased rice supply and a decrease in the demand for rice in Korea. Little information, however, is available about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whole crop rice for fee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cide the optimum harvest date through examining the plant height, dry matter(DM) yield and feed composition of whole crop rice harvested at different maturity. Field study was established early in May until October 7th on a rice field at Yupori, Sinbuk-yeup, Chunchon, Kangwon-Do. "Ilpum" mutant rice was sown at 52 kg/ha, and N, P and K were applied at 209, 113 and 81 kg/ha, respectively. The rice was harvested at six different mature stages for analysis; booting stage; 17 Aug., milk-ripe stage; 27 Aug., dough stage; 7 Sep., yellow ripe stage; 17 Sep., dead ripe stage; 27 Sep. and full ripe stage; 7 Oct. Plant height was 77 cm in booting stage (P<0.05) which was lower when compared to the other stages among which the heights did not differ with average range of 93∼97 cm.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was observed in yellow ripe stage (22.8 T/ha), which was followed by dead ripe stage (19.3 T/ha), full ripe stage (19.3 T/ha), and dough stage (15.1 T/ha). Crude protein (CP)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centrations consistently decreased with maturity.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CP and NDF were obtained in booting stage with 9 and 73.6%, respectively (P<0.05), and lowest in full ripe stage with 5.8 and 64.6%, respectively (P<0.05). The concentration of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was highest in booting stage (59.7%);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other stages. The concentrations of Ca and P were not different among mature stag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yellow ripe period is appropriate to harvest the whole crop rice for forage considering dry matter yields, feed compositions and TDN concentrations.

상번초 및 잔디형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Tall type and Turf type Mixtures)

  • 이형석;이인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21-226
    • /
    • 2006
  • 본 시험은 2003년 9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된 혼파초지는 상번초형(tall type) 혼파초지(orchardgrass, Potomac 50+tall fescue, Fawn 20+ Kentucky bluegrass, Kenblue 10+red clover, Kenland 20%)와 잔디형(turf type) 혼파초지(Kentucky bluegrass, Newport 60+Tall fescue, Reboil II 20+ perennial ryegrass, Palmer II 20%}의 두 처리를 두어 시험하였다. 얻어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2년 평균 건물수량은 상번초형 혼파초지가 12,721 kg/ha으로 잔디형 혼파초지의 11,275 kg/ha 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잔디형 혼파초지는 상번초형 혼파초지에 비하여 CP 함량과 건물소화율(DMD)이 높은 반면에 NDF와 ADF, cellulose 및 lignin 함량은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2년 평균 조단백질수량(CPDM)과 가 소화건물수량(DDM)은 상번초형 혼파초지가 잔디형 혼파초지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다 (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잔디형 혼파초지는 상번초형 혼파초지에 비하여 목초의 사료가치는 높았으나, 건물수량이 낮아서 조단백질수량과 가소화건물수량이 낮은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잔디형목초는 상번초형 혼파초지에 비하여 사료가치가 높고, 연간 13회 예취 시 수량과 밀도를 고르게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아 추후 말이나 유산양과 같은 가축의 방목이용 가능성을 타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화산 101호'의 생육단계별 생산성 및 사료가치 변화 (Change in Dry Matter Yields and Feed Values of Italian Ryegrass, Hwasan 101,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최기준;임영철;지희정;이상훈;이기원;김동관;서성;김기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7-112
    • /
    • 2011
  • 본 시험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am.) 만생종의 생육단계별 건물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히여 2000년부터 2002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수원지역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만생종인 '화산101호'의 생육단계는 수양기, 출수시, 수전기 및 개화기가 각각 5월8일, 5월 18일, 5월 28일 및 6월 3일이었다. 생육단계별 건물 및 가소화영양소 총량은 수잉기에서 개화기까지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건물수량은 수잉기(4,818 kg/ha)에서 출수시(7,244 kg/ha) 까지 10일 사이에 50%까지 증가하였다. 생육단계별 조단백질 함량은 수잉기 18.32%, 출수시 15.12%, 수전기 12.58% 및 개화기 12.36%로서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수전기와 개화기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NDF와 ADF의 함량은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TDN와 IVDMD 함량은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수전기에서 개화기 사이에는 사료가치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탈이란 라이그라스 만생종인 '화성 101호'의 알맞은 수확시기는 수전기에서 개화기 사이에 하는 것이 조사료 생상성 향상에 유리 할 것으로 사료된다.